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八十則龍牙過板
示衆云 *大音希聲大器晚成 向*盛忙百鬧裏佯呆 待*七古千年後慢㤆 且道 是如何底人
●大音希聲; 希聲 無聲 聽而不聞的聲音 道德經道紀章第十四 視之不見名曰夷 聽之不聞名曰希 ▲道德經聞道章第四十一 大器晩成 大音希聲
●盛忙百鬧; 形容甚悤忙喧鬧的樣子
●七古千年; 形容長久之歲月
시중하여 이르되 대음은 희성(*大音希聲)이며 대기는 만성(大器晚成)이다. 성망백뇨(*盛忙百鬧) 속을 향해 어리석은 체하고 칠고천년(*七古千年)을 기다렸다가 만반(慢㤆; 늦음을 뉘우치다)하나니 그래 말하라, 이 어떤 사람인가.
●大音希聲; 희성(希聲)은 소리가 없음이니 들으려고 해도 듣지 못하는 성음(聲音). 도덕경 도기장 제14. 그것을 보려고 해도 보지 못함을 이름해 가로되 이(夷)며 그것을 들으려고 해도 듣지 못함을 이름해 가로되 희(希)다. ▲도덕경 문도장(聞道章) 제41. 대기는 만성이며(大器晩成) 대음은 희성이다(大音希聲)
●盛忙百鬧; 매우 총망(悤忙)하고 훤뇨(喧鬧)한 양자를 형용.
●七古千年; 장구한 세월을 형용.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daum.net)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
blog.daum.net
'종용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용록 제81칙 시중 본칙 (0) | 2022.07.06 |
---|---|
종용록 제80칙 본칙 (0) | 2022.07.05 |
종용록 제79칙 본칙 (0) | 2022.07.04 |
종용록 제79칙 시중 (0) | 2022.07.04 |
종용록 제78칙 시중 본칙 (0) | 2022.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