虔州西堂智藏禪師者 虔化人也 姓廖氏 八歲從師 二十五具戒 有相者覩其殊表 謂之曰 師骨氣非凡 當爲法王之輔佐也 師遂往佛迹巖參禮大寂 與百丈海禪師同爲入室 皆承印記 一日大寂遣師詣長安 奉書于忠國師 國師問曰 汝師說什麽法 師從東過西而立 國師曰 只遮箇更別有 師却過東邊立 國師曰 遮箇是馬師底 仁者作麽生 師曰 早箇呈似和尙了 尋又送書往徑山與國一禪師〈語在國一章〉 屬連帥路嗣恭延請大寂居府應期盛化 師迴郡得大寂付授納袈裟令學者親近 僧問馬祖 請和尙離四句絕百非 直指某甲西來意 祖云 我今日無心情 汝去問取智藏 其僧乃來問師 師云 汝何不問和尙 僧云 和尙令某甲來問上坐 師以手摩頭云 今日頭疼 汝去問海師兄 其僧又去問海〈百丈和尙〉 海云 我到遮裏却不會 僧乃擧似馬祖 祖云 藏頭白海頭黑
●虔州; 今江西省贛縣
●相者; 舊指以相術供職或爲業的人
●法王; 佛於法自在 稱曰法王 ▲法華經譬喩品 我爲法王 於法自在 同藥王品 如來是諸法之王
●呈似; 示與 呈 示也 見也 似 相當于與
●離四句絕百非; 禪門拈頌集第一六四則 拈頌說話云 四句百非者 海照頌云 强計眞常起有無 飜成十六性情麁 已起未起幷三世 根本四句百不孤 筆削(起信論疏筆削記四)云 百非者 一異有無等四句明之 則一 非一 亦一 亦非一 異 非異 亦異 亦非異 有 非有 亦有 亦非有 無 非無 亦無 亦非無等 共成十六 過現未三世 各有十六 則共成四十八 已起未起亦各有四十八 則共成九十六 幷根本四句 則却成百非也
건주(虔州) 서당지장(西堂智藏) 선사란 자는 건화(虔化) 사람이며 성이 류씨(廖氏)다. 8세에 스승을 좇았고 25에 구계(具戒)했다. 상자(相者)가 있어 그의 수승한 표정(表情)을 보더니 일러 가로되 스님의 골기(骨氣)가 비범(非凡)하니 마땅히 법왕(法王)의 보좌(輔佐)가 될 것입니다. 스님이 드디어 불적암(佛迹巖)으로 가서 대적(大寂; 마조의 시호)을 참례(參禮)했다. 백장회해(百丈懷海) 선사와 더불어 한가지로 입실(入室; 입실하여 嗣法한 자)이 되며 모두 인기(印記; 印可하고 授記함)를 받았다(承). 어느 날 대적(大寂)이 스님을 보내어 장안으로 나아가 충국사(忠國師)에게 봉서(奉書)하게 했다. 국사가 문왈(問曰) 너의 스승은 무슨(什麽) 법을 설하느냐. 스님이 동쪽으로 좇아 서쪽에 이르러(過) 섰다. 국사가 가로되 다만 이것(遮箇)이냐, 다시 다른 게 있는가. 스님이 도리어 동변(東邊)에 이르러 섰다. 국사가 가로되 이것(遮箇)은 이 마사의 것이다(馬師底). 인자(仁者)는 어떠한가(作麽生). 사왈 벌써(早箇) 화상에게 보여 드렸습니다(呈似). 이윽고 또 송서(送書)하여 경산(徑山)에 가서 국일선사(國一禪師; 道欽)에게 주게 했다〈語가 國一章에 있다〉. 연수(連帥) 노사공(路嗣恭)이 대적(大寂)을 연청(延請)해 관부(官府)에 거주하며 응기(應期)하여 성화(盛化)함을 당해(屬) 스님이 회군(迴郡)하여 대적이 납가사(納袈裟)를 부수(付授)하고 학자들로 하여금 친근하게 함을 얻었다. 중이 마조에게 묻되 화상에게 청하오니 이사구절백비(離四句絕百非)하고 모갑에게 서래의(西來意)를 직지(直指)하십시오. 마조가 이르되 내가 금일 심정(心情)이 없으니 네가 가서 지장(智藏)에게 문취(問取)하라. 그 중이 이에 와서 스님에게 물었다. 사운(師云) 네가 왜 화상에게 묻지 않느냐. 승운(僧云) 화상이 모갑으로 하여금 상좌에게 내문(來問)하게 하셨습니다. 스님이 손으로써 머리를 어루만지며 이르되 금일 머리가 아프니(疼) 네가 가서 해(海; 懷海) 사형에게 물어라. 그 중이 또 가서 해(海)〈百丈和尙〉에게 물었다. 해가 이르되 내가 이 속(遮裏)에 이르러 도리어 알지 못한다. 중이 이에 마조에게 들어 보이자 마조가 이르되 장두백해두흑(藏頭白海頭黑)이다.
●虔州; 지금의 강서성 공현(贛縣).
●相者; 옛적에 상술(相術)로써 공직(供職; 직무를 擔任)하거나 혹 업으로 삼는 사람을 가리켰음.
●法王; 불타가 법에 자재하므로 일컬어 가로되 법왕이라 함. ▲법화경 비유품. 내가 법왕이 되어 법에 자재하다. 동 약왕품 여래는 이 제법의 왕이다.
●呈似; 보여줌. 정(呈)은 시(示)임. 현(見)임. 사(似)는 여(與)에 상당함.
●離四句絕百非; 선문염송집 제164칙 염송설화에 이르되 사구백비(四句百非)란 것은 해조(海照; 未詳)의 송(頌)에 이르되 진상(眞常)을 억지로 계산해 유무(有無)를 일으켜/ 도리어 16을 이루니 성정(性情)이 거칠다/ 이기(已起)ㆍ미기(未起)와 아울러 3세(世)에/ 근본사구(根本四句)니 백(百)이라 외롭지 않다. 필삭(筆削; 기신론소필삭기4)에 이르되 백비(百非)란 것은 일(一)ㆍ이(異)ㆍ유(有)ㆍ무(無) 등 4구로 이를 밝히자면 곧 일(一)ㆍ비일(非一)ㆍ역일(亦一)ㆍ역비일(亦非一)과 이(異)ㆍ비이(非異)ㆍ역이(亦異)ㆍ역비이(亦非異)와 유(有)ㆍ비유(非有)ㆍ역유(亦有)ㆍ역비유(亦非有)와 무(無)ㆍ비무(非無)ㆍ역무(亦無)ㆍ역비무(亦非無) 등 모두 16을 이루고 과거ㆍ현재ㆍ미래의 3세에 각기 16이 있으니 곧 모두 48을 이루고 이기(已起)와 미기(未起)에 또한 각기 48이 있으니 곧 모두 96을 이루고 근본사구(根本四句; 一異有無)를 아우르니 곧 도리어 백비(百非)를 이룬다.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40만 원. 할인. 잔본 81질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pyungsimsa.tistory.com
'전등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등록 권7 회운선사(懷惲禪師) 01 (0) | 2023.03.04 |
---|---|
전등록 권7 서당지장(西堂智藏) 02 (0) | 2023.03.03 |
전등록 권7 늑담상흥(泐潭常興) (0) | 2023.03.03 |
전등록 권7 노조보운(魯祖寶雲) (0) | 2023.03.03 |
전등록 권7 총인선사(總印禪師) (0) | 2023.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