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剛般若波羅蜜經】 金剛經之具名 見金剛經 ▲古尊宿語錄十四趙州眞際 師因看金剛經次 僧便問 一切諸佛及諸佛阿耨菩提皆從此經出 如何是此經 師云 金剛般若波羅蜜經 如是我聞 一時佛在舍衛國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금강경의 갖춘 이름임. 금강경을 보라. ▲고존숙어록14 조주진제. 스님이 금경경을 보던 차에 중이 곧 묻되 일체제불 및 제불의 아뇩보리가 모두 이 경으로부터 나온다 하니 무엇이 이 경입니까 함으로 인해 스님이 이르되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여시아문 일시불재사위국.
) -->
【金剛般若波羅蜜經五家解】 二卷 鳩摩羅什所譯金剛般若波羅蜜經之唐宋五家註釋之合輯本 五家註釋者 卽雙林傅大士贊 六祖大鑑禪師口訣 圭峰從密禪師纂要 冶父川禪師頌 豫章鏡禪師提綱 此五家注 古來各各流行 曾入朝鮮 而有朝鮮國僧涵虛得通之說誼
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金剛般若波羅蜜經五家解) 2권. 구마라집이 번역한 바의 금강반야바라밀경의 당ㆍ송 5가 주석의 합집본. 5가 주석이란 것은 곧 쌍림부대사의 찬(贊)ㆍ6조 대감선사의 구결(口訣)ㆍ규봉종밀선사의 찬요(纂要)ㆍ야보천선사의 송(頌)ㆍ예장경선사의 제강(提綱). 이 5가주는 고래로 각각 유행했는데 일찍이 조선에 들어갔으며 조선국승 함허득통의 설의(說誼)가 있음.
) -->
【金剛法菩薩】 金剛界十六菩薩之一 西方無量壽如來四親近之上首 手持蓮華 標淸淨之妙法 [祕藏記末 略出經 聖位經] ▲註心賦一 西方無量壽如來 亦名觀自在王如來 四菩薩者 一金剛法菩薩 二金剛劍菩薩 三金剛因菩薩 四金剛利菩薩
금강법보살(金剛法菩薩) 금강계 16보살의 하나. 서방 무량수여래 4친근의 상수. 손에 연화를 가졌으며 청정한 묘법을 표시함 [비장기말. 약출경. 성위경]. ▲주심부1. 서방의 무량수여래는 또 이름이 관자재왕여래이다. 4보살이란 것은 1은 금강법보살(金剛法菩薩)이며 2는 금강검보살이며 3은 금강인보살이며 4는 금강리보살이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26쪽 (0) | 2019.05.09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24-1025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22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21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20쪽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