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七八】擧 古有十六*開士成群作隊 有什麽用處 這一隊不唧?漢 於浴僧時隨例入浴撞著露柱 漆桶作什麽 忽悟水因惡水驀頭澆 諸*禪德作麽生會 他道妙觸*宣明更不干別人事 作麽生會他 *撲落非他物 *成佛子住天下衲僧到這裏摸索不著 兩頭三面作什麽 也須七穿八穴始得一棒一條痕 莫辜負山僧好 *撞著磕著 還曾見德山臨濟麽
●開士; 梵語菩提薩埵之譯語 又作闡士 開者 明達之意 指開正道 以引導衆生者 經中多呼菩薩爲開士 ▲楞嚴經集註五 熏聞(熏聞記)云 古翻菩薩爲開士 開士始士也 開謂心初開故 始謂始發心故
●禪德; 對禪宗僧人的尊稱
●宣明; 明顯 毫無遮蔽
●撲落; 撲 傾覆 倒下 ▲五燈會元十興敎洪壽 聞墮薪有省 作偈曰 撲落非他物 縱橫不是塵 山河及大地 全露法王身
●成佛子住; 徹見法源 得無生忍 名佛子住也 [碧巖錄第七十八則種電鈔]
●撞著磕著; 意同?著磕著 見上第二十七則?著磕著
【七八】 거(擧)하다. 옛적에 십육개사(十六*開士)가 있어 성군작대(成群作隊)하여 무슨 쓸 곳이 있으리오. 이 일대(一隊)의 부즉류한(不唧?漢)이다. 욕승(浴僧)할 때에 예식(例式; 例)을 따라 입욕(入浴)하다가 노주(露柱)를 당착(撞著)하더라도 칠통(漆桶)이거늘 무엇하리오. 홀연히 수인(水因)을 깨달았다 하니 더러운 물(惡水)을 맥두(驀頭; 홀연히. 頭는 조사) 끼얹었다. 여러 선덕(*禪德)은 어떻다고 이회하느냐. 그(跋陀婆羅)가 말하되 묘촉(妙觸)이 선명(*宣明)하여 다시 다른 사람의 일에 상간(相干) 않나니 그것(묘촉 선명)을 어떻다고 이회하느냐. 박락(*撲落)하매 다른 물건이 아니다. 불자주를 성취(*成佛子住)했다 하니 천하 납승이 이 속에 이르러선 모색함을 얻지 못하나니 두 머리에 세 얼굴을 하여 무엇하려느냐. 또한 모름지기 칠천팔혈(七穿八穴)해야 비로소 옳다. 1방(棒)에 1조(條; 가닥)의 흔적이니 산승을 저버리지 않아야 좋으니라. 당착개착(*撞著磕著)이다. 도리어 일찍이 덕산과 임제를 보았느냐.
●開士; 범어 보리살타의 번역어. 또 천사(闡士)로 지음. 개(開)란 것은 명달(明達)의 뜻이니 정도를 열어 중생을 인도하는 자를 가리킴. 경중에서 다분히 보살을 호칭하여 개사라 함. ▲릉엄경집주5. 훈문(熏聞; 熏聞記)에 이르되 옛적에 보살을 번역해 개사(開士)라 하였다. 개사는 시사(始士)니 개(開)는 이르자면 마음이 처음 열린 연고며 시(始)는 이르자면 비로소 발심한 연고이다.
●禪德; 선종 승인에 대한 존칭
●宣明; 명현(明顯; 환히 나타남)이니 터럭만큼도 차폐(遮蔽)가 없음.
●撲落; 박(撲)은 경복(傾覆; 기울어져 엎어짐). 도하(倒下; 거꾸로 떨어짐). ▲오등회원10 흥교홍수. 섶이 떨어지는 소리를 듣고 깨쳤다. 게를 지어 가로되 박락(撲落; 거꾸로 떨어짐)하는 것이 다른 물건이 아닌지라/ 종횡에 이 티끌이 아니다/ 산하 및 대지가/ 온전히 법왕의 몸을 드러내었다.
●成佛子住; 법원(法源)을 철저히 보아 무생인(無生忍)을 얻음을 이름해 불자주다 [벽암록 제78칙 종전초].
●撞著磕著; 뜻이 축착개착(?著磕著)과 같음. 위 제27칙 축착개착(?著磕著)을 보라.
楞嚴會上 *跋陀婆羅*菩薩 與十六開士 各修*梵行 乃各說所證*圓通法門之因 此亦*二十五圓通之一數也 他因*浴僧時 隨例入浴 忽悟水因 云 旣不洗塵 亦不洗體 且道洗箇什麽 若會得去 中間安然 得無所有 千箇萬箇 更近傍不得 所謂以無所得是眞般若 若有所得 是*相似般若 不見達磨謂二祖云 將心來與汝安 二祖云 覓心了不可得 這裏些子 是衲僧性命根本 更總不消得如許多葛藤 只消道箇忽悟水因 自然*了當 旣不洗塵 亦不洗體 且道悟箇什麽 到這般田地 一點也著不得 道箇佛字 也須諱却 他道 妙觸宣明 成佛子住 宣則是顯也 妙觸是明也 旣悟妙觸 成佛子住 卽住佛地也 如今人亦入浴亦洗水 也恁麽觸 因甚却不悟 皆被*塵境*惑障 粘皮著骨 所以不能便惺惺去 若向這裏 洗亦無所得 觸亦無所得 水因亦無所得 且道 是妙觸宣明 不是妙觸宣明 若向箇裏 直下見得 便是妙觸宣明 成佛子住 如今人亦觸 還見妙處麽 妙觸非常觸 與觸者合則爲觸 離則非也 *玄沙過嶺 磕著脚指頭 以至德山棒 豈不是妙觸 雖然恁麽 也須是七穿八穴始得 若只向身上摸索 有什麽交涉 爾若七穿八穴去 何須入浴 便*於一毫端上現*寶王*刹 向微塵裏 轉大法輪 一處透得 千處萬處一時透 莫只守一窠一窟 一切處都是*觀音入理之門 古人亦有聞聲悟道見色明心 若一人悟去 則故是 因甚十六開士 同時悟去 是故古人同修同證 同悟同解 雪竇拈他敎意 令人去妙觸處會取 出他敎眼頌 免得人去敎網裏籠罩半醉半醒 要令人直下灑灑落落 頌云
●跋陀婆羅; 楞嚴經集註五 孤山云 跋陀婆羅 此云賢守 自守護賢德 復護衆生 或云賢首 以位居等覺 爲衆賢之首
●菩薩; 具名菩提薩埵 舊譯爲大道心衆生 道衆生等 新譯曰大覺有情 覺有情等 謂是求道之大心人 故曰道心衆生 求道求大覺之人 故曰道衆生 大覺有情 又薩埵者勇猛之義 勇猛求菩提故名菩提薩埵 又譯作開士 始士 高士 大士等 義譯也 總名求佛果之大乘衆 [注維摩經一 大乘義章十四 法華玄贊二 佛地論二 淨名疏一]
●梵行; 梵者淸淨之義 斷婬欲之法爲梵行 卽梵天之行法也 故稱梵行
●圓通; 圓而通於法性之實者 謂之圓通 按楞嚴經五 二十五位菩薩各個皆具圓通 共有六塵六根六識七大等二十五圓通 此外 楞嚴會上二十五聖之中 以觀世音之耳根圓通爲最上 故稱圓通尊 圓通大士
●二十五圓通; 性體周遍曰圓 妙用無礙曰通 乃一切衆生 本有之心源 諸佛菩薩所證之聖境也 而有二十五種者 謂諸菩薩及大羅漢 於六塵六根六識七大 各各悟入不同故也 一音聲 二色因 三香因 四味因 五觸因 六法因 七見元 八息空 九味知 十身覺 十一法空 十二心見 十三心聞 十四鼻識 十五法音 十六身戒 十七心達 十八火性 十九地性 二十水性 二十一風性 二十二空性 二十三識性 二十四淨念 二十五耳根 [楞嚴經 三藏法數]
●浴僧; 大衆一同入浴之義
●相似般若; 眞實之智慧稱爲般若 相似般若則指似是而非之智 禪林中每以相似一詞 貶稱似是而非之事物 如相似禪 相似言語(謂似是而非之宗義)等用辭 常見於禪宗語錄
●了當; 禪家稱參禪大事成功 明悟心地 爲了當
●塵境; 指心的對象 卽色聲香味觸法等六境
●惑障; 謂諸衆生由貪欲瞋恚愚癡等之惑而障蔽正道
●玄沙過嶺; 聯燈會要二十三玄沙師備 初謁雪峰 後欲徧歷諸方 參尋知識 携囊出嶺 築著脚指頭 流血痛楚 忽然猛省曰 是身非有 痛自何來 卽回雪峰
●於一毫端; 楞嚴經四云 於一毛端現寶王刹 坐微塵裏轉大法輪
●寶王; 佛陀之尊稱 佛以諸功德爲莊嚴 故云寶王 ▲楞嚴經三 願今得果成寶王 還度如是恒沙衆
●刹; 一梵語刹多羅 差多羅 刹摩的略稱 此云土田 土 國 卽指國土 或梵漢竝稱爲刹土 一般所熟知之佛刹卽佛土之意 二梵語剌瑟胝的略稱 意謂標誌 記號 指旗杆或塔之心柱 一般稱寺院謂寺刹 梵刹 金刹 或名刹等 蓋佛堂前自古有建幡竿(卽刹)之風 故得此名
●觀音入理之門; 楞嚴經六 爾時觀世音菩薩卽從座起 頂禮佛足而白佛言 世尊憶念我昔無數恒河沙劫 於時有佛出現於世名觀世音 我於彼佛發菩提心 彼佛敎我從聞思修入三摩地 初於聞中入流亡所 所入旣寂動靜二相了然不生 如是漸增聞所聞盡 盡聞不住覺所覺空 空覺極圓空所空滅 生滅旣滅寂滅現前
릉엄회상(楞嚴會上)에 발타바라보살(*跋陀婆羅*菩薩)이 십육개사(十六開士)와 더불어 각기 범행(*梵行)을 닦고 이에 각자 증득한 바 원통법문(*圓通法門)의 인(因)을 설했으니(과거세에 증득한 바인 원통법문의 인유를 설함) 이것(當則)도 또한 이십오원통(*二十五圓通)의 1수(數)다. 그(발타바라)가 인하여 욕승(*浴僧)할 때 예식(例式; 例)을 따라 입욕(入浴)하다가 홀연히 수인(水因)을 깨닫고 이르되 이미 세진(洗塵)하지 않았고 또한 세체(洗體)하지 않았다 하였으니 그래 말하라 저(箇) 무엇을 씻었느냐. 만약 회득(會得)하여 간다면 중간이 안연(安然)하여 무소유(無所有)를 얻으므로 천 개 만 개도 다시 곁에 접근함을 얻지 못할지니 이른 바 얻는 바 없음(無所得)을 이 참 반야라 하며 만약 얻는 바가 있다면 이는 상사반야(*相似般若)다. 보지 못하는가 달마가 2조에게 일러 이르되 마음을 가져 온다면 너를 편안하게 해 주겠다. 2조가 이르되 마음을 찾았으나 가히 얻지 못하겠습니다 하니 이 속의 사자(些子; 極少)가 이 납승의 성명(性命)의 근본이므로 다시 모두(總) 허다한 갈등 같은 것을 소비함을 얻지 않고 다만 저(箇) 수인(水因)을 홀연히 깨달았다는 말을 쓰니(消) 자연히 요당(*了當)이다. 이미 세진(洗塵)하지 않고 또한 세체(洗體)하지 않았거늘 그래 말하라 이(箇) 무엇을 깨달았는가. 이런 종류(這般)의 전지(田地; 경계)에 이르면 1점도 붙임을 얻지 못하나니 이(箇) 불자(佛字)라고 말함도 또한 모름지기 휘각(諱却; 却은 조사)해야 하리라. 그가 말하되 묘촉(妙觸)이 선명(宣明)하여 불자주를 성취(成佛子住)했다 하니 선(宣)은 곧 이 현(顯; 환함)이며 묘촉(妙觸)은 이 명(明)이다. 이미 묘촉을 깨달아 불자주를 성취하였을진대 곧 불지(佛地)에 주(住)함이다. 여금의 사람도 또한 입욕하며 또한 세수(洗水; 물로 씻음)하되 또한 이러한 촉(觸)을 무엇 때문에 도리어 깨닫지 못하느냐. 모두 진경(*塵境)의 혹장(*惑障)을 입어 점피착골(粘皮著骨)하는지라 소이로 능히 곧 성성(惺惺)하여 가지 못한다. 만약 이 속을 향하면 세(洗)도 또한 얻는 바가 없고 촉(觸)도 또한 얻는 바가 없고 수인(水因)도 또한 얻는 바가 없나니 그래 말하라 이 묘촉이 선명함인가 이 묘촉이 선명하지 않음인가. 만약 이 속(箇裏)을 향해 직하에 보아 얻는다면 곧 이것이 묘촉이 선명하여 불자주를 성취함이다. 여금의 사람들도 또한 촉(觸)하나니 도리어 묘처(妙處)를 보느냐. 묘촉(妙觸)은 범상한 촉이 아닌지라 촉자(觸者)와 더불어 합해야 곧 촉이 되나니 여의면(離) 곧 아니다. 현사가 재를 지나가다가(*玄沙過嶺) 발가락(脚指頭)을 개착(磕著; 부딪치다)함과 이지(以至; 내지) 덕산방(德山棒)이 어찌 이 묘촉이 아니리오. 비록 그러하여 이러하지만 또한 모름지기 이는 칠천팔혈(七穿八穴)해야 비로소 옳다. 만약 다만 신상(身上)을 향해 모색한다면 무슨 교섭이 있으리오. 너희가 만약 칠천팔혈하여 간다면 어찌 입욕이 쓰이겠는가(須). 곧 일호단상에서(*於一毫端上) 보왕찰(*寶王*刹)을 나타내고 미진 속을 향해 대법륜을 굴리는지라 1처(處)를 투득(透得)하면 천처만처(千處萬處)를 일시에 투득하나니 다만 1과1굴(一窠一窟)만을 고수(固守; 守)하지 말아라. 일체처가 모두 이 관음의 입리지문(*觀音入理之門)이니 고인도 또한 소리를 듣다가 도를 깨치고 색을 보다가 마음을 밝힘이 있었다. 만약 한 사람이 오거(悟去)했다면 곧 짐짓 옳으려니와(是) 무엇 때문에 십육개사가 동시에 오거(悟去)했는가. 이런 고로 고인이 동수동증(同修同證)하고 동오동해(同悟同解)한지라 설두가 저 교의(敎意)를 잡아(拈) 사람으로 하여금 묘체처(妙觸處)로 가서 회취(會取)하게 하려고 저 교안(敎眼)을 내어 송하여서 사람이 교망(敎網) 속으로 가서 농조(籠罩; 制御)되어 반취반성(半醉半醒)함을 면득(免得; 得은 조사)케 하고 사람으로 하여금 직하(直下; 즉시)에 쇄쇄낙락(灑灑落落)케 하려고 하였다. 송해 이르되
●跋陀婆羅; 릉엄경집주5. 고산(孤山)이 이르되 발타바라(跋陀婆羅)는 여기에서 이르되 현수(賢守)니 스스로 현덕(賢德)을 수호하고 다시 중생을 수호함이다. 혹 이르되 현수(賢首)니 지위가 등각(等覺)에 거처하며 중현(衆賢)의 우두머리가 된다.
●菩薩; 갖춘 이름은 보리살타(菩提薩埵; 梵 bodhi-sattva). 구역(舊譯)으론 대도심중생(大道心衆生)ㆍ도중생(道衆生) 등이 되며 신역(新譯)은 가로되 대각유정(大覺有情)ㆍ각유정(覺有情) 등임. 이르자면 이는 구도하는 대심(大心)의 사람이므로 고로 가로되 도심중생(道心衆生)이며 도를 구하고 대각을 구하는 사람이므로 고로 가로되 도중생(道衆生)ㆍ대각유정(大覺有情)임. 또 살타란 것은 용맹의 뜻이니 용맹하게 보리를 구하는 고로 이름이 보리살타임. 또 개사(開士)ㆍ시사(始士)ㆍ고사(高士)ㆍ대사(大士) 등으로 번역함은 의역(義譯)이니 총명(總名)이 불과(佛果)를 구하는 대승중(大乘衆)임 [주유마경1. 대승의장14. 법화현찬2. 불지론2. 정명소1].
●梵行; 범이란 것은 청정의 뜻이니 음욕의 법을 끊음이 범행임. 곧 범천(梵天)의 행법(行法)인지라 고로 일컬어 범행임.
●圓通; 원만하면서 법성의 진실에 통하는 것을 일컬어 원통이라 함. 릉엄경5를 안험컨대 25위(位) 보살이 각개(各個)가 모두 원통을 갖추었고 공히 6진ㆍ6근ㆍ6식ㆍ7대(大) 등 25원통이 있음. 이 밖에 릉엄회상 25성(聖) 가운데 관세음의 이근원통(耳根圓通)을 최상으로 삼는지라 고로 호칭이 원통존(圓通尊)ㆍ원통대사(圓通大士)임.
●二十五圓通; 성체(性體)가 주편(周遍)함을 가로되 원(圓)이며 묘용이 무애함을 가로되 통(通)이니 곧 일체중생이 본래 소유한 심원(心源)이며 제불보살이 소증(所證)한 성경(聖境)임. 25종이 있다는 것은 이르자면 제보살 및 대라한이 6진ㆍ6근ㆍ6식ㆍ7대(大)에 각각 오입(悟入)함이 부동(不同)한 연고임. 1은 음성이며 2는 색인(色因)이며 3은 향인(香因)이며 4는 미인(味因)이며 5는 촉인(觸因)이며 6은 법인(法因)이며 7은 견원(見元)이며 8은 식공(息空)이며 9는 미지(味知)며 10은 신각(身覺)이며 11은 법공(法空)이며 12는 심견(心見)이며 13은 심문(心聞)이며 14는 비식(鼻識)이며 15는 법음(法音)이며 16은 신계(身戒)며 17은 심달(心達)이며 18은 화성(火性)이며 19는 지성(地性)이며 20은 수성(水性)이며 21은 풍성(風性)이며 22는 공성(空性)이며 23은 식성(識性)이며 24는 정념(淨念)이며 25는 이근(耳根)임. [릉엄경. 삼장법수].
●浴僧; 대중 일동이 입욕함의 뜻.
●相似般若; 진실한 지혜를 일컬어 반야라 함. 상사반야는 곧 이것 같으나 이것이 아닌 지혜를 가리킴. 선림 중에선 매양 상사 1사(詞)로 이것 같으나 이것이 아닌 사물을 폄칭(貶稱)함이니 예컨대(如) 상사선(相似禪)ㆍ상사언어(이르자면 이것 같으나 이것이 아닌 宗義) 등의 용사(用辭)임. 늘 선종어록에 보임.
●了當; 선가에서 참선하여 대사를 성공하여 심지를 환히 깨침을 요당(了當)이라 함.
●塵境; 마음의 대상을 가리킴. 곧 색ㆍ성ㆍ향ㆍ미ㆍ촉ㆍ법 등 6경(境).
●惑障; 이르자면 모든 중생이 탐욕ㆍ진에ㆍ우치 등의 혹(惑)으로 말미암아 정도(正道)를 장폐(障蔽)함.
●玄沙過嶺; 연등회요23 현사사비(玄沙師備). 처음에 설봉을 참알했고 후에 제방을 편력(徧歷)하며 지식을 참심(知識)하려고 했다. 바랑(囊)을 휴대하고 재(嶺)를 나섰는데 발가락(脚指頭)을 축착(築著; 부딪침)하여 피를 흘리며 통초(痛楚; 심히 아프고 괴로움)하다가 홀연히 맹성(猛省; 퍼뜩 성찰하다)하고 가로되 이 몸이 있음이 아니거늘 고통이 어디로부터 오리오. 곧 설봉으로 회귀했다.
●於一毫端; 릉엄경4에 이르되 한 터럭 끝에서 보왕찰(寶王刹)을 나타내고 미진 속에 앉아 대법륜을 굴린다.
●寶王; 불타의 존칭이니 불타는 모든 공덕으로 장엄을 삼는지라 고로 이르되 보왕임. ▲릉엄경3. 원컨대 이제 득과(得果)하여 보왕(寶王)이 되어 도리어 이와 같은 항사의 무리를 제도하리라.
●刹; 1. 범어 찰다라(刹多羅; 梵 ksetra)ㆍ차다라(差多羅)ㆍ찰마(刹摩)의 약칭이니 여기에선 이르되 토전(土田)ㆍ토(土)ㆍ국(國)이며 곧 국토를 가리킴. 혹 범한(梵漢)을 병칭하여 찰토(刹土)라 함. 일반적으로 숙지(熟知)하는 바의 불찰은 곧 불토의 뜻임. 2. 범어 랄슬지(剌瑟胝; 梵 lakṣatā)의 약칭. 뜻으로 이르면 표지(標誌)ㆍ기호니 기간(旗杆; 깃대)이나 혹 탑의 심주(心柱)를 가리킴. 일반적으로 사원을 일컬어 사찰(寺刹)ㆍ범찰(梵刹)ㆍ금찰(金刹) 혹 이름해 찰(刹)이라고 하는 등은 대개 불당(佛堂) 앞에 자고로 번간(幡竿; 곧 刹)을 세우는 풍조가 있는지라 고로 이 이름을 얻었음.
●觀音入理之門; 릉엄경6. 이때 관세음보살이 곧 자리로부터 일어나 불족에 정례하고 불타에게 사뢰어 말하되 세존이시여, 억념컨대 내가 옛적 무수한 항하사겁에 때에 어떤 불타가 세상에 출현하셨으니 이름이 관세음입니다. 내가 그 불타에게 보리심을 발했는데 그 불타가 나로 하여금 문사수(聞思修)로부터 삼마지(三摩地)에 들게 하셨습니다. 처음 문중(聞中)에 입류(入流)하여 망소(亡所)하였으며(聲塵을 따르지 않고 法流에 문득 들어가서 그 所入이 없어짐) 소입(所入)이 이미 고요하매 동정(動靜) 2상(相)이 요연(了然; 분명한 모양)히 나지 않았습니다. 이와 같이 점차 증가하여 문(聞)과 소문(所聞)이 진(盡)하고 진문(盡聞)도 머물지 않으며 각과 소각이 공(空)하고 공각(空覺)이 극히 원만해져 공(空)과 소공(所空)도 없어졌으며 생멸이 이미 없어지매 적멸이 현전했습니다.
'벽암록주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암록 제79칙 수시 본칙 평창 송 평창 (0) | 2021.08.27 |
---|---|
벽암록 제78칙 송 평창 (0) | 2021.08.27 |
벽암록 제77칙 수시 본칙 평창 송 평창 (0) | 2021.08.27 |
벽암록 제76칙 송 평창 (0) | 2021.08.27 |
벽암록 제76칙 수시 본칙 평창 (0) | 2021.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