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암록주해 228

벽암록주해 후서

碧巖錄註解後序 終日懞憧不自知 *橫眠倒臥靑山裏 到頭未免*業風吹 奮發譯韓碧巖注 始自今年五月六日 消七十一个日子譯畢 自後念在禪門拈頌集注底國譯 然此碧巖錄注解與禪門拈頌集註之譯本 未定刊行 我國佛法*凌遲故也 賴有印特網 不妨此本久住於世 故又同前著書 仍然于先上載矣 檀紀四三五四年辛丑 *盂蘭盆供貳日後 平心寺主淨圓謹序於泰華堂 ●橫眠倒臥; 義同橫眠竪臥 橫著眠 竪著臥 任運自在 毫無拘束的樣子 ●業風; 以風比喩業力 謂衆生因善惡業力 而飄流生死海中 猶如風吹枯葉 或風吹船舶 ●凌遲; 凋敗也 [禪林寶訓音義] ●盂蘭盆; Ullambana 又作烏藍婆拏 譯曰倒懸 言苦之甚者 玄音應義十三曰 盂蘭盆 此言訛也 正言烏藍婆拏 此譯云倒懸 按西國法 至於衆僧自恣之日 盛設供具 奉施佛僧 以救先亡倒懸之苦 舊云盂盆是貯食之器 此言訛也 然宗密之盂蘭盆經疏曰 盂蘭是西域之語 此云..

벽암록주해 2021.08.28

벽암록 무당 후서

*後序 雪竇頌古百則 叢林學道詮要也 其間取譬經論或儒家文史 以發明此事 非具眼宗匠時爲後學擊揚剖析 則無以知之 圜悟老師 在成都時 予與諸人請益其說 師後住夾山道林 復爲學徒扣之 凡三提*宗綱 語雖不同 其旨一也 門人掇而錄之 旣二十年矣 師未甞過而問焉 流傳四方 或致*踳駁 諸方且因其言以其道不能尋繹之 而妄有改作 則此書遂廢矣 學者幸諦其傳焉 宣和乙巳春暮*上休 *[刀/牛]人*關友無黨記 ●後序; 文體名 猶跋 刊於卷末的序文 ●宗綱; 宗旨綱要 ●踳駁; 錯亂 駁雜 玉篇 踳駁 色雑不同 ●上休; 音義未詳 上 上旬 休 了 或疑指十日 ●[刀/牛] 書無[刀/牛]字 疑牟 ●關友無黨; 傳記未詳 설두의 송고(頌古) 백칙(百則)은 총림 학도(學道)의 전요(詮要; 詮釋의 要綱)니 그 사이(百則內)에 비유와 경론 혹은 유가(儒家)와 문사(文史; 文學과 史學)를..

벽암록주해 2021.08.28

벽암록 제100칙 송 평창

要平不平細若蚍蜉 大丈夫漢須是恁麽 *大巧若拙不動聲色 藏身露影 或指或掌看 果然這箇不是 倚天照雪斬 覷着則瞎 大冶兮磨礱不下更用煆煉作什麽 *干將莫能求 良工兮拂拭未歇人莫能行 直饒干將出來也倒退三千 別別咄 有什麽別處 讚歎有分 珊瑚枝枝撐著月三更月落影照寒潭 且道向什麽處去 直得天下太平 醉後郞當愁殺人 ●大巧若拙; 道德經第四十五淸靜章 大成若缺 其用不弊 大盈若冲 其用不窮 大直若屈 大巧若拙 大辯若訥 躁勝寒 靜勝熱 淸靜爲天下正 ●干將; 古代劍名 亦匠人名 祖庭事苑六 干將 吳人也 與歐冶子同師闔閭 使造劒二枚 一曰干將 二曰鏌邪 鏌邪 干將妻名 干將作劒 金鐵之精未肯流 夫妻乃翦髮斷指 投之鑢中 金鐵乃濡 遂以成劒 陽曰干將 而作龜文 陰曰鏌邪 而作漫理 干將而匿其陽 出其陰 獻之闔閭 見吳越春秋 불평(不平)을 평(平)코자 하다가 작기로는(細) 비부(蚍蜉; ..

벽암록주해 2021.08.28

벽암록 제100칙 수시 본칙 평창

垂示云 *收因結果 盡始盡終 對面無私 元不曾說 忽有箇出來道 一夏請益爲什麽不曾說 待爾悟來向爾道 且道爲復是當面諱却 爲復別有長處 試擧看 ●收因結果; 謂諸事成就時也 수시(垂示)하여 이르되 인을 거두어 과를 맺으므로(*收因結果)시(始)를 다하고 종(終)을 다하며 대면하여 무사(無私)하므로 원래 일찍이 설하지 않았다. 홀연히 어떤 것(有箇)이 출래(出來)하여 말하되 일하(一夏) 동안 청익(請益)했거늘 무엇 때문에 일찍이 설하지 않았다 하는가 한다면 네가 깨치고 옴을 기다렸다가 너를 향애 말하겠다 하리니 그래 말하라 다시 이는 당면하여 숨겨버렸음이 되는가 다시 따로 장처(長處)가 있음이 되는가, 시험삼아 들어보아라(擧看). ●收因結果; 이르자면 제사(諸事)를 성취할 때임. 【一○○】擧 僧問巴陵 如何是吹毛劍斬 嶮 陵云 ..

벽암록주해 2021.08.28

벽암록 제99칙 송 평창

一國之師亦强名何必空花水月 風過樹頭搖 *南陽獨許振嘉聲果然坐斷要津 千箇萬箇中難得一箇半箇 大唐扶得眞天子*可憐生 接得堪作何用 接得瞎衲僧濟什麽事 曾踏毘盧頂上行一切人何不恁麽去 直得天上天下 上座作麽生踏 鐵鎚擊碎黃金骨暢快平生 已在言前 天地之間更何物茫茫四海少知音 全身擔荷 撒沙撒土 *三千刹海夜沈沈高着眼 把定封疆 爾待入鬼窟裏去那 不知誰入蒼龍窟三十棒一棒也少不得 拈了也 還會麽 咄 諸人鼻孔被雪竇穿了也 莫錯認自己淸淨法身 ●南陽; 河南省西南部都市 位於漢水支流連接地 此指南陽國師 唐代僧慧忠長期住南陽白崖山黨子谷 世稱南陽國師 ●可憐生; 卽可憐 生 助詞 ●三千刹海; 謂指宇宙 三千 三千大千世界之略 刹海 全稱刹土大海 指十方世界而言 俗稱爲宇宙 일국지사(一國之師)도 또한 억지(强)의 이름이지만 어찌 공화수월(空花水月)이 필요하랴. 바람이 지나가면 ..

벽암록주해 2021.08.28

벽암록 제99칙 수시 본칙 평창

垂示云 *龍吟霧起虎嘯風生 出世*宗猷*金玉相振 通方作略箭鋒相拄 遍界不藏 遠近齊彰 古今明辨 且道是什麽人境界 試擧看 ●龍吟霧起虎嘯風生; 比喩氣勢威武雄壯 ●宗猷; 禪法 猷 道也 ●金玉相振; 孟子萬章 孔子之謂集大成 集大成也者 金聲而玉振之也 수시(垂示)하여 이르되 용이 읊조리면 안개가 일어나고 범이 읊으면 바람이 생겨난다(*龍吟霧起虎嘯風生). 출세(出世; 출세간)의 종유(*宗猷)는 금옥이 상진(*金玉相振)함이며 통방(通方)의 작략(作略)은 전봉이 상주(箭鋒相拄; 화살 끝이 서로 맞부딪힘)함이다. 편계(遍界)에 감추지 못하여 원근이 일제히 드러나는지라(齊彰) 고금을 밝게 분변하나니 그래 말하라 이 어떤 사람의 경계인가, 시험삼아 들어보아라(擧看). ●龍吟霧起虎嘯風生; 기세의 위무(威武)가 웅장함에 비유. ●宗猷; 선..

벽암록주해 2021.08.28

벽암록 제98칙 송 평창

禪家流漆桶 一狀領過愛輕薄也有些子 呵佛罵祖如麻似粟 滿肚參來用不著只宜有用處 方木不逗圓孔 闍黎與他同參 堪悲堪笑天平老天下衲僧跳不出 不怕旁人攢眉 也得人*鈍悶 却謂當初悔行脚未行脚已前錯了也 踏破草鞋堪作何用 一筆句下 錯錯是什麽 雪竇已錯下名言了也 西院淸風頓*銷鑠西院在什麽處 何似生 莫道西院 三世諸佛天下老和尙 亦須倒退三千始得 於斯會得 許爾天下橫行 復云 忽有箇衲僧出云錯一狀領過 猶較些子 雪竇錯何似天平錯西院又出世 據款結案 總沒交涉 且道畢竟如何 打云 錯 ●鈍悶; 無情無緒貌 ●銷鑠; 一熔化(消除) 二久病枯瘦 此指一 선가류(禪家流; 流는 品類)가 칠통들을 일장영과(一狀領過)하는구나. 경박(輕薄)을 좋아하여 또한 조금(些子) 있어서 가불매조(呵佛罵祖)함이 삼과 같고 좁쌀과 같다. 밥통(肚)에 가득 채워 참래(參來; 來는 조사)하나 씀을..

벽암록주해 2021.08.28

벽암록 제98칙 수시 본칙 평창

垂示云 一夏嘮嘮打葛藤 幾乎絆倒五湖僧 金剛寶劍當頭截 始覺從來百不能 且道作麽生是金剛寶劍 *眨上眉毛 試請露鋒鋩看 ●眨上眉毛; 上 助詞 一禪家勸誡學人 振作精神 頓悟禪法的習語 二形容領會禪義 應接禪機 極爲快捷 此指一 수시(垂示)하여 이르되 일하(一夏)에 노로(嘮嘮; 지껄이는 모양)하며 타갈등(打葛藤; 언구에 뒤얽힘)하였으니 얼마나 오호(五湖)의 승인(僧人)들을 반도(絆倒; 얽어매고 거꾸러뜨림)하였던가. 금강보검으로 당두(當頭; 當面)를 절단하매 비로소 종래에 온갖 것에 능하지 못했음을 깨닫는다. 그래 말하라 무엇이 이 금강보검인가, 눈썹을 깜작거려라(*眨上眉毛), 시험삼아 청하노니 봉망(鋒鋩; 칼날)을 드러내어 보아라. ●眨上眉毛; 상(上)은 조사. 1. 선가에서 학인에게 권계(勸誡)하여 정신을 진작하고 선법을 돈..

벽암록주해 2021.08.28

벽암록 제97칙 송 평창

明珠在掌上通霄漢 下徹黃泉 道什麽 四邊誵訛 八面玲瓏 有功者賞多少分明 隨他去也 忽若無功時作麽生賞 胡漢不來內外絕消息 猶較些子 全無技倆展轉沒交涉 向什麽處摸索 打破漆桶來相見 伎倆旣無休去歇去 阿誰恁麽道 *波旬失途勘破了也 這外道*魔王 尋蹤跡不見 *瞿曇瞿曇佛眼覰不見 咄 識我也無咄 勘破了也 復云 勘破了也一棒一條痕 已在言前 ●波旬; 又作波卑夜 波旬踰 波俾掾 波鞞 注維摩經四 什曰 波旬 秦言殺者 常欲斷人慧命 故名殺者 義林章六本曰 波卑夜 此云惡者 天魔別名 波旬 訛也 成就惡法 懷惡意故 玄應音義八曰 言波旬者 訛也 正言波卑夜 是其名也 此云惡者 常有惡意 成就惡法 成就惡慧 故名波旬 俱舍光記八曰 釋迦文佛魔王名波旬 ●魔王; 天魔中之王 卽欲界第六天之他化自在天主 其名爲波旬 常率眷屬障礙修持佛道者 經中作魔波旬者 存二音也 [玄應音義八] ●瞿曇; G..

벽암록주해 2021.08.28

벽암록 제97칙 수시 본칙 평창

垂示云 拈一放一 未是作家 擧一明三 猶乖宗旨 直得天地陟陡變四方絕唱 雷奔電馳雲行雨驟 傾湫倒嶽甕瀉盆傾 也未提得一半在 還有解轉天關能移地軸底麽 試擧看 수시(垂示)하여 이르되 염일방일(拈一放一)하여도 이 작가가 아니며 거일명삼(擧一明三)하여도 오히려 종지(宗旨)에 어긋나나니 바로 천지가 갑자기 변하고(陟變; 陟은 陡와 같음. 突然, 頓의 뜻) 사방에 창화(唱和)가 끊기며 뇌분전치(雷奔電馳; 우레가달리고 비가 달리다)하고 운행우취(雲行雨驟; 구름이 다니고 비가 달리다)하며 경추도악(傾湫倒嶽; 늪이 기울고 산악이 거꾸러지다)하고 옹사분경(甕瀉盆傾; 독으로 쏟고 동이를 기울이다)함을 얻더라도 또한 하나에 반을 제득(提得)치 못하여 있나니 도리어 천관(天關)을 돌릴(轉) 줄 알고 능히 지축(地軸)을 옮길 이가 있느냐, 시..

벽암록주해 2021.08.28

벽암록 제96칙 송(木佛) 평창

木佛不渡火燒却了也 唯我能知 常思*破竈墮東行西行有何不可 癩兒牽伴 杖子忽擊著在山僧手裏 山僧不用人 阿誰手裏無 方知辜負我似爾相似 摸索不著 有什麽用處 蒼天蒼天 三十年後始得 *寧可永劫沈淪 不求諸聖解脫 若向箇裏薦得 未免辜負 作麽生得不辜負去 拄杖子未免在別人手裏 ●破竈墮; 唐代僧 嵩山慧安法嗣 隱居嵩嶽 言行難測 傳將竈打破 對竈神說法 [傳燈錄四] ●寧可永劫沈淪; 傳燈錄五靑原行思 師令希遷持書與南嶽讓和尙曰 汝達書了速迴 吾有箇鈯斧子 與汝住山 遷至彼未呈書 便問 不慕諸聖不重己靈時如何 讓曰 子問太高生 何不向下問 遷曰 寧可永劫沈淪 不慕諸聖解脫 讓便休 목불(木佛)은 불을 건너지 못함이여 소각해버렸다. 오직 나만이 능히 안다. 늘 파조타(*破竈墮)를 생각한다 동으로 가든 서로 가든 무슨 불가함이 있으리오. 문둥이가 동무를 끌고 온다. 주장..

벽암록주해 2021.08.28

벽암록 제96칙 송(金佛) 평창

金佛不渡罏燎却眉毛 天上天下唯我獨尊 人來訪紫胡又恁麽去也 只恐喪身失命 牌中數箇字不識字底猫兒也無話會處 天下衲僧插嘴不得 只恐喪身失命 淸風何處無又恁麽去也 頭上漫漫脚下漫漫 又云來也 금불(金佛)은 화로를 건너지 못함이여 눈썹을 태워버렸다. 천상천하가 오직 나라서 존귀하다. 사람이 자호(紫胡; 利蹤이니 南泉을 이었음)를 내방(來訪)했다 또 이러히 가는구나. 다만 상신실명(喪身失命)할까 염려스럽다. 패중(牌中)에 몇 개의 글자여 글자를 알지 못하는 이는 고양이도(개는 且置하고 고양이도) 또한 화회(話會; 언구를 통과하여 교류하거나 혹 領會함)할 곳이 없다. 천하 납승이 부리 꽂음을 얻지 못하나니 다만 상신실명(喪身失命)할까 염려스럽다. 청풍이 어느 곳엔들 없으랴 또 이러히 가는구나. 두상(頭上)에도 만만(漫漫)하고 각하..

벽암록주해 2021.08.28

벽암록 제96칙 본칙 평창 송(泥佛) 평창

【九六】擧 趙州示衆三轉語道什麽 *三段不同 ●三段不同; 三段之文各異故也 【九六】 거(擧)하다. 조주가 3전어(轉語)를 시중했다. 무엇이라고 말하느냐. 3단이 부동하다(*三段不同). ●三段不同; 3단의 글이 각기 다른 연고임. 趙州示此三轉語了 末後却云 眞佛屋裏坐 這一句忒殺郞當 他古人出一隻眼 垂手接人 略借此語 通箇消息 要爲人 爾若一向正令全提 *法堂前草深一丈 雪竇嫌他末後一句漏逗 所以削去 只頌三句 泥佛若渡水 則爛却了也 金佛若渡鑪中 則鎔却了也 木佛若渡火 便燒却了也 有什麽難會 雪竇一百則頌古 計較葛藤 唯此三頌直下有衲僧氣息 只是這頌也不妨難會 爾若透得此三頌 便許爾罷參 ●法堂前草深一丈; 傳燈錄十長沙景岑 我若一向擧揚宗敎 法堂裏須草深一丈 조주가 이 3전어(轉語)를 보이고선 말후에 도리어 이르되 진불(眞佛)이 옥리(屋裏)에 앉았..

벽암록주해 2021.08.28

벽암록 제95칙 수시 본칙 평창 송 평창

垂示云 有佛處不得住 住著頭角生 無佛處急走過 不走過 草深一丈 直饒淨裸裸赤灑灑 事外無機機外無事 未免守株待兔 且道總不恁麽 作麽生行履 試擧看 수시(垂示)하여 이르되 부처가 있는 곳엔 머묾을 얻지 말지니 주착(住著)하면 두각(頭角)이 생(生)하고 부처가 없는 곳은 급히 달려 지나갈지니 달려 지나가지 않으면 풀의 깊이가 1장(丈)이다. 직요(直饒; 縱然) 정나라적쇄쇄(淨裸裸赤灑灑)하여 사외(事外)에 기(機)가 없고 기외(機外)에 사(事)가 없더라도 수주대토(守株待兔)를 면하지 못한다. 그래 말하라 다 이러하지 않을진대 어떻게 행리(行履)하는가, 시험삼아 들어보아라(擧看). 【九五】擧 長慶有時云 寧說*阿羅漢有*三毒焦糓不生芽 不說如來有二種語已是謗釋迦老子了 不道如來無語猶自顢頇 早是七穿八穴 只是無二種語*周由者也 說什麽第三..

벽암록주해 2021.08.28

벽암록 제94칙 수시 본칙 평창 송 평창

垂示云 聲前一句 千聖不傳 面前一絲 長時無間 淨裸裸赤灑灑 *露地白牛 眼卓朔耳卓朔 金毛獅子 則且置 且道 作麽生是露地白牛 ●露地白牛; 露地 爲門外之空地 喩平安無事之場所 白牛 意指淸淨之牛 法華經譬喩品中 以白牛譬喩一乘敎法 從而指無絲毫煩惱汚染之淸淨境地爲露地白牛 ▲新華嚴經論二 是故門前之乘對三乘設 露地白牛方明至無依之處 露地者 卽佛地也 爲佛智無依止故 故云露地 白牛者 卽法身悲智也 以法身無相名之爲白 智能觀機悲心濟物 名之爲牛 수시(垂示)하여 이르되 성전(聲前)의 1구는 천성(千聖)도 전하지 못하고 면전(面前)의 1사(絲)는 장시(長時)에 간단(間斷) 없다. 정나라적쇄쇄(淨裸裸赤灑灑)는 노지백우(*露地白牛)니 안탁삭이탁삭(眼卓朔耳卓朔; 눈이 또렷하고 귀가 쫑긋함. 영리한 모양)한 금모사자(金毛獅子)는 곧 그래 두고 그래 말하라..

벽암록주해 2021.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