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문염송집주(5권) 286

선문염송집 권5 제180칙

【一八○】百丈在馬祖會下 祖問師 什麽處來 師云 山後來 祖云 還曾逢着人麽 師云 不逢着 祖云 爲什麽不逢 師云 逢着卽擧似和尙 祖云 甚處得這个消息 師云 某甲罪過 祖云 却是老僧罪過 佛陁遜拈 山下不曾逢着卽且置 山上還曾逢着麽 若逢着卽*汾陽消息流布諸方 若不逢着 什麽處去來 ●第一八○則; 此話出古尊宿語錄一 ●汾陽消息; 汾陽 指汾陽善昭 佛陀德遜嗣黃龍慧南 南嗣石霜楚圓 圓嗣汾陽善昭故謂也 【一八○】 백장이 마조회하에 있었다. 마조가 스님에게 묻되 어느 곳에서 오느냐. 스님이 이르되 산 뒤에서 옵니다. 마조가 이르되 도리어 일찍이 사람을 봉착(逢着; 만나다. 着은 조사)했느냐. 스님이 이르되 봉착하지 못했습니다. 마조가 이르되 무엇 대문에 만나지 못했느냐. 스님이 이르되 봉착했다면 곧 화상에게 거사(擧似; 들어 보임)했을 것입니다...

선문염송집 권5 제179칙

【一七九】百丈侍馬祖遊山歸 忽然哭 *同事問曰 憶父母耶 師云 無 事曰 被人罵耶 師云 無 事曰 哭作什麽 師云 問取和尙 同事往問馬祖 祖云 你去問取他 同事迴至寮中 見師呵呵大笑 同事曰 適來爲甚哭 如今爲什麽笑 師云 適來哭而今笑 同事罔然 佛眼遠頌 一迴思想一傷神 不覺翻然笑轉新 雲在嶺頭閑不徹 水流㵎下大忙生 雲門杲頌 有時笑兮有時哭 悲喜交并暗催促 此理如何擧向人 斷絃須得*鸞膠續 竹庵珪頌 世間名利閑榮辱 雲雨紛紛手翻覆 悲歌相繼不堪論 棒頭無眼*黃粱熟 松源上堂擧此話 連擧雲門杲頌 師云 杲和尙 甚生氣槩 猶向古人背後叉手 *薦福亦有一頌 哭不徹笑不徹 倒腹傾腸向君說 父子非親知不知 擡頭腦後三斤䥫 ●第一七九則; 五燈會元三百丈懷海 師侍馬祖行次 見一羣野鴨飛過 祖曰 是甚麼 師曰 野鴨子 祖曰 甚處去也 師曰 飛過去也 祖遂把師鼻扭 負痛失聲 祖曰 又道飛過去也 ..

선문염송집 권5 제178칙(주석 한글)

●第一七八則; 전등록6 백장회해(百丈懷海). 마조가 상당하자 대중이 운집했다. 바야흐로 승좌하여 양구하자 스님이 이에 면전의 예배석(禮拜席)을 걷어버렸다. 마조가 곧 하좌했다. ●馬祖四家錄; 6권이니 또 명칭이 마조백장황벽임제사가록임. 편자는 상세하지 못함. 내용은 마조도일 이하 백장회해ㆍ황벽희운ㆍ임제의현 등 4사(師)의 어록을 휘집(彙集)하여 이루었음. ●什麽處去來; 1. 당송 일반의 구어(口語)니 어느 곳을 향해 가느냐, 어느 곳을 좇아오느냐의 양중(兩重)의 순문(詢問)임. 2. 선가의 기어(機語)니 선승의 사이에 기어를 문답하면서 여과(如果; 만약) 일방이 유예하고 지둔(遲鈍)하거나 혹 사구(詞句)의 개념에 집착하면 나머지 일방이 곧 이 말로 기척(譏斥) 혹 할단(喝斷)을 급여함. 여기에선 2를 가..

선문염송집 권5 제178칙(본문 한글)

【一七八】 백장이, 마대사가 승좌하여 양구함으로 인해 스님이 나가서 배석(拜席)을 걷었다. 마조가 하좌하여 방장으로 돌아갔다. 마조사가록(*馬祖四家錄) 백장이 마조의 시자가 되었다. 어느 날 수시(隨侍)하며 길을 가던 차에 들오리 소리를 들었다. 마조가 이르되 무슨 소리인가. 스님이 이르되 들오리 소리입니다. 양구(良久)에 마조가 이르되 적래(適來; 조금 전, 아까)의 소리는 어느 곳을 향해 가느냐. 스님이 이르되 날아 지나갔습니다. 마조가 머리를 돌리더니 스님의 코를 잡아 문득 비틀었다. 스님이 아픔을 참는 소리를 지었다. 마조가 이르되 또 날아 지나갔다고 말하겠느냐. 스님이 언하에 살핌이 있었다. 돌아온 다음날 마조가 승좌하여 겨우 앉자 스님이 나와서 대자리(簟)를 말아버렸다. 마조가 곧 하좌했다. ..

선문염송집 권5 제178칙(한문)

【一七八】百丈因馬大師陞座良久 師出捲拜席 祖下座歸方丈*馬祖四家錄 丈爲馬祖侍者 一日隨侍路行次 聞野鴨聲 馬祖云 什麽聲 師云 野鴨聲 良久 馬祖云 適來聲向什麽處去 師云 飛過去 祖回頭 將師鼻便扭 師作忍痛聲 馬祖云 又道飛過去 師言下有省 回來明日 馬祖陞堂才坐 師出來卷却簟 馬祖便下座 師隨至方丈 馬祖云 適來要擧一轉因緣 你爲什麽卷却簟 師云 爲某甲鼻頭痛 祖云 你*什麽處去來 師云 昨日偶出入 不及叅隨 馬祖喝一喝 師便出去 大覺璉頌 密布陰雲降雨時 撾龍須是硬金槌 大千已卷無私澤 憂旱癡農來展眉 承天宗頌 列衆陞堂振祖威 *大雄卷席且從伊 如今正令誰相委 敵聖還他師子兒 海印信頌 陞堂卷席逈難儔 杲日*騰輝處處周 堪笑忽雷驚宇宙 井中之物不擡頭 又頌 卷簟陞堂事已賖 古今皆*賛絶*周遮 近聞碧眼胡人說 井底泥人咬䥫虵 長蘆賾頌 馬祖纔陞堂 雄峰便卷席 *由基箭射猿 滿..

선문염송집 권5 제177칙

【一七七】*百丈*懷海禪師 隨馬祖行次 見野鴨子飛過 祖云 是什麽 師云 野鴨子 祖云 什麽處去也 師云 飛過去也 祖遂扭師鼻頭 師作忍痛聲 祖云 何曾飛過去 雪竇顯頌 野鴨子知何許 馬祖見來相共語 話盡山雲海月情 依前不會還飛去 欲飛去 却*把住 道道 佛印淸頌 師資閑向草中行 野鴨飛鳴意忽生 鼻孔扭翻成底事 新羅日午打三更 上方益頌 流水有西東 蘆花無背向 沙鳥忽飛來 漁人驚夜唱 誰道月明無處尋 元來只在秋江上 崇勝珙頌 鴨非鴨人非人 *噯噯之聲今古新 *趙州文遠同鬪劣 *王老無人獨賣身 只因*三歲閏之餘 一年翻遇兩迴春 蔣山勤頌 野鴨過前溪 千峯凛寒色 相顧不知歸 未免資傍擊 *杻破疑團*葛怛銷 捎風直上透靑霄 雲山海月渾餘事 一語歸宗萬國朝 佛鑒勤頌 馬師憫汝無知識 借來鴨子通消息 直得鼻頭羶血流 費盡老婆多少力 佛眼遠頌 草裏尋常萬萬千 報云飛去豈徒然 鼻頭是甚閑*皮草 十字..

선문염송집 권5 제176칙(한글)

【一七六】 종남산(*終南山) 유정선사(*惟政禪師)가, 당문종(*唐文宗)이 합리(蛤蜊; 백합. 대합)를 즐겨 먹었는데 어느 날 어찬(御饌) 가운데 열어도 벌어지지 않는 것이 있는지라 제(帝)가 기이하게 여겨 곧 분향하고 기도하매 이에 열렸고 갑자기 보살의 형의(形儀)로 변화했으며 범상(*梵相)을 구족한지라 스님을 불러 물음으로 인해 스님이 가로되 신이 듣기로(*臣聞) 응당 이 몸으로써 득도할 자(*應以此身得度者)에겐 곧 이 몸을 나타내어 설법한다 했습니다. 제(帝)가 가로되 보살의 몸은 이미 나타났거니와 다만 설법을 듣지 못했습니다. 스님이 가로되 폐하가 이를 보시매 상(常)입니까 비상(非常)입니까. 믿습니까 믿지 않습니까. 제(帝)가 가로되 희기(希奇)한 일이며 짐이 깊이 믿습니다. 스님이 가로되 폐하는..

선문염송집 권5 제176칙(한문)

【一七六】*終南山*惟政禪師 因*唐文宗皇帝嗜蛤蜊 一日御饌中 有劈不張者 帝以爲異 卽焚香禱之 乃開 俄變爲菩薩形 *梵相具足 召師問焉 師曰 *臣聞 *應以此身得度者 卽現此身而爲說法 帝曰 菩薩身已現 且未聞說法 師曰 陛下覩此 爲常非常耶 爲信非信耶 帝曰 希奇之事 朕深信焉 師曰 陛下已聞說法了也 帝大悅 勑天下寺 各立觀音像 知非子頌 現身說法垂慈悲 呈機一句終南師 大唐天子豁然悟 疾雷破蟄眠龍飛 ●第一七六則; 傳燈錄四 終南山惟政禪師 唐 大和(827-835)中 文宗嗜蛤蜊 沿海官吏先時遞進 人亦勞止 一日御饌中 有擘不張者 帝以其異 卽焚香禱之 俄變爲菩薩形 梵相具足 卽貯以金粟檀香合(盒子) 覆以美錦 賜興善寺 令衆僧瞻禮 因問群臣 斯何祥也 或言太一山有惟政禪師 深明佛法博聞彊識 帝卽令召至問其事 師曰 臣聞物無虛應 此乃啓陛下之信心耳 故契經云 應以此身得度者..

선문염송집 권5 제175칙

【一七五】*吉州耽源山*眞應禪師 辭*國師歸 *省覲馬祖 於地上 作一圓相 展坐具禮拜 祖云 子欲作佛去 師云 某甲不解捏目 祖云 吾不如汝 雪竇顯拈云 然猛虎不食其子 爭奈來言不豊 諸人要識耽源麽 只是箇藏身露影漢 ●第一七五則; 古尊宿語錄一 馬祖大寂禪師 有小師耽源行脚回 於師前畫一圓相 就上拜了立 師曰 汝莫欲作佛否 曰 某甲不解揑目 師曰 吾不如汝 小師不對 ●吉州; 今江西省吉安府古安縣 吉州東南有行思之道場靑原山淨居寺 另外有無殷所住之禾山 行修所住之南源山 道殷所住之龍須山資國院等 ●眞應; 又作應眞 唐代僧 嗣南陽慧忠 住吉州耽源山 ●國師; 指南陽慧忠國師 見上第一二九則慧忠 ●省覲; 省 察看 爾雅 省 察也 覲 拜望 省候尊者或長輩 【一七五】 길주(*吉州) 탐원산 진응선사(*眞應禪師)가 국사(*國師)를 고별하고 돌아가 마조(馬祖)를 성근(*省覲했다..

선문염송집 권5 제174칙

【一七四】*石頭到思和尙處 問 甚麽處來 師云 曹溪來 思乃竪起拂子云 曹溪還有這箇麽 師云 非但曹溪 西天亦無 思云 子莫到西天來麽 師云 到則有也 思云 *未在 更道 師云 莫全靠某甲 和尙也須道一半 思云 不辭向汝道 恐後無人承當 投子靑頌 白雲藏玉鳳 紅日照*無遼 隱隱星攢處 無私鎭*九霄 ●第一七四則; 此話出聯燈會要十九 ●石頭到思和尙處; 傳燈錄五靑原行思 六祖將示滅 有沙彌希遷(卽南嶽石頭和尙也)問曰 和尙百年後 希遷未審當依附何人 祖曰 尋思去 及祖順世 遷每於靜處端坐寂若忘生 第一坐問曰 汝師已逝空坐奚爲 遷曰 我稟遺誡故尋思爾 第一坐曰 汝有師兄行思和尙 今住吉州 汝因緣在彼 師言甚直汝自迷耳 遷聞語便禮辭祖龕 直詣靜居 聯燈會要十九曰 南嶽石頭希遷禪師 高安陳氏子 師參六祖 祖將示寂 師問 和尙百年後 希遷當依附何人 祖云 尋思去 祖順世 師每靜坐 寂若忘生 第..

선문염송집 권5 제173칙

【一七三】石頭因僧問 如何是祖師西來意 師云 問取露柱 僧云 某甲不會 師云 我更不會也 靈源淸頌 覿面相呈便相罵 兩人中有一人嗔 要識是非須看取 鐵牛耕出玉麒麟 叅 ●第一七三則; 傳燈錄十四石頭希遷 問 如何是西來意 師曰 問取露柱 曰 學人不會 師曰 我更不會 【一七三】 석두가, 중이 묻되 무엇이 이 조사서래의입니까 함으로 인해 스님이 이르되 노주(露柱)에게 문취(問取)하라. 중이 이르되 모갑이 알지 못하겠습니다. 스님이 이르되 나도 다시 알지 못한다. 영원청(靈源淸)이 송하되 적면(覿面; 당면)하여 상정(相呈)하면서 다시 상매(相罵; 욕하다)하니/ 두 사람 중 한 사람이 성냄이 있다/ 시비를 알고자 한다면 모름지기 간취(看取)할지니/ 철우가 옥기린(玉麒麟)을 갈아(耕) 내었다. 참하라(叅). ●第一七三則; 전등록14 석두희..

선문염송집 권5 제172칙

【一七二】石頭*垂示云 言語動用沒交涉 藥山云 非言語動用 亦無交涉 師云 我這裏針箚不入 山云 我這裏 如石上栽花 師便休 圜悟勤頌 井底泥牛吼月 雲閒木馬嘶風 把斷乾坤世界 誰分南北西東 直中曲曲中直 要平不平憑秤尺 知非子頌 石頭沒交涉 針箚亦不入 藥山沒交涉 栽花石上立 寒嵓古木高 *絶㵎流水急 霜風一葉秋 鶴唳孤猨泣 大洪恩拈 說得一丈 不如行得一寸 會得箇中意 方知月色寒 ●第一七二則; 聯燈會要十九石頭希遷 師垂語云 言語動用沒交涉 藥山出云 直得非言語動用 亦沒交涉 師云 我這裏 針劄不入 山云 我這裏 如石上栽花 ●垂示; 垂說示衆 又作垂語 垂說 示衆 於禪林 師家對弟子大衆開示宗要 稱爲垂示 又說示法要時 先以簡明語句標示所說之要諦 亦稱垂示 如碧巖錄 從容錄等 均先垂示 次揭本則 後再評唱 ●絶㵎; 絶 表示極高極深 此指極深 【一七二】 석두가 수시(*垂示)..

선문염송집 권5 제171칙

【一七一】石頭*希遷禪師 問淸源云 和尙自離曹溪 甚時到此住 源云 我却不知 汝甚時離曹溪 師云 某甲不從曹溪來 源云 我已知汝來處了也 師云 和尙幸是*大人 且莫*造次 丹霞淳頌 木人來問靑霄路 玉女年尊似不聞 擕手相將歸故國 暮山岌岌鎖重雲 ●第一七一則; 此話出聯燈會要十九 ●希遷; (700-790) 唐代僧 又稱無際大師 端州高要(廣東高要)人 俗姓陳 曾禮六祖慧能 靑原行思爲師 得靑原行思之印可 天寶(742-755)初年 居衡山南寺 寺之東有石狀如臺 乃結庵其上 時號石頭和尙 時江西以馬祖爲主 湖南以石頭爲主 四方學徒多輻湊於二師之門 唐貞元六年十二月示寂 壽九十一 臘六十三 諡無際大師 著有參同契 草庵歌各一篇行世 [宋高僧傳九 傳燈錄十四 五燈會元五] ●大人; 對長輩身分高的人的尊稱 大 敬詞 如大人大夫 有人君之德 故稱大人 又對非凡之人 上等根器者的稱呼 ●造次..

선문염송집 권5 제170칙

【一七○】*澧州大同*廣澄禪師 因僧問如何是本來人 師云 共坐不相識 僧云 伊麽則禮拜去也 師云 暗寫愁腸寄阿誰 保寧勇頌 共坐同行世莫知 幾人當面便逢伊 縱饒紹續家門者 半是貧寒*乞養兒 空叟和尙上堂擧此話云 共坐不相識 相識却非親 見徹非親非識處 依前錯認定盤星 ●第一七○則; 此話出傳燈錄八 五燈會元三 ●澧州; 今湖南澧縣 隸屬於湖南省常德市 因澧水貫穿全境而得名 梁敬帝紹泰元年(555) 始置澧州 [百度百科] ●廣澄; 嗣馬祖道一 非南嶽懷讓法嗣 唐代僧 澧州(湖南澧縣)人 宏化大同 [傳燈錄八] ●乞養; 乞求養身 【一七○】 예주(*澧州; 또 음이 풍주) 대동 광징선사(*廣澄禪師)가, 중이 묻되 무엇이 이 본래인(本來人)입니까 함으로 인해 스님이 이르되 함께 앉았어도(共坐) 서로 알지 못한다. 중이 이르되 이러하시다면 곧 예배하겠습니다. 스님이..

선문염송집 권5 제169칙(주석2 한글)

●八十員中三兩个; 고존숙어록1 백장회해. 위산이 앙산에게 묻되 백장이 마조를 재참(再參)하면서 불자를 세운 인연에, 이 두 존숙의 의지(意旨)가 무엇인가. 앙산이 이르되 이것은 이 대기대용(大機大用)을 나타낸 것입니다. 위산이 이르되 마조가 84인의 선지식을 배출했는데 몇 사람이 대기(大機)를 얻었으며 몇 사람이 대용을 얻었는가. 앙산이 이르되 백장이 대기를 얻으셨고 황벽이 대용을 얻으셨습니다. 나머지는 다 이 창도(唱導)의 스님들입니다. 위산이 이르되 이와 같고 이와 같다. ●軒轅照破精靈窟; 이 구는 헌원경(軒轅鏡)과 유관(有關)함. 원각경심경(圓覺經心鏡; 大廣圓覺修多羅了義經心鏡 六卷 宋 智聰述) 6. 헌원경(軒轅鏡)과 같아서 곧 삼라만상이 영적(影跡)을 도피하기 어렵다. ▲조정사원5. 헌원경(軒轅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