凡例
一. 本書以大正藏第四八冊碧巖錄爲底本
一. 目次與本文之則順番號 後人補記之 本書目次之則名 據卍續藏第一一七冊碧巖集 從便引入
一. 決定的誤字和衍字 參照他本以改正之
一. 國譯此錄 大蓋引用一愚先師之懸吐
一. 註中引用例文以註解文句 或要文句之補註者 以▲號表示
一. 註中或因長文註釋而看讀不便時 以作段落爲分離註解 以◆號表示.
一. 註釋只用必要不可缺的短文
一. 本書註文例文 總計二千七百餘條
一. 主要參照典籍 泰華禪學大辭典 碧巖錄種電鈔 百度百科 中華電子佛典
一. 본서는 대정장 제48책 벽암록을 저본으로 삼았음.
一. 목차와 본문의 칙순의 번호는 후인이 그것을 보기(補記)했으며 본서의 목차의 칙명(則名)은 만속장 제117책 벽암집에 의거하여 편의를 좇아 인입(引入)했음.
一. 결정적 오자와 연자(衍字)는 타본을 참조하여 그것을 개정했음.
一. 이 록(錄)을 국역하면서 대개(大蓋) 일우선사(一愚先師)의 현토(懸吐)를 인용했음.
一. 주중(註中) 예문을 인용하여 문구를 주해하거나 혹 문구의 보주(補註)를 요하는 것은 ▲호(號)로써 표시했음.
一. 주중 혹 장문의 주해로 인해 간독(看讀)이 불편할 때는 단락(段落)을 지어 분리해 주해했고 ◆호로써 표시했음.
一. 주석은 다만 필요불가결의 단문(短文)을 사용했음.
一. 본서의 주문과 예문은 총계 2천7백 여 조(條)임.
一. 주요하게 참조한 전적(典籍)은 태화선학대사전ㆍ벽암록종전초ㆍ백도백과ㆍ중화전자불전임.
'벽암록주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암록 제1칙 본칙 (0) | 2021.08.24 |
---|---|
벽암록 제1칙 수시 (0) | 2021.08.24 |
벽암록 보조서 (0) | 2021.08.24 |
벽암록주해 목차 (0) | 2021.08.24 |
벽암록주해자서 (0) | 2021.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