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19쪽

태화당 2019. 5. 9. 10:12

金剛圈一種用作武器的金屬圈 喩指禪家機語 古人公案 按這是宋代禪僧的習用詞語 圈 環形 環形的東西 如鐵圈 花圈 禪門拈頌集第一四二則 袁州楊歧方會禪師問僧 栗棘蓬 你作麽生呑 金剛圈 你作麽生跳 續古尊宿語要六別峰雲 僧問 黃龍佛手驢脚 楊岐金圈栗蓬 學人上來 乞師指示 師云 一字兩頭垂 僧云 如何是金剛圈 師云 也知上座透不得 僧云 如何是栗棘蓬 師云 刺破你咽喉

금강권(金剛圈) 1종의 무기로 사용하는 금속권이니 선가의 기어나 고인의 공안을 비유로 가리킴. 안험컨대 이것은 송대 선승의 습용(習用)하는 사어임. ()은 고리 형상이며 고리 형상의 동서(東西; 물건)니 철권ㆍ화권(花圈)과 같음 것임. 선문염송집 제1402. 원주의 양기방회선사가 중에게 묻되 율극봉(栗棘蓬)을 네가 어떻게 삼키느냐. 금강권(金剛圈)을 네가 어떻게 뛰어넘느냐. 속고존숙어요6 별봉운. 중이 묻되 황룡의 불수(佛手)ㆍ여각(驢脚)과 양기의 금권(金圈)ㆍ율봉(栗蓬)을 학인이 위로 올라왔으니 스님의 지시를 구걸합니다. 스님이 이르되 1()의 양두(兩頭)가 처졌다. 중이 이르되 무엇이 이 금강권(金剛圈)입니까. 스님이 이르되 또한 상좌가 투과를 얻지 못할 줄 안다. 중이 이르되 무엇이 이 율극봉입니까. 스님이 이르되 너의 목구멍을 찔러 깨뜨린다.

) --> 

金剛拳菩薩金剛界曼陀羅三十七尊中 北方不空成就如來四親近之一 持結合之德 成就一切之印契 標以拳之三摩耶形 [祕藏記末 略出經 聖位經] 註心賦一 北方不空成就如來 四菩薩者 一金剛業菩薩 二金剛法菩薩 三金剛藥叉菩薩 四金剛拳菩薩

금강권보살(金剛拳菩薩) 금강계만다라 37종 중에 북방 불공성취여래의 4친근의 하나. 결합의 덕을 가지고 일체의 인계(印契)를 성취하나니 주먹의 삼마야형(三摩耶形)으로 표시함[비장기말. 약출경. 성위경] 주심부1. 북방 불공성취여래의 4보살이란 것은 1은 금강업보살이며 2는 금강법보살이며 3은 금강약차보살이며 4는 금강권보살(金剛拳菩薩)이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