垂示云 大用現前 不存軌則 活捉生擒 不勞餘力 且道是什麽人曾恁麽來 試擧看
수시(垂示)하여 이르되 대용(大用)이 현전(現前)하되 궤칙(軌則)을 두지 않으므로 활착생금(活捉生擒; 산 채로 잡다)하매 여력()을 들이지(勞) 않나니 그래 말하라 어떤 사람이 일찍이 이러하여 왔느냐, 시험삼아 들어보아라(擧看).
【七九】擧 僧問投子 *一切聲是佛聲是否也解捋虎鬚 靑天轟霹靂 自屎不覺臭 投子云 是賺殺一船人 賣身與爾了也 拈放一邊 是什麽心行 僧云 和尙莫*㞘沸碗鳴聲只見錐頭利 不見鑿頭方 道什麽 果然納敗缺 投子便打著 好打 放過則不可 又問 麁言及細語皆歸第一義 是否第二回捋虎鬚 抱贓叫屈作什麽 東西南北 猶有影響在 投子云 是又是賣身與爾了也 陷虎之機 也是什麽心行 僧云 喚和尙作一頭驢得麽只見錐頭利 不見鑿頭方 雖有逆水之波 只是頭上無角 *含血噀人 投子便打著 不可放過 好打 拄杖未到折 因什麽便休去
●一切聲是佛聲; 涅槃經二十云 諸佛常軟語 爲衆故說麁 麁語及軟語 皆歸第一義
●㞘沸盌鳴聲; 猶胡言亂語 卑下他人之語 㞘 臀也 諸禪錄多作?沸 當作㞘沸
●含血噀人; 含血噀人 先汚其口
【七九】 거(擧)하다. 중이 투자(投子; 大同)에게 묻되 일체의 소리가 이 불성이라(*一切聲是佛聲) 하니 그렇습니까. 또한 범의 수염을 만질 줄 아니 청천에 벽력이 우렁차다(轟). 자기의 똥은 더러운 줄 깨닫지 못한다. 투자가 이르되 그렇다. 한 배의 사람을 너무 속이는구나. 몸을 팔아 그에게 주어버렸다. 집어다 일변(一邊)에 놓으니 이 무슨 심행(心行)인가. 중이 이르되 화상은 엉덩이로 사발이 끓어 울리는 소리(*㞘沸碗鳴聲)를 하지 마십시오. 다만 송곳(錐頭; 頭는 조사)의 날카로움만 보고 끌(鑿頭; 頭는 조사)의 모남을 보지 못하는구나. 무엇이라고 말하느냐. 과연 패결(敗缺)을 용납하는구나. 투자가 곧 때렸다. 맞혔다(著). 잘 때렸으니 방과(放過; 放棄)하면 곧 옳지 못하다. 또 묻되 추언(麁言) 및 세어(細語)가 모두 제1의(第一義)로 돌아간다 하니 그렇습니까. 제2회 범의 수염을 만지는구나. 장물(贓物)을 안고 왕굴(枉屈; 억울)하다고 부르짖어 무엇하리오. 동서남북에 아직 영향(影響)이 있다(在는 조사). 투자가 이르되 그렇다. 또 이는 몸을 팔아 그에게 주어버렸다. 함호지기(陷虎之機)니 또한 이 무슨 심행(心行)인가. 중이 이르되 화상을 한 마리(一頭; 頭는 量詞)의 나귀라고 불러 지어도 괜찮겠습니까(得麽). 다만 송곳(錐頭)의 날카로움만 보고 끌(鑿頭)의 모남을 보지 못하는구나. 비록 역수지파(有逆水之波)가 있지만 다만 이 두상에 뿔이 없다. 피를 머금어 남에게 뿜는구나(*含血噀人). 투자가 곧 때렸다. 맞혔다(著). 방과(放過)함은 옳지 못하므로 잘 때렸거니와 주장자가 부러짐에 이르지 않았거늘 무엇 때문에 곧 쉬러 가느냐.
●一切聲是佛聲; 열반경20에 이르되 제불은 늘 연어(軟語)지만/ 중생을 위한 고로 추(麁)를 설한다/ 추어(麁語)와 및 연의(軟語)가/ 다 제일의(第一義)로 돌아간다.
●㞘沸盌鳴聲; 호언난어(胡言亂語; 혼란한 언어)와 같음. 타인의 말을 비하함임. 독(㞘)은 볼기(엉덩이)임. 여러 선록에 다분히 돈비(?沸)로 지어졌음. 마땅히 독비(㞘沸)로 지어야 함.
●含血噀人; 피를 머금어 남에게 뿜으면 먼저 그의 입이 더러워짐.
投子*朴實頭 得逸群之辯 凡有致問 *開口便見膽 不費餘力 便坐斷他舌頭 可謂*運籌帷幄之中 決勝千里之外 這僧將聲色佛法見解 貼在他額頭上 逢人便問 投子作家 來風深辨 這僧知投子實頭 合下做箇*圈繢子 敎投子入來 所以有後語 投子却使陷虎之機 釣他後語出來 這僧接他答處道 和尙莫㞘沸碗鳴聲 果然一釣便上 若是別人 則不奈這僧何 投子具眼 隨後便打 *咬猪狗底手脚 須還作家始得 左轉也隨他阿轆轆地 右轉也隨他阿轆轆地 這僧旣是做箇圈繢子 要來捋虎鬚 殊不知投子更在他圈繢頭上 投子便打 這僧可惜許 有頭無尾 當時等他拈棒 便與掀倒禪床 直饒投子全機 也須倒退三千里 又問 麁言及細語皆歸第一義是否 投子亦云是 一似前頭語無異 僧云 喚和尙作一頭驢得麽 投子又打 這僧雖然作窠窟 也不妨奇特 若是曲彔木床上老漢 頂門無眼 也難折挫他 投子有轉身處 這僧旣做箇道理 要攙他行市 到了依舊不奈投子老漢何 不見巖頭道 若論戰也 箇箇立在轉處 投子放去太遲 收來太急 這僧當時 若解轉身吐氣 豈不作得箇口似血盆底漢 衲僧家一不做二不休 這僧旣不能返擲 却被投子穿了鼻孔 頌云
●朴實頭; 平實 素朴 常指答問時據實應對 隱含平常心是道之意
●開口便見膽; 禪家施設 直接了當地指示道法
●運籌帷幄之中; 玉篇 籌 筭也 又計謀 玉篇 籌 筴也 祖庭事苑七曰 漢高帝封功臣 或謂張良未嘗有戰鬪功 高帝曰 運籌策帷帳中 決勝千里外 子房功也
●圈繢子; 圈繢 子 後綴 套索也 圈定的範圍 圈套 多指禪家接引施設 或機語作略
●咬猪狗底手脚; 本色禪師接引學人或較量機鋒 不顧人情 手段奇特 這樣的禪師及其手段 稱爲咬猪狗手脚 手脚 手段
투자(投子)는 박실두(*朴實頭; 平實, 素朴)하여 무리에서 뛰어난 변재(辯才)를 얻었고 무릇 치문(致問; 질문을 보냄)함이 있으면 입을 열어 담을 보이되(*開口便見膽) 여력(餘力)을 허비하지 않고 곧 그의 혀(舌頭)를 좌단(坐斷)하니 가위(可謂) 유악(帷幄; 작전 계획을 짜는 막) 중에서 셈대를 운행하여(*運籌帷幄之中) 천 리 밖의 승리를 결정한다 할 만하다. 이 중이 성색(聲色)의 불법 견해를 가지고 그(這僧)의 이마(額頭) 위에 붙이고서 사람을 만나면 곧 묻지만 투자는 작가이므로 내풍(상대방이 보이는 바의 기봉)을 깊이 분변했다. 이 중이 투자의 실두(實頭; 誠實ㆍ如實)를 알고 합하(合下; 즉시)에 저(箇) 권궤자(*圈繢子; 올가미)를 만들어 투자로 하여금 들어오게 한지라 소이로 후어(後語; 화상은 엉덩이로 운운)가 있었다. 투자가 도리어 함호지기(陷虎之機)를 부려(使) 저 후어(後語)를 낚아 출래(出來)케 하매 이 중이 그(투자)의 답처(答處)를 접(接)해 말하되 화상은 엉덩이로 사발이 끓어 울리는 소리(㞘沸碗鳴聲)를 하지 마십시오 하니 과연 한 번의 낚시에 곧 올라왔다. 만약 이 다른 사람이었다면 곧 이 중을 어찌하지 못했으리라. 투자는 눈을 갖춘지라 뒤 따라 곧 때렸으니 돼지를 무는 개의 수각(*咬猪狗底手脚)은 모름지기 작가에게 돌려주어야 비로소 옳다. 좌전(左轉)하여도 그(這僧)를 따라 아녹록지(阿轆轆地)며 우전(右轉)하여도 그를 따라 아녹록지다. 이 중이 이미 이 저(箇) 권궤자(圈繢子)를 만들어, 와서 범의 수염을 만지려고 하였으나 투자가 다시 그의 권궤두상(圈繢頭上)에 있는 줄 너무 알지 못했다. 투자가 문득 때리자 이 중이 가석하게도(可惜許) 유두무미(有頭無尾)하였다. 당시에 그(투자)가 방을 잡기를 기다렸다가 곧 선상을 번쩍 들어 엎어주었더라면 직요(直饒; 縱然) 투자의 전기(全機)일지라도 또한 반드시 3천 리를 도퇴(倒退)했으리라. 또 묻되 추언(麁言) 및 세어(細語)가 모두 제1의(第一義)로 돌아간다 하니 그렇습니까. 투자가 또 이르되 그렇다 하니 전두(前頭; 앞의 것)의 말과 일사(一似)하여 다름이 없다. 중이 이르되 화상을 한 마리(一頭; 頭는 量詞)의 나귀라고 불러 지어도 괜찮겠습니까(得麽). 투자가 곧 때렸다. 이 중이 비록 그러히 과굴(窠窟)을 지었지만 또한 기특함에 방애되지 않는다. 만약 이 곡록목상(曲彔木床) 위의 노한일지라도 정문(頂門; 정수리)에 눈이 없다면 또한 그를 절좌(折挫)하기 어려웠으리라. 투자는 전신(轉身)할 곳이 있으므로 이 중이 이미 이(箇) 도리를 지어 그(투자)의 항시(行市; 시장)를 찌르려고 하였지만 이르고 나서(到了) 의구히 투자 노한을 어찌하지 못했다. 보지 못하는가, 암두가 말하되 만약 법전(法戰; 戰)을 논하자면 개개가 전처(轉處)에 서 있다 하였거니와 투자가 방거(放去)는 매우 느리더니 수래(收來)는 매우 빠르다. 이 중이 당시에 만약 전신(轉身)하여 토기(吐氣)할 줄 알았더라면 어찌 저(箇) 입이 혈분(血盆)과 같은 자를 작득(作得)하지 못했겠으리오만 납승가는 1은 부주(不做)며 2는 불휴(不休)거늘 이 중이 이미 능히 반척(返擲; 返騰)하지 못하여 도리어 투자에게 콧구멍 뚫림을 입었다. 송해 이르되
●朴實頭; 평범하고 실다움. 소박. 늘 답문(答問)할 때 사실에 의거하여 응대함을 가리킴. 평상심이 이 도란 뜻을 은함(隱含; 숨겨져 포함되어 있음)했음.
●開口便見膽; 선가의 시설은 직접 요당지(了當地; 완비한 지경)에서 도법을 지시함.
●運籌帷幄之中; 옥편 주(籌) 산(筭)이다. 또 계모(計謀)니 옥편 주(籌) 책(筴; 점대)이다. 조정사원7에 가로되 한고제(漢高帝)가 공신(功臣)을 책봉하자 누가(或) 이르기를 장량(張良)은 일찍이 전투의 공이 있지 않습니다. 고제가 가로되 주책(籌策; 利害를 打算한 끝에 생각해 낸 策略)을 유장(帷帳) 중에서 움직여 천 리 밖에서 결승(決勝)한 것은 자방(子房; 장량의 字)의 공이다.
●圈繢子; 권궤(圈繢)니 자(子)는 후철. 투삭(套索; 올가미)임. 권정(圈定; 동그라미를 쳐서 확정하다)의 범위. 권투(圈套; 올가미)임. 다분히 선가에서 접인하는 시설이나 혹 기어(機語)의 작략을 가리킴.
●咬猪狗底手脚; 본색선사(本色禪師)가 학인을 접인하거나 혹 기봉을 교량(較量)하면서 인정을 돌아보지 않고 수단이 기특하나니 이런 양상(樣相)의 선사 및 그 수단을 일컬어 교저구수각(咬猪狗手脚)이라 함. 수각은 수단임.
投子投子灼然 天下無這實頭老漢 敎壞人家男女 機輪無阻有什麽奈何他處 也有些子 放一得二換却爾眼睛 什麽處見投子 同彼同此恁麽來也喫棒 不恁麽來也喫棒 闍黎替他 便打 可憐無限弄潮人叢林中放出一箇半箇 放出這兩箇漢 天下衲僧要恁麽去 畢竟還落潮中死可惜許 爭奈出這圈繢不得 愁人莫向愁人說 忽然活禪床震動 驚殺山僧 也倒退三千里 百川倒流鬧*??嶮 徒勞佇思 山僧不敢開口 投子老漢 也須是拗折拄杖始得
●?; 古活切 水流聲
투자 투자여 작연(灼然)하다. 천하에 이런 실두(實頭; 誠實ㆍ如實)의 노한이 없다. 인가(人家)의 남녀를 무너지게 한다. 기륜(機輪)이 막힘 없다 무슨 그를 어떻게 할 곳이 있으리오. 또한 사자(些子; 極少)가 있다. 하나를 놓고 둘을 얻어 너의 눈동자를 바꾸어버렸나니 어느 곳에서 투자를 보느냐. 동피동차(同彼同此)다 이러하여 오더라도 끽방(喫棒)하고 이러하지 아니하여 오더라도 끽방하리라. 사리(闍黎; 설두)가 그(這僧)를 대체(代替)하더라도 문득 때려주리라. 가련(可憐)하다 무한한 농조인(弄潮人)이여 총림 중에서 한 개 반 개를 방출한다(당적할 자가 많지 않음). 이 양개한(兩箇漢; 前後의 這僧)을 방출하니 천하 납승이 이러히 가려고 하리라. 필경 도리어 조중(潮中)에 떨어져 죽는다 가석하다(可惜許). 이 권궤(圈繢)를 벗어남을 얻지 못함을 어찌하랴. 수인(愁人)이 수인(愁人)을 향해 설하지 말아라. 홀연히 살아난다면 선상이 진동(震動)하매 산승(원오)을 너무 놀라게 하여 또한 3천 리를 도퇴(倒退)한다. 백천(百川)이 거꾸로 흐르며 시끄럽게 괄괄(*??)하리라 위험하다. 헛되이(徒) 노고롭게 저사(佇思)하리라. 산승이 감히 입 열지 않으리니 투자 노한도 또한 모름지기 이, 주장자를 요절(拗折)해야 비로소 옳다.
●?; 고활절(古活切; 괄)이니 물이 흐르는 소리.
投子投子 機輪無阻 投子尋常道 爾總道投子實頭 忽然下山三步 有人問爾道 如何是投子實頭處 爾作麽生抵對 *古人道 機輪轉處 作者猶迷 他機輪轉轆轆地全無阻隔 所以雪竇道 放一得二 不見僧問 如何是佛 投子云 佛 又問 如何是道 投子云 道 又問 如何是禪 投子云 禪 又問 月未圓時如何 投子云 呑却三箇四箇 圓後如何 吐却七箇八箇 投子接人 常用此機 答這僧 只是一箇是字 這僧兩回被打 所以雪竇道 同彼同此 四句一時 頌投子了也 末後頌這僧道 可憐無限弄潮人 這僧敢攙旗奪鼓道 和尙莫㞘沸碗鳴聲 又道喚和尙作一頭驢得麽 此便是弄潮處 這僧做盡伎倆 依前死在投子句中 投子便打 此僧便是畢竟還落潮中死 雪竇出這僧云 忽然活便與掀倒禪床 投子也須倒退三千里 直得百川倒流鬧?? 非唯禪床震動 亦乃山川岌崿 天地*陡暗 苟或箇箇如此 山僧且打退鼓 諸人向什麽處 安身立命
●古人道; 明覺禪師語錄二 上堂云 機輪轉處作者猶迷 千眼頓開與君相見
●陡暗; 陡 突然 頓也
투자 투자여, 기륜(機輪)이 막힘 없다 하니 투자가 심상(尋常)에 말하되 너희가 다 말하되 투자를 실두(實頭; 誠實ㆍ如實)라 하나니 홀연히 하산하여 3보(步)를 걸으매 어떤 사람이 너희에게 물어 말하되 무엇이 이 투자의 실두처(實頭處)인가 한다면 너희가 어떻게 저대(抵對; 祇對와 같음. 應對)하겠는가 하였다. 고인이 말하되(*古人道) 기륜(機輪)이 도는 곳엔 작자일지라도 오히려 미(迷)한다 하니 그(투자)의 기륜이 전녹록지(轉轆轆地; 阿轆轆地와 같음)이므로 온통 조격(阻隔)이 없는지라 소이로 설두가 말하되 하나를 놓고 둘을 얻어 라고 하였다. 보지 못하느냐, 중이 묻되 무엇이 이 불(佛)입니까. 투자가 이르되 불(佛)이다. 또 묻되 무엇이 이 도(道)입니까. 투자가 이르되 도(道)다. 또 묻되 무엇이 이 선(禪)입니까. 투자가 이르되 선(禪)이다. 또 묻되 달이 둥글지 아니한 때엔 어떻습니까. 투자가 이르되 3개 4개를 탄각(呑却)했다. 둥근 후엔 어떻습니까. 7개 8개를 토각(吐却)했다. 투자가 접인(接人)하면서 이 기(機)를 상용(常用)했으니 이 중에게 답함에도 다만 이 1개의 시자(是字; 그렇다)에 이 중이 양회(兩回) 때림을 입은지라 소이로 설두가 말하되 동피동차(同彼同此)다 하였다. 4구로 일시에 투자를 송해 마쳤다. 말후에 이 중을 송해 말하되 가련하다 무한한 농조인(弄潮人)이여 하니 이 중이 감히 참기탈고(攙旗奪鼓)하여 말하되 화상은 엉덩이로 사발이 끓어 울리는 소리(㞘沸碗鳴聲)를 하지 마십시오 하며 또 말하되 화상을 한 마리(一頭; 頭는 量詞)의 나귀라고 불러 지어도 괜찮겠습니까(得麽) 한 이것이 곧 이 농조처(弄潮處)다. 이 중이 기량(伎倆)을 지어 다해도 의전(依前)히 투자의 구중(句中)에 죽어 있으므로 투자가 곧 때리니 이 중이 곧 이 필경에 도리어 조중(潮中)에 떨어져 죽음이다. 설두가 이 중을 구출(救出; 出)하여 이르되 홀연히 살아난다면 곧 선상을 번쩍 들어 엎어주리니 투자도 반드시 3천 리를 도최(倒退)하고 바로 백천(百川)이 거꾸로 흐르며 시끄럽게 괄괄(??)함을 얻으리라. 선상이 진동(震動)할 뿐만 아니라 또한 곧 산천이 급악(岌崿; 높고 가파름)하고 천지가 두암(*陡暗)하리라. 만약 혹 개개(箇箇)가 이와 같다면 산승도 다만(且) 퇴고(退鼓)를 치리니 제인은 어느 곳을 향해 안신입명(安身立命)하겠는가.
●古人道; 명각선사어록2. 상당하여 이르되 기륜(機輪)이 도는 곳엔 작자도 오히려 미(迷)하나니 천안(千眼)을 돈개(頓開)하여 그대와 더불어 상견하리라.
●陡暗; 두(陡)는 돌연, 돈(頓)임.
'벽암록주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암록 제80칙 송 평창 (0) | 2021.08.27 |
---|---|
벽암록 제80칙 본칙 평창 (0) | 2021.08.27 |
벽암록 제78칙 송 평창 (0) | 2021.08.27 |
벽암록 제78칙 본칙 평창 (0) | 2021.08.27 |
벽암록 제77칙 수시 본칙 평창 송 평창 (0) | 2021.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