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등록

전등록 권8 오구화상(烏臼和尙)

태화당 2023. 3. 13. 07:26

烏臼和尙 有玄紹二上座 從江西來參師 師乃問云 二禪伯發足什麽處 僧云 江西 師以拄杖打之 玄云 久知和尙有此機要 師云 爾旣不會 後面箇僧祇對看 後面僧擬近前 師便打云 信知同窠無異土 參堂去

禪伯; 對德高望重的禪師的尊稱

機要; 機密的要點

參堂; 入僧堂參見首座大衆竝坐禪 又禪院住持僧同意接受行脚僧的習語

 

오구화상(烏臼和尙). ()ㆍ소() 두 상좌가 있어 강서(江西)로부터 와서 스님을 참()했다. 스님이 이에 물어 이르되 두 선백(禪伯)은 어느 곳(什麽處)에서 발족(發足)했는가. 승운(僧云) 강서입니다. 스님이 주장자로써 때렸다. ()이 이르되 화상이 이런 기요(機要)가 있다 함을 오래 압니다. 사운(師云) 너는 이미 알지 못했다. 후면(後面)의 저 중(箇僧)이 지대(祇對)해보아라. 후면의 중이 앞으로 다가서려 하자 스님이 바로 때리고 이르되 같은 구덩이()에 다른 흙이 없는 줄 확실히 알겠다(信知). 참당(參堂)하러 가거라.

禪伯; 덕이 높고 명망이 큰 선사에 대한 존칭.

機要; 기밀(機密)의 요점(要點).

參堂; 승당에 들어가 수좌와 대중을 참견(參見)하고 아울러 좌선함. 또 선원의 주지승의 동의로 행각승을 접수한다는 습관적인 말임.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40만 원. 할인. 잔본 81질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pyungsimsa.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