금사자장운간유해

금사자장운간유해(金師子章雲間類解) 3

태화당 2020. 3. 26. 16:33

初明緣起 

夫至聖垂敎以因緣爲宗 緣有內外之殊 世出世之異 故標第一明諸緣起也

) --> 

() 1연기(緣起)를 밝히다.  

무릇 지성(至聖)이 수교(垂敎)하매 인연으로써 종()을 삼나니 인연에 내외의 다름()과 세출세(世出世; 세간과 출세간)의 다름()이 있는지라 고로 표()하여 제일(第一) 여러 연기를 밝힘이라 했다.

) --> 

二辨色空 

前明緣起莫逾色空 幻色俗諦 眞空眞諦 二諦無礙唯一中道 故次辨色空也

) --> 

() 색공(色空)을 분변하다.  

()에 연기를 밝힌다 했는데 색공을 넘지() 못한다. 환색(幻色)은 속제(俗諦)며 진공(眞空)은 진제(眞諦)2()가 무애하여 유일(唯一)의 중도(中道)인지라 고로 차()에 색공을 분변한다.

) --> 

三約三性 

空宗 俗諦明有 卽遍計依他也 眞諦明空 卽圓成實性也 故次第三約三性也

) --> 

() 23()을 괄약(括約; )하다.

3공종(空宗)이다. 속제(俗諦)는 유()를 밝힘이니 곧 편계(遍計; 遍計)와 의타(依他; 依他性)며 진제(眞諦)는 공()을 밝힘이니 곧 원성실성(圓成實性)이다. 고로 차()에 제삼(第三) 3()을 괄약(括約)한다.

) --> 

四顯無相 

遍計 情有理無 依他 相有性無 圓成 理有情無 性有相無 故次第四顯無相也

) --> 

() 4무상(無相)을 나타내다(). 

편계(遍計)는 정()은 있으나 이()는 없다. 의타(依他)는 상()은 있으나 성()은 없다. 원성(圓成)은 이()는 있으나 정()은 없고 성()은 있으나 상()은 없다. 고로 차()에 제사(第四) 무상(無相)을 나타낸다.

) --> 

五說無生 

前之四門 眞俗有無皆成對待 今此一門 唯辨妙性本無增減 故第五說無生

) --> 

() 무생(無生)을 설하다.  

앞의 4()은 진속유무(眞俗有無)가 모두 대대(對待; 사물의 대립과 구분)를 이룬다. 지금의 이 1()은 오직 묘성(妙性)이 본래 증감이 없음을 분변한다. 고로 제오(第五) 무생을 설한다.

) --> 

六論五敎 

夫妙性無生 超群數而絕朕 然機緣有感 逐根性以類分 故次第六論五敎也

) --> 

() 55()를 논하다.  

무릇 묘성(妙性)은 무생(無生)이라 군수(群數)를 초월하여 조짐(兆朕)이 끊겼지만 그러나 기연(機緣)에 감응이 있는지라 근성을 쫓아() 무리()가 나뉜다. 고로 차()에 제육(第六) 5교를 논한다.

) --> 

七勒十玄 

以義分敎 敎類有五 前四小大始終漸頓皆偏 今示圓融 故次第七勒十玄也

) --> 

() 10(十玄; 下文에 나옴)을 다스리다(). 

(; 義理)로써 교()를 나누나니 교류(敎類)에 다섯이 있다. 앞 넷인 소대시종(小大始終; 소승ㆍ대승ㆍ大乘始敎大乘終敎)은 점돈(漸頓)이라 모두 편()이지만 여금엔 원융(圓融)을 보인다. 고로 차()에 제칠(第七) 10()을 다스린다().

) --> 

八括六相 

雲華十玄根於觀門 剛藏六相源乎大經 經觀融通相玄交徹 故第八括六相

) --> 

() 6(; 下文에 나옴)을 포괄(包括; )하다.

6운화(雲華)10(十玄)은 관문(觀門)을 근본()으로 하고 7강장(剛藏)6(六相)8대경(大經)을 근원()으로 하나니 경관(經觀)이 융통하고 상현(相玄)이 교철(交徹)한다. 고로 제팔(第八) 6()을 포괄(包括; )한다.

) --> 

九成菩提 

六相遒文 一經奧旨 非情識所窺 唯智眼所覩 將遊薩婆若海 故第九成菩提

) --> 

() 보리(菩提; bodhi)를 이루다.  

6()의 주문(遒文; 强健)1()의 오지(奧旨)는 정식(情識)으로 엿볼 바가 아니며 오직 지안(智眼)이라야 보는 바며 장차 9살바야해(薩婆若海)에 유람한다. 고로 제구(第九) 보리를 이룬다.

) --> 

十入涅槃 

菩提智果 覺法樂也 涅槃斷果 寂靜樂也 照而常寂 心安如海 故第十入涅槃

) --> 

() 10열반(涅槃)에 들다.  

보리는 지과(智果)니 각법락(覺法樂)이며 열반은 단과(斷果)니 적정락(寂靜樂)이며 비추면서() 늘 고요하고 마음이 편안해 바다와 같다. 고로 제십(第十) 열반에 든다.

 



  1. 연기(緣起); 일체의 제법(유위법)은 모두 갖가지 조건(곧 인연)이 화합함으로 인해 성립하나니 이 도리를 일컬어 연기라 함. 아함경의 여러 곳에서 밝힌 바의 12지연기(十二支緣起)와 같은 것임. 이르자면 무명은 행(行)의 연(緣)이 되며 행은 식(識)의 연이 되며 내지 생(生)은 노사(老死)의 연이 됨.
  2. 3성(性); 선원제전집도서하(禪源諸詮集都序下). 3성(性) 이르자면 편계소집성(遍計所執性) 망정(妄情)으로 나 및 일체법에 두루두루 계탁(計度)하면서 하나하나 실유(實有)라고 집착함이니 마치 어리석은 아이가 거울 속의 인면상(人面像)을 보고는 명(命)ㆍ질애(質礙)ㆍ골육 등이 있다고 집착함과 같음. 의타기성(依他起性) 이 소집성(所執法)은 중연(衆緣)에 의타(依他)하여 상인(相因)하여 일으킴이니 모두 자성이 없고 오직 이 허상이니 마치 거울 속의 영상(影像)과 같음. 원성실성(圓成實性) 본각의 진심의 시각(始覺)이 현현(顯現)하여 원만성취하여 진실로 상주(常住)이니 마치 거울의 밝음(明)과 같음.
  3. 공종(空宗); 유종(有宗)의 대칭. 일체가 모두 공했으며 반야가 다 공했다고 주장하는 종파를 가리킴. 대승의 반야사상이 곧 그것의 대표니 중도(中道)의 공관(空觀)을 선양함으로써 주(主)로 삼으며 제법이 모두 공했음을 주장하는 용수(龍樹)와 제바(提婆)의 교계(敎系) 가운데를 좇음. 소승교인 구사종(俱舍宗)의 유종(有宗)을 상대해 말한다면 성실종(成實宗)을 가리키며 대승의 법상종(法相宗; 유식)을 상대해 말한다면 곧 삼론종(三論宗)을 가리킴. 또 선종을 또한 공종이라고 호칭하나니 불마(佛魔; 부처와 마군)가 다 공했다고 주장하며 언어와 사변(思辨)을 한갈등(閑葛藤)으로 삼아 그것을 배견(排遣)함. 이 외에 불교를 일컬어 공종으로 삼는 자가 있으니 불교는 제법무아를 주장하는 연고임 [大乘起信論義記上 原人論 宗鏡錄三十四].
  4. 무상(無相); 한어대자전(漢語大字典). 상(相) 불교의 명사(名詞)니 성(性)을 상대해 말함이다. 불교에선 일체의 사물과 밖으로 나타난 형상(形象)과 상태(狀態)를 잡아 이를 일컬어 상(相)이라 한다.
  5. 5교(敎); 이 글에선 화엄 3조 현수(賢首)가 세운 바를 가리키며 현수오교(賢首五敎)라 함. 1. 소승교(小乘敎; 愚法聲聞敎). 2. 대승시교(大乘始敎; 權敎). 3. 대승종교(大乘終敎; 實敎). 4. 돈교(頓敎). 5 원교(圓敎) [華嚴五敎章一 華嚴經探玄記一].
  6. 운화(雲華); 당대(唐代) 화엄종 제2조 지엄(智儼; 602-668)을 가리킵. 호가 지상대사(至相大師)ㆍ운화존자(雲華尊者)니 만년에 운화사(雲華寺)에 거주했음.
  7. 강장(剛藏); 금강장보살(金剛藏菩薩)을 가리킴. 화엄경 십지품(十地品)에서 금강장보살이 6상(相)을 설했음.
  8. 대경(大經); 각 종파에서 가리키는 바의 대경이 각기 다름. 천태종에선 다분히 대열반경을 가리킴. 정토종에선 이에 대무량수경을 가리키며 이에 상대해 말하자면 소무량수경(즉 구마라집이 번역한 아미타경 1권)은 곧 소경으로 일컬어짐. 밀교에선 곧 다분히 대일경(大日經) 및 금강정경(金剛頂經) 두 경을 가리킴. 이 글에선 화엄경을 가리킴.
  9. 살바야해(薩婆若海); <梵> sarvajña. 조정사원7(祖庭事苑七) 살바야(薩婆若) 여기에선 이르되 일체지(一切智)다.
  10. 열반(涅槃) <범> nirvāṇa. 또 반열반(般涅槃)ㆍ열반나(涅槃那)ㆍ니원(泥洹)ㆍ니월(泥曰; 曰은 원음이 월) 등으로 지음. 여기에선 번역해 멸(滅)ㆍ적멸(寂滅)ㆍ멸도(滅度)임. ①생사윤회(生死輪回)를 초월한 깨침의 경계니 이는 불교 수행의 최고 이상(理想)임. △고존숙어록2(古尊宿語錄二) 백장대지(百丈大智) 마음이 만약 불란(不亂)하다면 부처를 구하거나 보리열반(菩提涅槃)을 구함을 쓰지 않는다. △임제어록. 도류여, 산승의 견처를 취하면 보화(報化)의 불두(佛頭)를 좌단(坐斷)하나니 10지(地)의 만심(滿心)은 오히려 객작아(客作兒)와 같고 등묘(等妙)의 2각(覺)은 가쇄(枷鎖)를 짊어진 자며 라한과 벽지불은 오히려 뒷간의 똥오줌과 같고 보리와 열반(涅槃)은 나귀 매는 말뚝과 같다. ②(僧人)의 서세(逝世; 죽음). △전등록1. 이때 세존이 구시나성(拘尸那城)에 이르러 모든 대중에게 고하되 내가 지금 등이 아파 열반(涅槃)에 들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