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20쪽

태화당 2019. 5. 9. 10:48

金剛圈子金剛圈 子 後綴 頌古聯珠通集二十八 金剛圈子栗棘蓬 解透橫行四天下

금강권자(金剛圈子) 금강권(金剛圈). 자는 후철. 송고연주통집28. 금강권자(金剛圈子)와 율극봉을 투과할 줄 안다면 사천하를 횡행하리라.

) --> 

金剛幢菩薩金剛界十六菩薩之一 南方寶生如來四親近之一 以寶幢之三昧耶標注寶雨 [祕藏記末 略出經 聖位經] 註心賦一 南方寶生如來 四菩薩者 一金剛寶菩薩 二金剛威光菩薩 三金剛幢菩薩 四金剛笑菩薩

금강당보살(金剛幢菩薩) 금강계 16보살의 하나. 남방 보생여래 4친근의 하나. 보당의 삼매야로 표시하고 보우(寶雨)를 내림 [비장기말. 약출경. 성위경]. 주심부1. 남방 보왕여래의 4보살이란 것은 1은 금강보보살이며 2는 금강위광보살이며 3은 금강당보살(金剛幢菩薩)이며 4는 금강소보살이다.

) --> 

金剛臺以金剛造成之臺座 月江正印語錄下 手執玉如意 宴坐金剛臺

금강대(金剛臺) 금강으로 조성한 대좌. 월강정인어록하. 손에 옥여의를 가지고 금강대에 연좌하다.

) --> 

金剛力喩强力也 是言金剛力士之力 少室六門第一門心經頌 菩薩金剛力 四相勿令侵

금강력(金剛力) 강력에 비유함이니 이는 금강역사의 힘을 말함. 소실육문 제1문 심경송. 보살의 금강력으로 4상이 침노하지 못하게 하다.

) --> 

金剛力士與金剛神 執金剛 金剛夜叉 密跡金剛等皆同 執金剛杵護持佛法之天神 立於寺門兩脅之二王是也 大寶積經密跡金剛力士品記其宿世之事歷發願 五燈嚴統七玄沙師備 問 如何是金剛力士 師吹一吹

금강력사(金剛力士) 금강신ㆍ집금강ㆍ금강야차ㆍ밀적금강 등과 모두 같음. 금강저를 가지고 불법을 호지하는 천신임. 절 문에 세워진 양협(兩脅)2왕이 이것임. 대보적경 밀적금강역사품에 그 숙세의 사력(事歷)과 발원이 기재되었음. 오등엄통7 현사사비. 묻되 무엇이 이 금강역사(金剛力士)입니까. 스님이 불어서 한 번 불었다.

) --> 

金剛嶺上靑松老指洞山曉聰禪師 宗統編年二十曰 聰嗣文殊眞 手植萬松於東嶺 而恒誦金剛般若經 山中人因名其嶺曰金剛 禪門拈頌集第一三六七則 蔣山泉頌 白日西沒 逝水東流 千兵易得 一將難求 金剛嶺上靑松老 無限行人失路頭

금강령상청송로(金剛嶺上靑松老) 동산효총선사를 가리킴. 종통편년20에 가로되 총은 문수진을 이었다. 손수 동령(東嶺)에 만송(萬松)을 심었으며 항상 금강반야경을 외웠다. 산중의 사람들이 인하여 그 고개를 이름해 가로되 금강이라 했다. 선문염송집 제1367. 장산천이 송하되 하얀 해는 서쪽으로 잠기고/ 가는 물은 동쪽으로 흐른다/ 천병(千兵)은 얻기 쉬워도/ 한 장수는 구하기 어렵다/ 금강령상의 청송로(金剛嶺上靑松老)/ 무한한 행인이 노두를 잃었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