今朝有酒今朝醉 明日無錢明日愁 【環溪惟一錄上】
금조에 술이 있으면 금조에 취하고 명일 돈이 없으면 명일 근심해라.
今朝有酒今朝醉 明日愁來明日愁 【續刊古尊宿語要五】
금조에 술이 있으면 금조에 취하고 명일 근심이 오면 명일 근심해라.
內外接尋覓總無 境上施爲渾大有 【傳燈錄二十九 寶誌語】
안팎으로 接尋하며 찾아도 모두 없더니 境上에서 施爲하매 온통 크게 있더라.
內外推尋覔總無 境上施爲渾大有 【聯燈會要三十 誌公語】
안팎으로 推尋하며 찾아도 모두 없더니 境上에서 施爲하매 온통 크게 있더라.
木童時獻團圞果 石女長持菡萏華 【爲霖還山錄一】
목동은 때맞춰 단란과를 바치고 석녀는 늘 함담화를 가졌다.
圞은 둥글 란. 團圞은 둥근 모양.
木馬加鞭橫兩腿 鐵牛貫索莽低頭 【晦臺元鏡錄】
목마에게 채찍을 가하니 두 넓적다리에 橫線이며 철우에게 노를 꿰니 크게 머리를 숙이다.
腿는 넓적다리 퇴. 索은 노(실 삼 종이 따위의 섬유로 가늘게 비비거나 꼰 줄) 삭. 莽은 클 망.
木馬追風蹄撥剌 金毛踞地尾查髿 【法昌倚遇錄】
목마가 바람을 쫓으니 발굽이 발랄하고 금모가 땅에 웅크리니 꼬리가 사사하다.
撥은 뒤집을 발. 剌은 발랄할 랄. 발랄은 표정이나 행동이 생기가 있고 활기참. 踞는 웅크릴 거. 查는 奓차와 용이 같음. 張開임. 髿는 머리 늘어진 모양. 查髿는 곧 축 늘어진 모양.
木人起舞非奇特 石女梳頭越樣新 【無異元來錄一】
목인이 일어나 춤추니 기특하지 않지만 석녀가 머리를 빗으니 뛰어난 모양이 신선하다.
木人嶺上呵呵笑 石女溪邊暗點頭 【爲霖餐香錄上】
목인이 고개 위에서 하하 웃으니 석녀가 개울 가에서 가만히 머리 끄덕이다.
木人嶺上高聲呌 石女谿邊側耳聽 【廣燈錄十五】
목인이 고개 위에서 고성으로 부르짖으니 석녀가 개울 가에서 귀를 기울여 듣는구나.
木人遙指千峯處 鳥道難通翠色深 【投子義靑錄上】
목인이 멀리서 가리키는 千峯의 곳에 조도가 통하기 어려워 푸른색이 깊다.
鳥道는 새가 아니면 다닐 수 없는 길. 곧 허공.
鳥道 허공과 같음. 洞山(良价)의 玄中銘 발을 들거나 발을 내림이 鳥道와 다름 없고 坐臥하거나 經行함이 玄路가 아님이 없다(擧足下足鳥道無殊 坐臥經行莫非玄路) [祖庭事苑卷第四].
木人雲中拍氈板 石女山頭唱茶歌 【列祖提綱錄十七】
목인이 구름 속에서 전판을 두드리고 석녀는 산꼭대기에서 茶歌를 부르다.
氈은 毛氈 전. 양탄자 전.
'선림송구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4획 分開華岳連天秀 (0) | 2019.08.30 |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4획 木人把板雲中拍 (0) | 2019.08.30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4획 孔明不就中原計 (0) | 2019.08.30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3획 千歲老兒顔似玉 (0) | 2019.08.30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3획 丈夫自有冲霄志 (0) | 2019.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