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21쪽

태화당 2019. 5. 9. 11:11

金剛論金剛般若波羅蜜經論 三卷 有二本 一無著菩薩造 隋南天竺三藏法師達摩岌多譯 二天親菩薩造 元魏天竺三藏菩提流支譯 同收於大正藏第二十五冊 宗鏡錄九十九 金剛論云 敎中 譬如星宿 爲日所映 有而不現 能見心法 亦復如是 釋曰 此有二解(云云)

금강론(金剛論) 금강반야바라밀경론을 가리킴. 3. 2본이 있음. 1. 무착보살이 지었으며 수 남천축 삼장법사 달마급다가 번역했음. 2. 천친보살이 지었으며 원위 천축삼장 보리류지가 번역했음. 한가지로 대정장 제25책에 수록되었음. 종경록99. 금강론(金剛論)에 이르기를 교중에 비유컨대 성수(星宿), 해가 비추는 바가 되면 있어도 나타나지 않음과 같이 능히 심법을 봄도 또한 다시 이와 같다. 해석해 가로되 이에 두 해석이 있다 (운운).

) --> 

金剛輪際見金剛際 傳燈錄二第十六祖羅睺羅多 以右手漸展入地 至金剛輪際取甘露水

금강륜제(金剛輪際) 금강제를 보라. 전등록2 16조 라후라다. 오른손으로 점점 펴서 땅에 넣어 금강륜제에 이르러 감로수를 취했다.

) --> 

金剛利菩薩金剛界十六菩薩之一 西方無量壽如來四親近之一 主如來之智德 標斷一切之苦 以劍爲三昧耶形 [祕藏記末 聖位經 新譯仁王經下] 註心賦一 西方無量壽如來 亦名觀自在王如來 四菩薩者 一金剛法菩薩 二金剛劍菩薩 三金剛因菩薩 四金剛利菩薩

금강리보살(金剛利菩薩) 금강계 16보살의 하나. 서방 무량수여래의 4친근의 하나. 여래의 지덕을 주재하며 일체의 고를 단절함을 표시함. 검으로 삼매야형(三昧耶形)을 지었음 [비장기말. 성위경. 신역인왕경하] 주심부1. 서방의 무량수여래는 또 이름이 관자재왕여래이다. 4보살이란 것은 1은 금강법보살이며 2는 금강검보살이며 3은 금강인보살이며 4는 금강리보살(金剛利菩薩)이다.

) --> 

金剛無量壽佛祝聖回向 略三寶 有金剛無量壽佛 無量壽者 阿彌陁飜名 蓋今祝天子壽考 故特擧此佛名 以充佛寶焉 金剛者 堅固義 所以禱皇基鞏固也 [象器箋十三] 入衆須知聖節佛殿念誦 上來念誦洪因 祝延今上皇帝聖壽無疆 金剛無量壽佛諸尊

금강무량수불(金剛無量壽佛) 축성(祝聖)의 회향에 삼보를 생략하고 금강무량수불이 있음. 무량수란 것은 아미타를 번역한 이름임. 대개 여금에 천자의 수고(壽考; 오래 삶)를 축원하는지라 고로 특별히 이 불명을 들어 불보에 충당함. 금강이란 것은 견고의 뜻이니 소이로 황기(皇基)의 공고(鞏固)를 기도함임 [상기전13]. 입중수지 성절 불전염송. 상래의 염송의 홍인(洪因)은 금상황제의 성수무강을 축연함이다. 금강무량수불제존(金剛無量壽佛諸尊).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