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65쪽

태화당 2019. 5. 1. 15:49

乾明普宋代雲門宗僧 住巴陵乾明院 得法於鼎州德山圓明緣密 [廣燈錄二十一]

건명보(乾明普) 송대 운문종승. 파릉 건명원에 주()했으며 정주 덕산의 원명연밀에게서 법을 얻었음 [광등록21].

) --> 

乾明寺天皇寺于宋代改名乾明寺 詳見天皇寺

건명사(乾明寺) 천황사를 송대에 건명원으로 개명했으니 상세한 것은 천황사를 보라.

) --> 

乾明信宋代雲門宗僧居信 嗣雙泉師寬(嗣雲門) 住東川乾明院 [建中靖國續燈錄三]

명신(乾明信) 송대 운문종승 거신이니 쌍천사관(운문을 이었음)을 이었으며 동천 건명원에 주()했음 [건중정국속등록3].

) --> 

乾明則宋代雲門宗僧 參明州雪竇寺重顯得法 出世信陽乾明禪院 [續傳燈錄六]

건명칙(乾明則) 송대 운문종승. 명주 설두사 중현을 참해서 득법했으며 신양 건명선원에서 출세했음 [속전등록6].

) --> 

件目事項及其名目 人天眼目自序 予遊方時 所至盡誠 咨扣尊宿五宗綱要 其間件目 往往亦有所未知者

건목(件目) 사항 및 그 명목. 인천안목자서. 내가 유방할 때 이르는 곳마다 성심을 다해 5()의 강요(綱要)를 존숙들에게 자구(咨扣; 묻고 두드림)했는데 그 사이의 건목(件目)은 왕왕 또한 알지 못하는 바의 것도 있었다.

) --> 

建文君朱允炆(1377-재위 139 8-1402) 明朝第二位皇帝 年號建文 故後世稱建文帝 又作朱允文 朱允汶 於靖難之役後 下落不明 時駙馬都尉梅殷在軍中 從黃彦淸之議 爲發喪 [百度百科] 雜毒海二 禮建文君遺像 陰謀休恨姚廣孝 老佛曾傳楊應能 斂却殘棋誰勝負 閻浮提內兩員僧(正法)

건문군(建文君) 주윤문(朱允炆; 1377- . 재위 1398-1402) 명조 제2위 황제. 연호가 건문인지라 고로 후세에 건문제로 호칭함. 또 주윤문(朱允文)ㆍ주윤문(朱允汶)으로 지음. 정난지역(靖難之役; 명나라 초기 황위계승을 둘러싸고 일어났던 내란) 후에 하락처가 분명하지 않음. 때에 부마도위 매은이 군중에 있다가 황언청의 의논을 좇아 발상(發喪)했음 [백도백과]. 잡독해2. 예건문군유상(禮建文君遺像; 건문군의 유상에 예하다) 음모는 요광효(姚廣孝)를 한함을 쉬었나니/ 노불(老佛)이 일찍이 양응능(楊應能)에게 전했다/ 나머지 바둑을 거두었거를 누가 승부하느냐/ 염부제 안애 양원(兩員; 2)의 승인이다 (정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