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79쪽

태화당 2019. 5. 10. 09:00

金足禪林疏語考證一 金足 通載曰 佛告諸大弟子 迦葉來時可令宣揚正法眼藏 爾時迦葉在耆闍崛山賓鉢羅窟 覩勝光明卽入三昧 以淨天眼觀見世尊於熙連河側入般涅槃 乃告其徒曰 如來涅槃也何其駛哉 卽至雙樹間 悲戀號泣 佛於金棺內現雙足 禪林疏語考證一 曇花再現 金足雙彰

금족(金足) 선림소어고증1. 금족(金足) 통재에 가로되 불타가 여러 대제자에게 고하기를 가섭이 올 때 가히 정법안장을 선양하게 하겠다. 이때 가섭이 기사굴산 빈발라굴에 있었는데 수승한 광명을 보고 곧 삼매에 들어 청정한 천안으로 관하매 세존이 희련하 옆에서 반열반에 들었음을 보았다. 이에 그의 도중에게 고해 가로되 여래가 열반하셨으니 어찌 그렇게도 빠른가. 곧 쌍수 사이에 이르러 비련(悲戀)하며 호읍(號泣; 소리를 내어 부르짖으며 욺)했다. 불타가 금관(金棺) 안에서 쌍족(雙足)을 나타냈다. 선림소어고증1. 담화가 재현하고 금족(金足)을 쌍으로 드러내다.

) --> 

禁從帝王侍從 特指翰林學士之類的文學侍從官 圓悟語錄六 時兩府幷禁從 就雍熙寺請師陞座

금종(禁從) 제왕의 시종이니 특히 한림학사의 무리의 문학 시종관을 가리킴. 원오어록6. 때에 양부와 아울러 금종(禁從)이 옹희사로 나아가 스님에게 승좌를 청했다.

) --> 

擒縱把住與放行 碧巖錄第二十二則 擒縱非他 卷舒在我

금종(擒縱) 파주와 방행. 벽암록 제22. 금종은 다른 게 아니며 권서가 나에게 있다.

) --> 

錦州唐朝的州 垂拱二年(686) 以辰州麻陽縣地及開山洞置錦州 [百度百科]

금주(錦州) 당조의 주. 수공 2(686) 진주 마양현의 땅과 및 개산동에 금주를 설치했음 [백도백과].

) --> 

金州今陝西安康

금주(金州) 지금의 섬서 안강.

) --> 

金州操唐代僧 京兆章敬寺懷惲法嗣 金州(遼寧大連北)[傳燈錄九 五燈會元四]

금주조(金州操) 당대승. 경조 장경사 회운의 법사니 금주(요녕 대련의 북방) 사람 [전등록9. 오등회원4].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