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용록 215

종용록주역후서

從容錄註譯後序 自從壬寅二月八釋尊出家日 以此從容錄之註與譯同時施行 中間應完州大覺寺慧公上人之請 註譯了金剛經川老解鄭震註 再進行而歷未滿三個月告畢 本註與補註合三千四百餘目也 於昨年所註譯之碧巖錄 過於七百餘項 始知湛然居士所云 其參學之際 機鋒罔測 變化無窮 巍巍然若萬仞峯莫可攀仰 滔滔然若萬頃波莫能涯際者 不是虛言也 此本又仍然于先上載於印特網矣 檀紀四三五五年 壬寅蒲月 淨圓謹書于泰華堂 임인(壬寅; 2022) 2월 8 석존 출가일로부터 이 종용록의 주(註)와 역(譯)을 동시에 시행했는데 중간에 완주(完州) 대각사 혜공상인(慧公上人)의 청에 응해 금강경천로해정진주(金剛經川老解鄭震註)를 주역(註譯)해 마치고 다시 진행하여 3개월 미만을 경력(經歷)하여 마침을 고했다. 본주(本註)와 보주(補註)의 합이 3천4백 여 목(餘)이니 작년에 주역..

종용록 2022.07.25

종용록 제81칙 시중 본칙

第八十一則玄沙到縣 示衆云 動卽影現 覺卽塵生 擧起分明 放下*穩密 本色道人相見 如何說話 ●穩密; 安穩而周密 시중하여 이르되 동(動)하면 곧 그림자가 나타나고 각(覺)하면 곧 티끌이 생기(生起)하며 거기(擧起)하면 분명하고 방하(放下)하면 온밀(*穩密)하나니 본색도인(本色道人)이 상견하면 어떻게 설화(說話)하는가. ●穩密; 안온(安穩)하면서 주밀(周密)함. 擧 玄沙到*蒲田縣 *百戲迎之 次日問小塘長老 昨日許多喧鬧 向甚麽處去也〈又閙也〉 小塘提起*袈裟角〈果然*手忙脚亂〉 沙云 *?挑沒交涉〈謝證據〉 ●蒲田縣; 又作莆田縣 現爲莆田市荔城區 秀嶼區 城廂區和涵江區 原莆田縣位於福建省東部沿海 [百度百科] ●百戲; 指傀儡雜劇等 梁元帝纂要曰 古有百戱 起于秦漢 [虛堂錄犂耕] ●袈裟; kaṣāya 指纏縛於僧衆身上之法衣 以其色不正而稱名 ..

종용록 2022.07.06

종용록 제80칙 본칙

擧 龍牙問*翠微 如何是祖師西來意〈一迴拈出一迴新〉 微云 與我過*禪板來〈*著本圖利〉 牙取禪板與翠微〈*兀兀??〉 微接得便打〈情知是〉 牙云 打卽任打 要且無祖師西來意〈半肯半不肯〉 又問臨濟 如何是祖師西來意〈*頑皮癩肉〉 濟云 與我將蒲團來〈好本多同〉 牙取蒲團與臨濟〈將錯就錯〉 濟接得便打〈*順手*骨挅〉 牙云 打卽任打 要且無祖師意〈得恁*軟頑〉 牙後住院 僧問 和尙當年問翠微臨濟祖意 二尊宿明也未〈貧兒思舊債〉 牙云 明卽明矣 要且無祖師意〈焦塼打著連底凍〉 ●翠微; 翠微無學 唐代僧 嗣丹霞天然 居終南山翠微寺 世稱翠微無學禪師 [傳燈錄十四] ●禪板; 又作禪版 倚版 僧衆坐禪時 爲消除疲勞 用以安手或靠身之板 一般長五十四公分 寬六公分 厚約一公分 上穿小圓孔 用繩貫穿小圓孔 縛於繩床後背之橫繩 使板面稍斜 可以倚身安手時 則把禪板橫放在兩膝上 [碧巖錄第二十則 ..

종용록 2022.07.05

종용록 제80칙 시중

第八十則龍牙過板 示衆云 *大音希聲大器晚成 向*盛忙百鬧裏佯呆 待*七古千年後慢㤆 且道 是如何底人 ●大音希聲; 希聲 無聲 聽而不聞的聲音 道德經道紀章第十四 視之不見名曰夷 聽之不聞名曰希 ▲道德經聞道章第四十一 大器晩成 大音希聲 ●盛忙百鬧; 形容甚悤忙喧鬧的樣子 ●七古千年; 形容長久之歲月 시중하여 이르되 대음은 희성(*大音希聲)이며 대기는 만성(大器晚成)이다. 성망백뇨(*盛忙百鬧) 속을 향해 어리석은 체하고 칠고천년(*七古千年)을 기다렸다가 만반(慢㤆; 늦음을 뉘우치다)하나니 그래 말하라, 이 어떤 사람인가. ●大音希聲; 희성(希聲)은 소리가 없음이니 들으려고 해도 듣지 못하는 성음(聲音). 도덕경 도기장 제14. 그것을 보려고 해도 보지 못함을 이름해 가로되 이(夷)며 그것을 들으려고 해도 듣지 못함을 이름해 가로되..

종용록 2022.07.05

종용록 제79칙 본칙

擧 長沙令僧問會和尙 未見南泉時如何〈早晨有粥〉 會良久〈問著便屎臭氣〉 僧云 見後如何〈更與*挑剔〉 會云 不可別有也〈只向屎堆裏躂倒〉 僧迴擧似沙〈*走口送舌漢〉 沙云 百尺竿頭坐底人〈竿下底一場懡㦬〉 雖然得入未爲眞〈孤危不立道方高〉 百尺竿頭須進步〈甚底大如箇割捨〉 十方世界是全身〈始信*蒲團不是天〉 僧云 百尺竿頭如何進步〈果有這箇在〉 沙云 朗州山澧州水〈築著磕著〉 僧云 不會〈*可㬠聰明〉 沙云 *四海五湖王化裏〈一任*?跳〉 ●挑剔; 指點 點檢 ●走口送舌漢; 喩指只會傳達別人的話 自己却毫無主見之人 卽傳聲筒 ●蒲團; 以蒲草編織而成之圓形扁平坐具 乃僧人坐禪及跪拜時所用之物 ●可㬠; 卽可煞 㬠 用同煞 甚 極 表示程度之深 ●四海五湖; 又作五湖四海 泛指全國各地 中國大陸四面環海 陸地上有五大湖分布 故泛稱全國各地爲四海五湖 ●?跳; ? 蹦也 又作踣跳 勃跳..

종용록 2022.07.04

종용록 제79칙 시중

第七十九則長沙進步 示衆云 *金沙灘頭馬郞婦 別是精神 瑠璃甁裏擣?餻 誰敢轉動 不入驚人浪 難逢稱意魚 寬行大步 一句作麽生 ●金沙灘頭馬郞婦; 佛祖統紀四十一曰 馬郞婦者出陝右 初是此地俗習騎射 蔑聞三寶之名 忽一少婦至 謂人曰 有人一夕通普門品者 則吾歸(女嫁也)之 明旦誦徹者二十輩 復授以般若經 旦通猶十人 乃更授法華經 約三日通徹 獨馬氏子得通 乃具禮迎之 婦至以疾求止他房 客未散而婦死 須臾壞爛遂葬之 數日有紫衣老僧至葬所 以錫撥其屍 挑金鎖骨謂衆曰 此普賢聖者 閔汝輩障重故垂方便 卽陵空而去 시중하여 이르되 금사탄두의 마랑부(*金沙灘頭馬郞婦)는 별다른 이 정신(精神)이거니와 유리병 속에서 자고(?餻; 인절미)를 찧는다면 누가 감히 동전(轉動)하겠는가. 사람을 놀라게 하는 파랑에 들지 않으면 뜻에 맞는 고기를 만나기 어렵나니 넓게 대보(大步)를..

종용록 2022.07.04

종용록 제78칙 시중 본칙

第七十八則雲門餬餠 示衆云 *絻天索價 搏地相酬 百計經求 一場懡㦬 還有知進退識*休咎底麽 ●絻天索價; 絻 母官切 連也 絻天 與縵天徧天同義 ●休咎; 善惡 休 善 咎 惡 休咎卽善惡是非禍福等義 시중하여 이르되 만천(絻天)하여 값을 찾고 박지(搏地)하며 상수(相酬)하면서 백계(百計)로 경구(經求; 경영하며 구함)하여도 일장마라(一場懡㦬)다. 도리어 진퇴를 알고 휴구(*休咎)를 아는 이가 있느냐. ●絻天索價; 만(絻)은 모관절(母官切)이니 련(連)임. 만천(絻天)은 만천(縵天)ㆍ편천(徧天)과 같은 뜻. ●休咎; 선악이니 휴(休)는 선이며 구(咎)는 악. 휴구는 곧 선악ㆍ시비ㆍ화복 등의 뜻. 擧 僧問雲門 如何是超佛越祖之談〈此問太高生〉 門云 餬餠〈一擧四十九〉 거(擧)하다. 중이 운문에게 묻되 무엇이 이 초불월조지담(超佛越..

종용록 2022.07.03

종용록 제77칙 시중 본칙

第七十七則仰山隨分 示衆云 如人畫空下筆卽錯 那堪起模作樣 堪作甚麽 ○萬松已是露栓索 有條攀條 無條攀例 시중하여 이르되 예컨대(如) 사람이 허공에 그림을 그린다면 하필(下筆)하매 곧 어긋나거늘 어찌 기모작양(起模作樣)함을 감내하겠는가, 차마 무엇을 짓겠는가. ○만송이 이미 이 전삭(栓索; 法度)을 드러내었으니 조문이 있으면 조문을 당기고 조문이 없으면 예문을 당겨라. 擧 僧問仰山 和尙還識字否〈是甚麽字〉 山云 *隨分〈當仁不讓〉 僧乃右旋一匝云 是甚麽字〈已見*偏傍〉 山於地上書箇十字〈更書畫點〉 僧左旋一匝云 是甚麽字〈*半滿俱分 形聲*轉注〉 山改十字作*卍字〈機輪轉處智眼猶迷〉 僧畫一圓相 以兩手托如*修羅掌日月勢云 是甚麽字〈細看*切脚〉 山乃畫圓相 圍却卍字〈天下衲僧跳不出〉 僧乃作*樓至勢〈門外金剛笑汝〉 山云 如是如是 汝善護持〈關空..

종용록 2022.07.02

종용록 제76칙 송

佛祖髑髏穿一串〈一任伊?跳〉 *宮漏沈沈密傳箭〈不許外人知〉 人天機要發千鈞〈以輕勞重〉 雲陣輝輝急飛電〈眨]眼蹉過〉 箇中人看轉變〈計在臨時〉 遇賤則貴貴則賤〈心知本自同 所以無飮怨〉 得珠罔象兮至道綿綿〈一念不生全體現〉 游刃亡牛兮赤心片片〈泪出痛腸〉 ●宮漏; 漏 漏壺 古代計時器 불조의 촉루를 한 꼬챙이로 꿰니 〈너의 펄쩍 뛰는 대로 일임한다〉/ 궁루(*宮漏)는 침침하고 밀령(密令)을 전하는 화살이다〈외인이 아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인천(人天)의 기요(機要)는 천균(千鈞)을 발사함이니 〈경(輕)으로써 중(重)을 (煩勞)하게 한다〉/ 운진(雲陣)이 휘휘(煇煇; 밝은 모양)하고 급히 나는(飛) 번개다 〈눈을 깜작하면 차과(蹉過; 놓치다)한다〉/ 개중(个中; 이 중)의 사람이 전변(轉變)을 보나니 〈계획이 임시에 있다〉/ 천..

종용록 2022.07.01

종용록 제76칙 시중 본칙

第七十六則首山三句 示衆云 一句明三句 三句明一句 三一不相涉 分明向上路 且道 是那一句在先 시중하여 이르되 1구가 3구를 밝히고 3구가 1구를 밝히나니 삼일(三一)이 상섭(相涉)하지 않아야 분명한 향상로(向上路)다. 그래 말하라, 이 어떤 1구가 선두(先頭)에 있는가. 擧 首山示衆云 第一句薦得 與佛祖爲師〈猶是萬松兒孫〉 第二句薦得與人天爲師〈敎壞人家男女〉 第三句薦得自救不了〈說這不唧嬼漢〉 僧云 和尙是第幾句薦得〈儞試卜度〉 山云 月落三更穿市過〈三句可辨一鏃*遼空〉 ●遼空; 意爲摩天 又作遼天 거(擧)하다. 수산(首山; 省念)이 시중하여 이르되 제1구에 천득(薦得; 領悟)하면 불조에게 스승이 되어 주고 〈오히려 이 만송의 아손이다〉 제2구에 천득하면 인천(人天)에게 스승이 되어 주고 〈인가(人家)의 남녀를 무너뜨리게 한다〉..

종용록 2022.07.01

종용록 제75칙 송

圓珠*不穴〈甚處*下手〉 大璞不琢〈可惜功夫〉 道人所貴無*稜角〈*就理藏鋒〉 *拈却肯路根塵空〈十二處忘閑影響〉 脫體無依*活卓卓〈*三千界放淨光明〉 ●不穴; 穴 掘鑿 ●下手; 一動手 著手 二指知識技能低下 ●稜角; 一物體的邊角或尖角 二比喻顯露鋒芒 ●就理藏鋒; 祖庭事苑二 袖裏藏鋒 達觀(金山曇穎 嗣谷隱蘊聰 臨濟下六世)錄四藏鋒頌序云 叢林舊有四藏鋒 一曰就事藏鋒 二曰就理藏鋒 三曰入就藏鋒 四曰出就藏鋒 不知何人改就爲袖 改理爲裏云云 今禪家錄 用就字爲襟袖字 用理字爲表裏字 共所不疑也 且如風穴錄 有四出就語 一曰如何是密室中事 出袖談今古 回顔獨皺眉 二曰九夏賞勞 請師言薦 出袖拂開龍洞雨 泛杯波涌鉢囊花 三擧南泉辭寒山遊石橋緣 僧問 師意旨如何 出袖藏鋒能靈利 毛睫無差滑石橋 四勘僧云 聲前來 句後殺 僧應(同喏) 師云 出袖藏鋒無定止 汝潰經雨倒降旗 此蓋後人..

종용록 2022.06.30

종용록 제75칙 시중 본칙

第七十五則瑞巖常理 示衆云 喚作如如早是變也 智不到處 切忌道著 這裏還有參究分也無 시중하여 이르되 여여(如如)라고 불러 지으면 벌써 이 변한 것이다. 지(智)가 이르지 않는 곳은 말함(道著)을 간절히 꺼리나니 이 속에 도리어 참구할 분한이 있느냐 또는 없느냐. 擧 瑞巖問巖頭 如何是本常理〈有理不在高聲〉 頭云 動也〈可知理也〉 巖云 動時如何〈再犯不容〉 頭云 不見本常理〈相物作價〉 巖佇思〈却識慚愧〉 頭云 肯卽未脫根塵〈箇中無肯路〉 不肯卽永沈生死〈當堂不正坐 那赴兩頭機〉 거(擧)하다. 서암이 암두에게 묻되 무엇이 이 본상리(本常理)입니까. 〈도리가 있음은 고성(高聲)에 있지 않다〉 암두가 이르되 동(動)했다. 〈가히 도리를 안다 하리라〉 서암이 이르되 동할 때는 어떻습니까. 〈재범(再犯)은 용납하지 않는다〉 암두가 이르되 ..

종용록 2022.06.30

종용록 제74칙 송

沒蹤跡〈*羚羊挂角〉 斷消息〈久負不逢〉 白雲無根〈妙體本來無處所〉 淸風何色〈通身那更有*蹤由〉 散乾蓋而非心〈尙能出岫〉 持*坤輿而有力〈不費精神〉 洞千古之淵源〈盡向這裏流出〉 造萬象之*模則〈一法之所印〉 *刹塵道會也處處普賢〈*欄街截巷〉 樓閣門開也頭頭彌勒〈築著磕著〉 ●羚羊挂角; 又作羚羊掛角 比喩大悟之人泯絶迷執之蹤跡 猶如羚羊眠時 角掛樹枝 脚不觸地 完全不留痕跡 比喩沒蹤跡 無罣礙之情形 ●蹤由; 蹤迹原由 又作踪由 ●坤輿; 易說卦 坤爲地 …… 爲大輿 孔穎達疏 爲大輿 取其能載萬物也 後因以坤輿爲地的代稱 [百度漢語] ●模則; 楷模 准則 ●刹塵; 無數國土之謂 或比喩數量極多 ●欄街截巷; 見上第七十一則攔街截巷 종적이 없고 〈영양이 뿔을 걸었다(*羚羊挂角)〉 소식이 끊겼나니 〈오래 등져서 만나지 못했다〉/ 백운이 뿌리가 없거늘 〈묘체(妙體..

종용록 2022.06.29

종용록 제74칙 시중 본칙

第七十四則法眼質名 示衆云 富有萬德 蕩無纖塵 離一切相 卽一切法 百尺竿頭進步 十方世界全身 且道 甚麽處得來 시중하여 이르되 부유하면 만덕(萬德)이 있고 소탕하면 섬진(纖塵)도 없나니 일체상을 여의어야 곧 일체법이다. 백척간두에서 진보(進步)해야 시방세계가 전신(全身)이니 그래 말하라 어느 곳에서 얻어 왔느냐. 擧 僧問法眼 承敎有言 從無住本立一切法 如何是無住本〈合取狗口〉 眼云 形興未質〈莫*眼華〉 名起未名〈畢竟喚作甚麽〉 ●眼華; 見上第十一則眼花 거(擧)하다. 중이 법안(法眼)에게 묻되 듣건대(承) 교에 말씀이 있기를 무주(無住)의 근본으로부터 일체법을 세운다 했습니다. 무엇이 이 무주의 근본입니까. 〈개 아가리 닫아라〉 법안이 이르되 형상(形相)이 일어나면 본질이 아니며 〈안화(*眼華)하지 말아라〉 이름이 일어나..

종용록 2022.06.29

종용록 제73칙 송

淸白門庭四絕隣〈腦後見腮莫與往來〉 長年關掃不容塵〈設有一點無著處〉 光明轉處傾殘月〈*否極泰生〉 爻象分時却*建寅〈陰慘陽舒〉 新滿孝〈泪痕猶未罷〉 便逢春〈*相喚打秋千〉 醉步狂歌任墮巾〈熟不講禮〉 散髮*夷猶誰管係〈千自由百自在〉 太平無事酒顚人〈七村裏這漢快活〉 ●否極泰生; 與否極泰來同義 易語 否塞至其極 則泰平却到來 謂窮則變變則通 ●建寅; 指夏曆正月 古代以北斗星斗柄的運轉計算月分 斗柄指向十二辰中的寅卽爲夏曆正月 [百度漢語] ●相喚打秋千; 秋千 卽鞦韆 乃兒童遊戱之物 ●夷猶; 猶豫遲疑不前 也作夷由 청백(淸白)한 문정(門庭)이라 사방에 이웃이 끊겼나니 〈뇌후(腦後)에서 뺨이 보이거든 더불어 왕래하지 말아라〉/ 장년(長年)토록 소제(掃除)를 상관하여 티끌을 용납하지 않는다 〈설사 있더라도 일점도 붙일 곳이 없다〉/ 광명이 전(轉)하는..

종용록 2022.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