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최고(最苦)

태화당 2019. 8. 3. 06:58

최고(最苦)

 

십어구중불여묵연(十語九中不如嘿然)

복생구변참학유연(醭生口邊參學有緣)

군불견당착도반교견과(君不見撞著道伴交肩過)

일생참학사편변(一生參學事便辨)

지옥고사가인(地獄苦乍可忍)

해감의선하실신(奚堪衣線下失身)

취두남남유주엽현(聚頭喃喃游州獵縣)

십개오쌍약허인(十箇五雙掠虛人)

휴휴(休休)

약불휴도무휴지(若不休到無休地)

종피염왕색반전(終被閻王索飯錢)

 

열 마디에 아홉이 적중하더라도 묵연함만 같지 못하나니

골마지가 입가에 생겨야 참학할 인연이 있도다

그대가 보지 못하는가 도반과 부딪쳐 어깨를 교차해 지나면서

일생의 참학사(參學事)를 바로 분변하느니라.

지옥고(地獄苦)는 차라리 가히 참을 만하지만

어찌 의선하(衣線下)에서 인신(人身) 잃음을 감내하리오

머리를 맞대고 남남(喃喃)거리거나 유주엽현(游州獵縣)하는 이는

열 개에 다섯 쌍이 약허인(掠虛人)이니라.

휴휴(休休)하라

만약 쉼이 쉼 없는 지경에 이르지 못하면

마침내 염라왕이 밥값을 구색(求索)함을 입으리라.

 

   제목 해석 가장 괴로움.

   1~2행 중()은 맞힐 중. ()은 묵()과 같음. ()은 술에 골마지 낄 복.

   3~4행 도반(道伴)과 부딪쳐 어깨를 교차해 지나면서 일생의 참학사(參學事)를 마치느니라 (撞著道伴交肩過 一生參學事畢) [五燈全書卷十四 長慶慧稜章 慧稜上堂語]. ()은 부딪칠 당. ()은 조사(助詞).

   5~6행 중에게 묻되 세간에서 어떤 물건이 가장 괴로운가. 가로되 지옥이 가장 괴롭습니다. 스님(洞山)이 가로되 그렇지 않나니 이 의선하(衣線下)에 있으면서 대사(大事)를 밝히지 못하면 이 이름이 최고(最苦)니라 [五燈全書卷二十六 洞山良价章]. ()는 차라리 사. ()는 어찌 해. 의선하(衣線下)란 옷(袈裟를 가리킴) 아래니 곧 사람으로 태어나 일대사(一大事)를 마치지 못하는 것이 가장 괴롭다는 뜻이니 한 번 인신(人身)을 잃으면 백겁천생(百劫千生)에 회복하기 어렵기 때문.

   7~8행 취두(聚頭)는 웅기중기 모인 모습. ()은 재잘거리는 소리 남. 유주엽현(游州獵縣)은 이 마을 저 고을을 싸다니는 것. ()는 고을 주. ()은 고을 현. ()은 경력(經歷)의 뜻. 약허인(掠虛人)은 허망 또는 허공을 약취(掠取)하는 사람. ()은 획 채갈 략. 빼앗을 략.

   11행 색()은 찾을 색. ()은 돈 전. 비용(費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