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15년 선종천자문서(禪宗千字文序)

태화당 2020. 11. 5. 19:54

檀紀 4348(2015)年 乙未

 

선종천자문서(禪宗千字文序)

 

潦倒淨圓 不勝殺閑 費七晝夜 撰此詞翰

료도정원 불승쇄한 비칠주야 찬차사한

 

헛늙은 정원이/ 너무 한가함을 이기지 못해/ 칠주야를 소비하여/ 이 사한을 지었노라.

 

四言四句 六十二半 一千字中 重複字無

사언사구 륙십이반 일천자중 중복자무

 

사언사구가/ 육십이반이니/ 일천자 중에/ 중복된 자는 없느니라.

 

西域中華 及我海東 禪伯闍黎 竹葦稻麻

서역중화 급아해동 선백사리 죽위도마​ ​

 

서역과 중화/ 및 우리의 해동에/ 선백 사리가/ 죽위도마로다.

 

禪宗濫觴 菩提達磨 五家七宗 慧能之下

선종람상 보리달마 오가칠종 혜능지하

 

선종의 남상은/ 보리달마며/ 오가칠종은/ 혜능의 아래로다.

 

著名禪和 機緣言句 次第敍述 不得淆訛

저명선화 기연언구 차제서술 부득효와

 

저명한 선화의/ 기연과 언구를/ 차제로 서술하여/ 효와를 얻지 않았도다.

 

更歷一月 注解譯韓 典故分明 不是杜撰

갱력일월 주해역한 전고분명 불시두찬

 

다시 한 달을 경과하며/ 주해하고 한글 번역했으며/ 전고가 분명하여/ 이 두찬이 아니로다.

 

世尊拈花 打頭話頭 焉哉乎也 末後助辭

세존념화 타두화두 언재호야 말후조사

 

세존염화는/ 타두의 화두며/ 언재호야는/ 말후의 조사니라.

 

效周興嗣 略述大約 秖爲初學 莫嫌節略

효주흥사 략술대약 지위초학 막혐절략

 

주흥사를 본받아/ 간략히 대약을 서술하니/ 다만 초학을 위함이므로/ 절략을 혐의하지 말아라.

 

須彌爲筆 海水爲墨 難寫一句 無窮之跡

수미위필 해수위묵 난사일구 무궁지적

 

수미를 붓으로 삼고/ 해수를 먹으로 삼더라도/ 일구의 무궁한 자취를/ 서사하기 어렵도다.

 

滿口含霜 溢目山河 囉囉哩哩 之乎者也

만구함상 일목산하 라라리리 지호자야

 

입에 가득히 서리를 머금었으며/ 눈에 가득히 산하니/ 라라리리/ 지호자야로다.

 

 

檀紀四三四八年 歲次乙未 仲冬 平心寺主 淨圓 自題于泰華堂

 

단기 4348년 세차을미(2015) 중동 평심사주 정원이 태화당에서 자제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