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초의 주장은/ 수작이 기이하니/ 효빈하면 추함을 취하므로/ 거지를 말하지 말아라.
❶芭蕉拄杖; 芭蕉 指芭蕉慧淸 慧淸 新羅國僧 得法於五代後梁潙仰宗南塔光涌 出世郢州芭蕉山 [傳燈錄十二 聯燈會要十一] 五燈會元九 芭蕉山慧淸 新羅國人也 上堂 拈拄杖示衆曰 你有拄杖子 我與你拄杖子 你無拄杖子 我奪却你拄杖子 靠拄杖下座
❷酬酌奇異; 酬酌 又作酬酢 醻酢 義則應對 答對 玉篇 酌 斟也 ▲易 繫辭上 是故可與酬酢 韓康伯注 酬酢 猶應對也 ▲禪林寶訓音義 酬酢 下音昨 客報主曰酢 主答客曰酬
❸效顰取醜; 顰 皺眉 同矉 矉 皺眉 蹙額 後作顰 效顰 語出莊子 莊子天運 西施病心而矉 其里之醜人 見之而美之 歸亦捧心而矉 其里之富人見之 堅閉門而不出 貧人見之 挈妻子而去走 ▲禪家龜鑑 話頭有十種病 曰意根下卜度 曰揚眉瞬目處挅根 曰語路上作活計 曰文字中引證 曰擧起處承當 曰颺在無事匣裏 曰作有無會 曰作眞無會 曰作道理會 曰將迷待悟也 離此十種病者 但擧話時略抖擻精神 只疑是箇甚麼
❹罔談擧止; 罔 無也 又表示否定 相當于不 罔談其他一切行動擧止 拈椎竪拂 揚眉瞬目 開口談說等 上已說話頭有十種病 ▲法泉繼頌證道歌云 擧止若無西子態 効顰取醜更堪悲
❶파초주장(芭蕉拄杖); 파초(芭蕉) 파초의청(芭蕉慧淸)을 가리킴. 혜청(慧淸)은 신라국(新羅國) 승려며 오대(五代) 후량(後梁) 위앙종(潙仰宗) 남탑광용(南塔光涌)에게서 법을 얻었고 영주(郢州)의 파초산(芭蕉山)에서 출세(出世)했음. [傳燈錄十二 聯燈會要十一]. 오등회원구(五燈會元九) 파초산혜청(芭蕉山慧淸) 신라국(新羅國) 사람이다. 상당(上堂) 주장자(拄杖子)를 잡고 시중해 이르되 너희가 주장자가 있다면 내가 너희에게 주장자를 줄 것이며 너희가 주장자가 없다면 내가 너희의 주장자를 뺏아버리겠다. 주장자를 지고 하좌(下座)했다.
❷수작기이(酬酌奇異); 수작(酬酌)은 또 수작(酬酢)ㆍ수작(醻酢)으로 지음. 뜻은 곧 응대(應對)ㆍ답대(答對)임. 옥편(玉篇) 작(酌) 짐(斟. 술따를 짐. 斟酌할 짐)이다. ▲역(易) 계사상(繫辭上) 이런 고로 가히 더불어 수작(酬酢)한다. 한강백(韓康伯)의 주(注) 수작(酬酢) 응대(應對)와 같다. ▲선림보훈음의(禪林寶訓音義) 수작(酬酢) 아래는 음이 작(昨)이다. 객이 주인에게 알림을 가로되 작(酢)이며 주인이 객에게 답함을 가로되 수(酬)다.
❸효빈취추(效顰取醜); 빈(顰) 추미(皺眉. 눈썹을 찌푸림)임. 빈(矉)과 같음. 빈(矉)은 추미(皺眉)임. 축액(蹙額. 이마를 찌푸림)임. 후에 빈(顰)으로 지음. 효빈(效顰)은 말이 장자(莊子)에 나옴. 장자(莊子) 천운(天運) 서시(西施)가 가슴앓이로 찌푸리자 그 마을의 추(醜)한 사람이 이를 보고 아름답다고 여겨 돌아가서 또한 가슴을 받들고 찌푸렸다. 그 마을의 부인(富人)은 이를 보더니 문을 굳게 닫고 나오지 않았고 빈인(貧人)은 이를 보고 처자(妻子)를 끌고 가서 달아났다(닫을 문이 없기 때문). ▲선가귀감(禪家龜鑑) 화두(話頭)에 열 가지 병이 있다. 가로되 의근하(意根下)에서 복탁(卜度. 度은 헤아릴 탁)함이며 가로되 양미순목처(揚眉瞬目處)에 타근(垜根)함이며 가로되 어로상(語路上)에서 활계(活計. 生計)를 짓는 것이며 가로되 문자중(文字中)에서 인증(引證)함이며 가로되 거기처(擧起處)에서 승당(承當. 首肯. 理解)함이며 가로되 무사갑(無事匣) 속에 드날려 있음이며 가로되 유무(有無)로 앎을 짓는 것이며 가로되 진무(眞無)로 앎을 짓는 것이며 가로되 도리(道理)로 앎을 짓는 것이며 가로되 미(迷)를 가지고 깨치기를 기다림이니라. 이 열 가지 병을 여읜 자는 단지 화두(話頭)를 들 때 조금 정신을 떨쳐버리고 단지 의심하되 이것이 무엇인고(是箇甚麼) 해야 하느니라.
❹망담거지(罔談擧止); 망(罔) 무(無)임. 또 부정(否定)을 표시(表示)함이니 부(不)에 상당함. 기타(其他)의 일체 행동거지(行動擧止)ㆍ염추수불(拈椎竪拂)ㆍ양미순목(揚眉瞬目)ㆍ개구담설(開口談說. 입을 열어 담설함) 등을 말하지 말아라. 위에서 이미 화두에 십종병(十種病)이 있음을 설했음. ▲법천(法泉)이 계송(繼頌)한 증도가(證道歌)에 이르되 거지(擧止)에 만약 서자(西子)의 자태(姿態)가 없다면 효빈(効顰)하매 추(醜)함을 취하고 다시 슬픔을 감내(堪耐)하리라.
) -->
音義 芭 파초 파. 蕉 파초 초. 拄 버틸 주. 杖 지팡이 장. 酬 술잔 보낼 수. 酌 술 따를 작. 奇 기이할 기. 異 다를 이. 效 본받을 효. 顰 찌푸릴 빈. 取 취할 취. 醜 추할 추. 罔 없을 망. 아닐 망. 談 말씀 담. 擧 행할 거. 들 거. 止 멈출 지.
'선종천자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종천자문(禪宗千字文) 종심백수(從諗栢樹) 30 (0) | 2019.08.11 |
---|---|
선종천자문(禪宗千字文) 리노백고(狸奴白牯) 29 (0) | 2019.08.11 |
선종천자문(禪宗千字文) 지근타파(志勤打破) 27 (0) | 2019.08.11 |
선종천자문(禪宗千字文) 구화조삽(嘔話粗澁) 26 (0) | 2019.08.11 |
선종천자문(禪宗千字文) 위앙창박(潙仰唱拍) 25 (0) | 2019.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