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剛密迹】 又曰密迹金剛 密迹力士 金剛力士 金剛手 執金剛等 總爲執金剛杵現大威勢擁護佛法之天神之通稱 ▲普菴印肅語錄二 金剛密迹 牙如劍樹目如燈 電爍妖魔法不生 千聖出頭難插足 普菴也道我無能
금강밀적(金剛密迹) 또 가로되 밀적금강ㆍ밀적역사ㆍ금강역사ㆍ금강수ㆍ집금강 등으로 지음. 모두 금강저를 가지고 대위세를 나타내어 불법을 옹호하는 천신의 통칭이 됨. ▲보암인숙어록2. 금강밀적(金剛密迹) 이빨은 검수와 같고 눈은 등과 같나니/ 번개로 사르니 요마(妖魔)의 법이 나지 않는다/ 1천 성인이 출두해도 발을 꽂기 어렵나니/ 보암도 또한 말하기를 나는 무능하다네.
) -->
【金剛波羅蜜菩薩】 金剛界三十七尊中 大日如來四親近菩薩之上首 是與轉法輪菩薩異名同體 [祕藏記末 聖位經 新譯仁王經下] ▲註心賦一 中方毘盧遮那如來四大菩薩者 一金剛波羅蜜菩薩 二寶波羅蜜菩薩 三法波羅蜜菩薩 四羯磨波羅蜜菩薩
금강바라밀보살(金剛波羅蜜菩薩) 금강계 37존 중 대일여래 4친근 보살의 상수니 이는 전법륜보살과 이명동체(異名同體)임 [비장기말. 성위경. 신역인왕경하] ▲주심부1. 중방 비로자나여래의 4대보살이란 것은 1은 금강바라밀보살(金剛波羅蜜菩薩)이며 2는 보바라밀보살이며 3은 법바라밀보살이며 4는 갈마바라밀보살이다.
) -->
【金剛般若經】 具名金剛般若波羅蜜經 略名金剛經 金剛般若經 見金剛經 ▲宗鏡錄九十五 金剛般若經云 過去心不可得 未來心不可得 現在心不可得
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 갖춘 이름은 금강반야바라밀경이며 약명이 금강경ㆍ금강반야경. 금강경을 보라. ▲종경록95. 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에 이르되 과거심도 불가득이며 미래심도 불가득이며 현재심도 불가득이다.
) -->
【金剛般若論】 金剛般若波羅蜜經論之略名 又作金剛般若經論 三卷 天親菩薩造 北魏菩提流支譯 收於大正藏第二十五冊 本書爲無著所造之金剛般若經論頌之注釋書 ▲註心賦二 金剛般若論云 智習唯識通 如是取淨土
금강반야론(金剛般若論) 금강반야바라밀경론의 약명이니 또 금강반야경론으로 지음. 3권. 천친보살이 지었고 북위 보리류지가 번역했음. 대정장 제25책에 수록되었음. 본서는 무착이 지은 바의 금강반야경론송의 주석서가 됨. ▲주심부2. 금강반야론(金剛般若論)에 이르되 지혜를 익혀 오직 식으로 통달하나니 이와 같이 정토를 취한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24-1025쪽 (0) | 2019.05.09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23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21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20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19쪽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