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11쪽

태화당 2019. 5. 10. 09:21

旣望周曆以每月十五十六日至廿二廿三日爲旣望 後稱十五日爲望 十六日爲旣望 [百度漢語] 潭州雲蓋山會和尙語錄序 皇祐二年(1050) 仲春旣望日 湘中苾芻 文政述

기망(旣望) 주력(周曆)은 매월 15, 16일에서 22, 23일에 이르기까지를 기망으로 삼았음. 후에 15일을 일컬어 망()이라 하고 16일을 기망(旣望)이라 했음 [백도한어]. 담주운개산회화상어록서. 황우 2(1050) 중춘 기망일(旣望日) 상중의 필추 문정이 짓다.

) --> 

欺侮欺負 用蠻橫無理的手段 侵犯壓迫或侮辱 禪林寶訓四 主賓交利 上下欺侮

기모(欺侮) 속이고 배반함. 만횡의 무리한 수단을 써서 침범하고 압박하거나 혹은 모욕함. 선림보훈4. 주빈이 교리(交利; 이익을 교류함)하고 상하가 기모(欺侮)하다.

) --> 

起模畫樣】 ①率先做箇樣子 使後人或學人參學仿效 虛堂語錄九 (結夏)次日 上堂 大覺世尊二千年前 給孤園中 聚一千二百五十比丘 至安居日 起模畫樣 迨今繩繩未已 裝模作樣 虛妄作爲 多指不能使人眞實悟道的言句作略 祖堂集六洞山 莫爲人間小小名利失於大事 假使起模畫樣 覓得片衣口食 總須作奴婢償他定也

기모화양(起模畫樣) 솔선하여 양자(樣子; 모양) 지어 후인이나 혹 학인으로 하여금 참학하고 본받게 함. 허당어록9. (결하) 다음날 상당했다. 대각세존이 2천 년 전에 급고원 가운데서 125십의 비구를 모았으며 안거일에 이르러 기모화양(起模畫樣)하더니 지금에 이르도록 자꾸 이어져 마치지 않는다. 모양을 꾸미고 모양을 지음이니 허망한 작위임. 다분히, 능히 사람으로 하여금 진실로 오도하지 못하게 하는 언구와 작략을 가리킴. 조당집6 동산. 인간의 소소한 명리 때문에 대사를 잃지 말아라. 가사 기모화양(起模畫樣)하여 편의구식(片衣口食; 조각 옷과 飯食)을 찾아 얻더라도 모두 반드시 노비가 되어 그에게 갚아야 함이 정해졌다.

) --> 

奇妙無類之珍也 五燈會元十雲居淸錫 僧問 如何是佛 師曰 容顔甚奇妙

기묘(奇妙) 유사한 게 없는 진기함임. 오등회원10 운거청석. 중이 묻되 무엇이 이 부처입니까. 스님이 가로되 용안이 매우 기묘(奇妙)하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