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其白富】 淸代臨濟宗僧德富 號其白 詳見德富
기백부(其白富) 청대 임제종승 덕부의 호가 기백이니 상세한 것은 덕부(德富)를 보라.
) -->
【旣白旭】 淸代臨濟宗僧仁旭 字旣白 詳見仁旭
기백욱(旣白旭) 청대 임제종승 인욱의 자가 기백이니 상세한 것은 인욱(仁旭)을 보라.
) -->
【欺凡罔聖】 欺騙凡聖 ▲圓悟語錄十四 何況依倚貴勢 作流俗阿師擧止 欺凡罔聖 苟利圖名
기범망성(欺凡罔聖) 범부와 성인을 속임. ▲원오어록14. 어찌 하물며 귀세(貴勢; 고귀하고 권세가 있음)에 의지하고 기대어 유속(流俗; 凡俗)한 스님의 거지(擧止)를 지어 범부를 속이고 성인을 속이면서(欺凡罔聖) 구리(苟利; 구차하게 이득을 탐함)하고 도명(圖名; 명성을 도모)함이겠는가.
【機辯】 機如掣電 辯似懸河 [禪林寶訓音義] ▲禪林寶訓一 蓋演祖尋常機辯峻捷
기변(機辯) 기(機)는 체전(掣電; 번쩍이는 번개)과 같고 변(辯)은 현하(懸河; 세차게 흐르는 내)와 같음 [선림보훈음의]. ▲선림보훈1. 대개 연조(演祖; 법연을 가리킴)는 심상에 기변(機辯)이 준첩(峻捷; 험준하고 빠름)했다.
) -->
【機變】 禪機變化 機鋒變化 ▲碧巖錄第十則 兩喝與三喝 作者知機變
기변(機變) 선기의 변화. 기봉의 변화. ▲벽암록 제10칙. 양할(兩喝)과 3할이여, 작자는 기변(機變)을 안다.
) -->
【其辯】 宋代雲門宗僧 依天衣義懷受法 住興化西臺 [普燈錄三 五燈會元十六]
기변(其辯) 송대 운문종승. 천의의회에게 의지해 법을 받고 흥화의 서대에 거주했음 [보등록3. 오등회원16].
) -->
【記莂】 同記別 ▲五燈會元十行明傳法 師禮雪竇智覺禪師爲師 及智覺遷永明 遂入天台國師之室 蒙授記莂 復歸永明
기별(記莂) 기별(記別)과 같음. ▲오등회원10 행명전법. 스님이 설두지각선사를 참례하고 스승으로 삼았으며 및 지각이 영명으로 옮기자 드디어 천태국사의 방에 들어가 기별(記莂)을 받고 영명으로 복귀했다.
) -->
【記別】 又作記莂 佛記弟子成佛之事 分別劫數國土佛名壽命等事 謂爲記別 授此記別於弟子 謂爲授記 ▲聯燈會要十二興化楚圓 楚圓何人 敢受和尙如此記別 ▲環溪惟一語錄上 諸人若向這裡知歸 不須更授然燈記別
기별(記別) 또 기별(記莂)로 지음. 불타가 제자에게 성불의 일을 기록함이니 겁수ㆍ국토ㆍ불명ㆍ수명 등의 일을 분별함을 일컬어 기별이라 하고 이 기별을 제자에게 줌을 일컬어 수기(授記)라 함. ▲연등회요12 흥화초원. 초원이 어떤 사람이기에 감히 화상의 이와 같은 기별(記別)을 받겠습니까. ▲환계유일어록상. 제인이 만약 이 속을 향해 귀처를 안다면 다시 연등의 기별(記別)을 전수함이 쓰이지 않으리라.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17쪽 (0) | 2019.05.1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16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14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13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12쪽 (0) | 2019.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