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림송구집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4획 分開華岳連天秀

태화당 2019. 8. 30. 09:46

分開華岳連天秀 放出黃河一派淸 月江正印錄上

하늘에 연접한 화악의 빼어남을 분개하여 황하의 한 갈래 깨끗함을 방출하다.


華岳은 중국 五嶽의 하나. 漢代의 오악은 동쪽의 泰山(山東省) 서쪽의 華山(陝西省) 남쪽의 (安徽省) 북쪽의 恒山(河北省) 중부의 嵩山(河南省)이며 나라에서 제사를 지냈음. 六世紀 말에 은 현재 湖南省衡山으로 바뀌고 恒山은 현재 山西省恒山으로 바뀌었음.

) --> 

分明一段風流事 不與諸人較短長 無異元來錄七

분명히 한 조각의 풍류의 일이지만 제인과 단장을 비교하지 못한다.


分明一段風流事 惟許佳人獨自知 拈古彙集四十五

분명히 한 조각의 풍류의 일이지만 오직 佳人이 홀로 스스로 앎만을 허락한다.

分明一對黃金骨 不必栴檀入細雕 高峯原妙錄上

분명히 一對의 황금골인지라 전단에다 세밀하게 새겨 넣음이 필요치 않다.


一對一雙과 같은 뜻. 는 새길 조.

) --> 

分明覿面別無眞 休更迷頭猶認影 爲霖旅泊菴稿一 洞山五位頌

분명히 적면하여 달리 이 없나니 다시 迷頭하여 오히려 認影함을 쉬어라.

) --> 

分付白雲常守戶 側聽賓鴻送信來 無異元來錄一

백운에게 분부하여 늘 守戶하랬더니 곁에서 듣던 賓鴻이 송신하여 오더라.

) --> 

不見雙林釋迦老 又聞彌勒下生來 列祖提綱錄十八

쌍림의 석가 노인을 보지도 못했는데 또 미륵이 하생하여 온다 함을 듣는다.

) --> 

不見一法卽如來 方得名爲觀自在 天如惟則錄一 證道歌

한 법도 보지 않음이 곧 여래니 비로소 관자재라고 이름함을 얻는다.

) --> 

不顧家園風景好 却隨柳絮路頭忙 註華嚴經題法界觀門頌

가원의 풍경의 아름다움은 돌아보지 않고 도리어 버들개지를 따라 노두에서 바쁘다.

) --> 

不起纖毫修學心 無相光中常自在 傳燈錄二十九 寶誌語

가는 터럭만큼의 修學心도 일으키지 않아야 무상의 光中에서 늘 자재하리라.

) --> 

不離當處常湛然 覓卽知君不可見 眞心直說 證道歌

당처를 여의지 않고 늘 담연하지만 찾는다면 곧 그대가 가히 보지 못할 줄 아노라.

) --> 

不逢別者不開拳 一遇知音便分付 圓悟錄三

특별한 자를 만나지 못하면 주먹을 열지 않지만 한 번 지음을 만나면 바로 분부하노라.

) --> 

不惜黃金爲彈子 牡丹花下打黃鸝 虛舟普度錄

황금을 아끼지 않고 탄자로 삼아 모란꽃 아래에서 누런 꾀꼬리를 잡는다.

彈子는 탄환. 助字. 는 꾀꼬리 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