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24-1025쪽

태화당 2019. 5. 9. 11:18

金剛寶戒梵網經所說之大乘戒也 傳燈錄十 白居易字樂天 久參佛光得心法 兼稟大乘金剛寶戒

금강보계(金剛寶戒) 범망경에서 설한 바의 대승계임. 전등록10. 백거이는 자가 낙천이다. 오래 불광을 참해 심법을 얻었으며 겸해 대승의 금강보계(金剛寶戒)를 받았다.

) --> 

金剛寶菩薩金剛界十六菩薩之一 南方寶生如來四親近之上首 是與虛空藏菩薩異名同體也 [祕藏記末 金剛界曼陀羅鈔一 仁王經儀軌上] 註心賦一 南方寶生如來 四菩薩者 一金剛寶菩薩 二金剛威光菩薩 三金剛幢菩薩 四金剛笑菩薩

금강보보살(金剛寶菩薩) 금강계 16보살의 하나. 남방 보생여래 4친근의 상수. 이는 허공장보살과 이명동체(異名同體; 다른 이름, 같은 체)[비장기말. 금강계만디라초1. 인왕경의궤상]. 주심부1. 남방 보왕여래의 4보살이란 것은 1은 금강보보살(金剛寶菩薩)이며 2는 금강위광보살이며 3은 금강당보살이며 4는 금강소보살이다.

) --> 

金剛寶藏金剛寶之藏也 大涅槃及衆生心地之淨菩提心 皆譬以金剛堅固之寶藏 [大般涅槃經後分上 大日經疏一 同二] 宗鏡錄三十四 大涅槃經云 金剛寶藏 無所缺減

금강보장(金剛寶藏) 금강보의 장(; 창고). 대열반 및 중생심지의 청정한 보리심을 모두 금강 견고의 보장으로 비유함 [대반열반경후분상. 대일경소1, 2]. 종경록34. 대열반경에 이르되 금강보장(金剛寶藏)은 결감하는 것이 없다.

) --> 

金剛不壞謂如金剛之堅固不壞滅也 少室六門第二門破相論 眞如者 自是金剛不壞 無漏法身

금강불괴(金剛不壞) 이르자면 금강의 견고함과 같아서 괴멸하지 않음임. 소실육문 제2문 파상론. 진여란 것은 스스로 이 금강불괴(金剛不壞)며 무루의 법신이다.

) --> 

金剛不壞身佛身也 寶積經五十二 如來身者 卽是金剛之身 不壞之身 堅固之身 古尊宿語錄七南院慧顒 問 如何是金剛不壞身 師云 老僧在你脚底 續傳燈錄一葉縣歸省 問 如何是金剛不壞身 師曰 百雜碎

금강불괴신(金剛不壞身) 부처의 몸임. 보적경52 여래의 몸이란 것은 곧 이 금강의 몸이며 불괴의 몸이며 견고한 몸이다. 고존숙어록7 남원혜옹. 묻되 무엇이 이 금강불괴신(金剛不壞身)입니까. 스님이 이르되 노승이 너의 발 밑에 있다. 속전등록1 섭현귀성. 묻되 무엇이 이 금강불괴신(金剛不壞身)입니까. 스님이 가로되 백잡쇄(百雜碎; 산산히 부서짐)했다.


金剛山】 ①位於韓國(北韓)江原道東海岸 韓國第一名勝 相傳爲華嚴經中法起菩薩之住處 故世人尊爲靈山 全山分內外海新等四金剛區 山中有數十寺 內金剛有高麗太祖所創正陽寺 新羅文武王所創表訓寺 新羅法興王時眞表所創長安寺 外金剛有神溪寺 亦爲本山最早之寺 全山以楡岾寺(新金剛)爲最著名 指須彌山言 註維摩經一 肇曰 須彌山天帝釋所住金剛山也 秦言妙高 八十華嚴經四十五菩薩住處品 東北方有處 名淸涼山 (中略)海中有處 名金剛山 從昔以來 諸菩薩衆 於中止住 現有菩薩 名曰法起 與其眷屬諸菩薩衆千二百人俱 常在其中而演說法

금강산(金剛山) 한국(韓國; 북한) 강원도 동해안에 위치함. 한국 제1의 명승. 서로 전하기를 화엄경 중 법기보살(法起菩薩)의 주처가 된다 하여 고로 세인이 높여 영산(靈山)으로 삼음. 온 산이 내외해신(內外海新) 4금강구(金剛區)로 분류함. 산중에 수십의 사원이 있음. 내금강에는 고려태조가 창건한 바의 정양사ㆍ신라 문무왕이 창건한 바의 표훈사ㆍ신라 법흥왕 때 진표가 창건한 바의 장안사가 있음. 외금강엔 신계사가 있으며 또한 본산(本山)의 최조(最早)의 절이 됨. 온 산에서 유점사(楡岾寺; 신금강)를 가장 저명함으로 삼음. 수미산을 가리켜 말함임. 주유마경1 (승조)가 가로되 수미산은 천제석이 거주하는 곳인 금강산이다. 진언(秦言)으론 묘고다. 팔십화엄경45 보살주처품. 동북방에 처소가 있으니 이름이 청량산이다 (중략) 해중에 처소가 있나니 이름이 금강산이다. 종석(從昔) 이래로 여러 보살중이 이 가운데 지주(止住)한다. 현재 보살이 있으니 이름이 법기(法起)며 그의 권속과 여러 보살중 1,200인과 함께하는데 늘 그 가운데 있으면서 법을 연설한다.


金剛薩埵又云金剛手 祕密主 又云普賢 是眞言宗八祖中之第二祖 大日如來爲第一 此薩埵爲第二 薩埵者有情之義 勇猛之義 總言勇猛之大士 此薩埵與普賢菩薩同體異名 [金剛頂瑜伽中略出念誦經一 同四 理趣釋上 大日經疏五] 宗鏡錄二十四 東方阿閦如來 四菩薩者 一金剛薩埵菩薩 二金剛王菩薩 三金剛愛菩薩 四金剛善哉菩薩

금강살타(金剛薩埵) 또 이르되 금강수ㆍ비밀주라 하며 또 이르되 보현이라 함. 이는 진언종 8조 중의 제2조임. 대일여래가 제1이 되고 이 살타가 제2가 됨. 살타란 것은 유정의 뜻이며 용맹의 뜻이니 총언(總言)하면 용맹의 대사(大士). 이 살타는 보현보살과 동체이명(同體異名)[금강정유가중약출염송경1, 4. 이취석상. 대일경소5]. 종경록24. 동방 아축여래 4보살이란 것은 1은 금강살타보살(金剛薩埵菩薩)이며 2는 금강왕보살이며 3은 금강애보살이며 4는 금강선재보살이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