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용록 260

종용록주역후서

從容錄註譯後序 自從壬寅二月八釋尊出家日 以此從容錄之註與譯同時施行 中間應完州大覺寺慧公上人之請 註譯了金剛經川老解鄭震註 再進行而歷未滿三個月告畢 本註與補註合三千四百餘目也 於昨年所註譯之碧巖錄 過於七百餘項 始知湛然居士所云 其參學之際 機鋒罔測 變化無窮 巍巍然若萬仞峯莫可攀仰 滔滔然若萬頃波莫能涯際者 不是虛言也 此本又仍然于先上載於印特網矣 檀紀四三五五年 壬寅蒲月 淨圓謹書于泰華堂 임인(壬寅; 2022) 2월 8 석존 출가일로부터 이 종용록의 주(註)와 역(譯)을 동시에 시행했는데 중간에 완주(完州) 대각사 혜공상인(慧公上人)의 청에 응해 금강경천로해정진주(金剛經川老解鄭震註)를 주역(註譯)해 마치고 다시 진행하여 3개월 미만을 경력(經歷)하여 마침을 고했다. 본주(本註)와 보주(補註)의 합이 3천4백 여 목(餘)이니 작년에 주역..

종용록 2022.07.25

종용록 제100칙 송

見有不有〈*一般麵草〉 翻手覆手〈由人做造〉 瑯琊山裏人〈叉手云慧覺〉 不落*瞿曇後〈一語傷人 千刀攪腹〉 ●一般麵草; 草 疑麨 楞嚴經合轍一曰 古語云 一般麵麨由人做造 ●瞿曇; Gautama 或 Gotama 爲印度刹帝利種中之一姓 瞿曇仙人之苗裔 卽釋尊所屬之本姓 又作裘曇 喬答摩 瞿答摩 俱譚 具譚 此云地最勝 泥土 地種 暗牛 牛糞種 滅惡 又異稱爲日種 甘蔗種 ▲祖庭事苑四 甘蔗 世尊別姓有五 一瞿曇氏 二甘蔗氏 三日種氏 四舍夷氏 五釋迦氏 此五氏中 趣擧一姓 卽是言吾佛也 유(有)를 보나 유가 아니니 〈일반의 면초지만(*一般麵草)〉/ 손을 뒤집고 손을 엎음이다(翻手覆手) 〈사람의 주조(做造; 저본에 故造로 지었음)를 말미암는다〉/ 낭야산 속의 사람이 〈차수(叉手)하고 이르되 혜각(慧覺)이다〉/ 구담(瞿曇)의 뒤에 떨어지지 않는다〈일어(..

종용록 2022.07.25

종용록 제100칙 시중 본칙

第百則瑯琊山河 示衆云 一言可以興邦 一言可以喪邦 此藥亦能殺人 此藥亦能活人 仁者見之謂之仁 智者見之謂之智 且道 利害在甚麽處 시중하여 이르되 일언으로 가이(可以; 以는 조사) 흥방(興邦)하고 일언으로 가이 상방(喪邦)한다. 이 약은 또한 능히 살인하고 이 약은 또한 능히 활인한다. 인자(仁者)가 이를 보면 인(仁)이라 이르고 지자(智者)가 이를 보면 지(智)라고 이른다. 그래 말하라 이해(利害)가 어느 곳에 있느냐. 擧 *僧問瑯琊覺和尙 淸淨本然 云何忽生山河大地〈迷時三界有〉 覺云 淸淨本然 云何忽生山河大地〈悟後十方空〉 ●僧; 指子璿 見上第八十八則本則脚註長水璿 普燈錄三長水子璿 聞瑯瑘道重當世 卽趨其席 値上堂次 出問 淸淨本然 云何忽生山河大地 瑘憑陵答曰 淸淨本然 云何忽生山河大地 師領悟 거(擧)하다. 중(*僧)이 낭야각(瑯..

종용록 2022.07.25

종용록 제99칙 송

鉢裏飯桶裏水〈椀盛杓戽〉 開口見膽求知已〈只爲分明極 翻令*所得遲〉 擬思便落二三機〈天童第四〉 對面忽成千萬里〈是必早廻程〉 韶陽師較些子〈未敢相保〉 斷金之義兮誰與相同〈心不負人〉 匪石之心兮獨能如此〈面無慚色〉 발우 속의 밥이며 통 속의 물이라 하니 〈사발(椀)에 작호(杓戽; 구기와 두레박〉가 가득하다/ 입을 열어 담을 보이면서 지기(知己)를 구한다 〈다만 분명함이 지극하기 때문에 도리어 얻는 바(所得; 저본에 得所로 지었음)를 더디게 한다〉/ 사유하려고 하면 곧 이삼기(二三機)에 떨어지고 〈천동은 제4다〉/ 대면(對面)하여 홀연히 천만 리를 이룬다 〈이는 반드시 일찍 회정(廻程)하리라〉/ 소양사(韶陽師; 운문대사)가/ 조금은 상당하나니 〈감히 상보(相保; 보증)하지 못한다〉/ 단금의 의(斷金之義)를 누구와 서로 함께하..

종용록 2022.07.24

종용록 제99칙 시중 본칙

第九十九則雲門鉢桶 示衆云 棊有別智 酒有別腸 *狡兔三穴 *猾胥萬倖 更有箇*誵頭底 且道 是誰 ●狡兔三穴; 狡猾兔子 掘鑿三穴 以對非常 ●猾胥; 狡猾多才 猾 狡猾 胥 有才智者 後作諝 ●誵頭; 誵 言不恭謹 頭 後綴 바둑에 특별한 지혜가 있고 술에 특별한 창자가 있고 교활한 토끼는 세 굴이고(*狡兔三穴) 활서(*猾胥)는 만행(萬倖; 만 번 요행을 얻음)이다. 다시 저(箇) 효두(*誵頭; 말을 삼가지 않는 이)가 있으니 그래 말하라 이 누구인가. ●狡兔三穴; 교활한 토끼가 세 굴을 파서 비상(非常)에 대비함. ●猾胥; 교활하고 재간(才幹)이 많음. 활(猾)은 교활이며 서(胥)는 재지(才智)가 있는 자니 후에 서(諝; 슬기)로 지었음. ●誵頭; 효(誵)는 말이 공근(恭謹)하지 않음이며 두는 후철. 擧 僧問雲門 如何是*..

종용록 2022.07.24

종용록 제98칙 송

不入世〈物外橫身〉未循緣〈*刮篤成家〉 *劫壺空處有家傳〈猫兒*屋頭尿〉 白蘋風細秋江暮〈淸虗冷淡〉 古岸舡歸一帶煙〈目斷天涯〉 ●刮篤成家; 謂以嚴謹篤實之禪機而成家風 ●劫壺; 禪門拈頌集第六八五則 拈頌說話曰 劫壺者 空劫時事 如壺中天地云云也 ●屋頭; 屋邊 屋上 세상에 들지 않고 〈물외(物外)에 횡신(橫身)했다〉 인연을 따르지 않나니 〈괄독성가(*刮篤成家)했다〉/ 겁호(*劫壺)가 공한 곳에 가전(家傳)이 있다 〈고양이가 옥두(*屋頭)에 오줌 눈다〉/ 백빈(白蘋; 흰 마름꽃)에 바람이 적은 추강(秋江)의 저녁에 〈청허(淸虗)하고 냉담(冷淡)하다〉/ 고안(古岸)의 배가 일대(一帶)의 아지랑이를 보낸다 〈눈에 천애(天涯)가 끊겼다〉 ●刮篤成家; 이르자면 엄근(嚴謹; 엄하게 삼가다)하고 독실한 선기를 써서 가풍을 이룸. ●劫壺;..

종용록 2022.07.23

종용록 제98칙 시중 본칙

第九十八則洞山常切 示衆云 九峯截舌 追和石霜 曹山斫頭 不辜洞嶺 古人三寸得恁麽密 且爲人手段在甚麽處 시중하여 이르되 구봉(九峯)은 절설(截舌)한다 하여 석상(石霜)을 추화(追和; 추종하여 화응)했고 조산(曹山)은 작두(斫頭)하라 하며 동령(洞嶺; 洞山)을 저버리지 않았다. 고인은 삼촌(三寸; 혀)이 이렇게 면밀함을 얻었거니와 그래 사람을 위하는 수단이 어느 곳에 있느냐. 擧 僧問洞山 *三身中 那身不墮諸數〈*前三三後三三〉 山云 吾常于此切〈氣急殺人〉 ●三身; 有四種 法報應之三身 自性受用變化之三身 法應化之三身 法報化之三身是也 三藏法數五 三身[出金光明經玄義] 身卽聚集之義 謂聚集諸法而成身也 所謂理法聚名法身 智法聚名報身 功德法聚名應身 一法身 謂始從初住 顯出法性之理 乃至妙覺極果 理聚方圓 是名法身 二報身 謂始從初住 終至妙覺..

종용록 2022.07.23

종용록 제97칙 송

君王底意語知音〈一發善言〉 天下傾誠葵藿心〈千里福應〉 掇出中原無價寶〈兩手分付〉 不同趙璧與燕金〈別是一家珍〉 中原之寶呈興化〈分付著頭〉 一段光明難定價〈自買自賣〉 帝業堪爲萬世師〈裂破古今〉 金輪景耀四天下〈猶有化在〉 군왕의 저의는 지음(知音)을 말함이니 〈선언(善言)을 일발(一發)했다〉/ 천하에서 진성(眞誠)을 기울이는 규곽(葵藿; 해바라기)의 마음이다 〈천 리에서 복(福)으로 응한다〉/ 중원의 무가보(無價寶)를 주워 내니 〈양손으로 분부했다〉/ 조벽(趙璧)과 연금(燕金)과는 같지 않다 〈별다른 하나의 가진(家珍)이다〉 중원의 보배를 흥화에게 보여주니 〈분부하여 머리에 두었다(著頭)〉/ 일단(一段)의 광명이라 값을 정하기 어렵다 〈자기가 사고 자기가 판다(自買自賣〉/ 제업(帝業)이 만세사(萬世師)를 감내하나니 〈고금을..

종용록 2022.07.22

종용록 제97칙 본칙

擧 *同光帝謂興化曰 寡人收得中原一寶〈少賣弄〉 只是無人酬價〈傾國莫換〉 化云 借陛下寶看〈因便接勢〉 帝以兩手引*幞頭脚〈幸遇其人〉 化云 君王之寶 誰敢酬價〈一併交足 別無少缺〉 ●同光帝; (在位923-926) 拈頌說話云 同光帝者 後唐莊宗皇帝 如唐宣宗號大中天子 收中原獲一寶云云者 當時收復中原後問也 ▲按佛祖歷代通載十七 後唐 姓李氏 王土德 都汴洛 起太原 雷氏曰 唐武克用 莊 明 閔 末四主十五 莊宗存勗 太祖嫡子 母曹后 帝英武善戰 滅梁代之 自梁祖二年立 至同光三年 四十三歲崩 葬河南雍陵 ▲宗統編年十六 唐僖宗戊申文德元年(888) 臨濟第二世魏州興化廣濟祖寂 注云 堯封潛正訛記曰 景德傳燈錄 魏府興化存獎禪師 爲後唐莊宗師 莊宗一日謂師曰 朕收大梁 得一顆明珠 未有人酬價 師曰 請陛下珠看 帝以手舒開幞頭脚 師曰 君王之寶 誰敢酬價 碑文 師化於文德元年七月..

종용록 2022.07.22

종용록 제97칙 시중

第九十七則光帝*檏頭 示衆云 *達磨朝梁武 本爲傳心 *鹽官識大中 不妨具眼 天下太平國王長壽 *不犯天威 日月*停景 四時和適 有光風化 人王法王相見 合談何事 ●檏頭; 當作幞頭 ●達磨朝梁武; 見上第二則 ●鹽官識大中; 見上第二十五則頌之評唱 ●不犯天威; 天威 天子的威嚴 禪門拈頌集第八九則 馬鳴祖師 一日有一外道索論議 集國王大臣 并及四衆 俱會論場 馬鳴云 汝義以何爲宗 外道云 凡有言說 我皆能破 馬鳴乃指國王云 當今國土康寧 大王長壽 請汝破之 外道屈伏 ●停景; 謂時間駐留 景 古影字 시중하여 이르되 달마가 양무를 조현(朝見)한 것(*達磨朝梁武)은 본래 전심(傳心) 때문이었고 염관이 대중을 안 것(*鹽官識大中)은 구안(具眼)에 방애되지 않는다. 천하가 태평하고 국왕이 장수하니 천위를 범하지 못한다(*不犯天威). 일월이 정영(*停景)하고 ..

종용록 2022.07.22

종용록 제96칙 송

石霜一宗〈蜂攢蟻聚〉 親傳九峯〈*氷消瓦解〉 香煙脫去〈生死自在卽不無〉 正脈難通〈先師意未夢見在〉 月巢鶴作千年夢〈樹倒不飛〉 雪屋人迷一色功〈日出後一場懡㦬〉 坐斷十方猶點額〈切忌生根〉 密移一步看飛龍〈別般造化〉 ●氷消瓦解; 又作氷銷瓦解 氷銷爲水 瓦解爲泥 形容解疑或失本形 석상(石霜) 일종(一宗)을 〈벌이 모이고 개미가 모였다(蜂攢蟻聚)〉/ 구봉(九峯)에게 친히 전수했다 〈얼음이 녹고 기와가 풀렸다(*氷消瓦解〉)/ 향연(香煙)에 탈거(脫去)함은 〈생사에 자재함은 곧 없지 않으나〉/ 정맥(正脉)을 통하기 어렵다 〈선사(先師)의 뜻은 꿈에도 보지 못하여 있다〉/ 월소(月巢)에 학이 천년몽(千年夢)을 꾸는데 〈나무가 넘어지면 날지 못한다〉/ 설옥(雪屋)의 사람은 일색공(一色功)을 혼미했다 〈일출(日出)한 후에 일장마라(一場懡㦬..

종용록 2022.07.21

종용록 제96칙 본칙

擧 九峯在石霜作侍者 霜遷化後 衆欲請堂中首座接續住持〈便好學*能無伎倆 不應如*秀拂塵埃〉 峯不肯乃云 待某甲問過 若會先師意 如先師侍奉〈路見不平〉 遂問 先師道 休去歇去〈費力作麽〉 一念萬年去〈忘前失後漢〉 寒灰枯木去〈有甚氣息〉 一條白練去〈切忌點污〉 且道 明甚麽邊事〈只要無事〉 座云 明一色邊事〈兩般了也〉 峯云 恁麽則未會先師意在〈一朝權在手〉 座云 爾不肯我那 *裝香來〈果然不會〉 座乃焚香云 我若不會先師意 香煙起處*脫去不得〈氣急殺人〉 言訖便坐脫〈這裏甚麽所在恁麽去〉 峯乃撫其背云 *坐脫立亡則不無〈出身猶可易〉 先師意未夢見在〈脫體道應難〉 ●能無伎倆; 六祖道 慧能無伎倆 不斷百思想 對境心數起 菩提作麽長 上已出 ○伎倆; 能巧多藝也 [禪林寶訓音義] ●秀拂塵埃; 聯燈會要二五祖弘忍 師將付法 命門人呈偈 見性者付焉 有上首神秀大師 作一偈 書于廊壁間云..

종용록 2022.07.21

종용록 제96칙 시중

第九十六則九峯不肯 示衆云 *雲居不憑*戒珠*舍利 九峯不愛坐脫立亡 *牛頭不要百鳥㗸花 *黃蘗不羨浮柸渡水 且道 別有何長處 ●雲居不憑戒珠舍利; 雲居 雲居道膺 禪門拈頌集第八六四則 雲居會裏有一僧在山下卓庵 經于數載 師一日 令僧持袴一腰 往庵中與他 庵主云 某甲自有孃生袴在 僧迴擧似師 師云 你何不問伊 祗如孃未生時 着箇什麽 其僧再去問 庵主無語 後來庵主遷化 却有五色舍利 師云 縱有八斛四斗 爭如當時道得一句 光前絶後 ●戒珠; 比喩戒律如明珠之潔白無瑕 可莊嚴人身 故當精進勤修淨戒 護己懷中之明珠 ▲梵網經下 戒如明日月 亦如瓔珞珠 ●舍利; śarīra 梵語也 新作設利羅 室利羅 此云骨身 身骨 通常指佛之遺骨 亦卽佛舍利 又尊稱死者之遺骨 亦稱靈骨 ▲法苑珠林四十 舍利者西域梵語 此云身骨 恐濫凡夫死人之骨 故存梵本之名 舍利有其三種 一是骨舍利 其色白也 二是髮舍..

종용록 2022.07.21

종용록 제95칙 송

臨濟全機格調高〈也好與一頓〉 棒頭有眼辨秋毫〈一點難謾〉 掃除狐兔家風峻〈師子全威〉 變化魚龍電火燒〈大小神通〉 活人劍〈猶較些子〉 殺人刀〈這漆桶〉 倚天照雪利吹毛〈誰敢正覷〉 一等令行滋味別〈這醋可曬釅〉 十分痛處是誰遭〈打云是爾是爾〉 임제의 전기(全機)는 격조(格調)가 높나니 〈또한 좋게 1돈(頓) 주어야 한다〉/ 방두(棒頭; 頭는 조사)에 눈이 있어 추호(秋毫)도 분변한다 〈일점도 속이기 어렵다〉/ 호토(狐兎)를 소제(掃除)하고 가풍이 준엄하나니 〈사자(師子)의 전위(全威)다〉/ 변화한 어룡(魚龍)은 뇌화(電火)가 태운다 〈대소(大小) 신통이다〉/ 활인검이며 〈오히려 조금은 상당하다(猶較些子)〉 살인도니 〈이 칠통(漆桶)아〉/ 의천(倚天)하여 조설(照雪)하는 날카로운 취모(吹毛; 취모검)다 〈누가 감히 바로 보겠는가〉/..

종용록 2022.07.20

종용록 제95칙 시중 본칙

第九十五則臨濟一畫 示衆云 佛來也打 *魔來也打 有理三十 無理三十 爲復是錯認怨讐 爲復是不分*良善 試道看 ●魔; 梵語魔羅之略 譯爲能奪命 障礙 擾亂 破壞等 害人命 障礙人之善事者 欲界之第六天主爲魔王 其眷屬爲魔民魔人 ●良善; 一善良 二好人 시중하여 이르되 불(佛)이 와도 때리고 마(*魔)가 와도 때리나니 도리(道理)가 있으면 30방(棒)이며 도리가 없어도 30방이다. 다시 이는 원수(怨讐)를 착인(錯認)했음인가, 다시 이는 양선(*良善)을 분변하지 못했음인가. 시험 삼아 말해 보아라. ●魔; 범어 마라(魔羅; 梵 māra)의 약칭. 능히 목숨을 뺏다ㆍ장애ㆍ요란ㆍ파괴 등으로 번역함. 인명을 해치고 사람의 선사(善事)를 장애하는 자니 욕계의 제6천주가 마왕이 되고 그 권속은 마민(魔民)ㆍ마인(魔人)이 됨. ●良善; 1..

종용록 2022.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