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17쪽

태화당 2019. 5. 10. 09:25

寄附又作寄付 委託財物於寺院 爲備三寶之用 雪峰義存語錄下 不許各度童行 私置田業 擅泥鍋鐺 仍別衆食 寄附常住 庄舍典質營轉等事

기부(寄附) 또 기부(寄付)로 지음. 재물을 사원에 위탁하여 삼보의 용도에 대비함임. 설봉의존어록하. 각자 동행을 득도시키거나 사사로이 전업(田業)을 설치하거나 멋대로 과쟁(鍋鐺; 노구솥과 솥)을 바르거나() 인하여 별중식(別衆食)하거나 상주를 기부(寄附)하거나 장사(庄舍)를 전질(典質; 물건을 저당 잡힘)하여 영전(營轉)하는 등의 일을 불허하였다.

) --> 

岐分絲染從容錄三第五十三則曰 列子說符篇 楊子之隣人亡羊 旣率其黨 又請楊子之豎子追之 楊子曰 一羊何追者之衆 隣人曰 多岐路 旣返問獲羊乎 曰 亡之矣 曰 奚亡之 曰 岐路之中又有岐焉 墨子梁惠王時 有道之人 出行見素絲染從餘色 悲之曰 人湛然同於聖體 爲居惡俗 染之成累 岐分絲染太嘮嘮 勒交切 鬧嘮嘮也 或作勞亦可 禪門拈頌集第三九則天童覺 歧分絲染大嘮嘮 葉綴花聯敗祖曹

기분사염(岐分絲染) 종용록3 53칙에 가로되 열자 설부편(說符篇) 양자(楊子)의 이웃 사람이 양을 잃었다. 이윽고 그의 무리를 거느리고 또 양자의 수자(豎子; 어린 심부름꾼)를 청하여 그것을 쫓았다. 양자가 가로되 한 마리의 양에 왜 추격하는 자가 많은가. 이웃 사람이 가로되 기로(岐路)가 많습니다. 이미 돌아오자 반문하되 양을 얻었는가. 가로되 그것을 잃었습니다. 가로되 어찌하여 그것을 잃었는가. 가로되 기로 중에 또 기로가 있었습니다. 묵자(墨子)는 양혜왕(梁惠王) 때의 도가 있는 사람이었다. 출행하여 흰 실을 염색해 다른 색을 좇게 함을 보고 그것을 슬프게 여기며 가로되 사람이 담연(湛然)하기가 성체(聖體)와 같거늘 악속(惡俗)에 거처하기 때문에 그것에 물들어 누()를 이룬다. 기분염사태노로(岐分絲染太嘮嘮) 륵교절(勒交切; )이니 시끄럽게 떠들썩함이다. 혹 로()로 지음도 또한 가하다. 선문염송집 제390칙 천동각. 기분사염(岐分絲染)은 너무 노로(大嘮嘮)함이며 엽철화련(葉綴花聯)은 조사의 무리를 패퇴시킨다.

) --> 

饑不擇食饑時不選擇什麽食物 續傳燈錄一神鼎洪諲 問 如何是和尙家風 師曰 饑不擇食

기불택식(饑不擇食) 주릴 때 어떤 음식물을 선택하지 않음. 속전등록1 신정홍인. 묻되 무엇이 이 화상의 가풍입니까. 스님이 가로되 주릴 적에 음식을 가리지 않는다(饑不擇食).

) -->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