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20쪽

태화당 2019. 5. 10. 09:28

箕星箕宿 二十八宿之一 箕宿好風 一旦特別明亮就是起風的預兆 [百度百科] 五家宗旨纂要上 箕星好雨 畢星好風

기성(箕星) 기수(箕宿)28수의 하나. 기수는 바람을 좋아함. 하루아침에 특별히 명량(明亮; 밝음)하면 바로 이는 바람을 일으키는 예조(預兆; 전조. 징조)[백도백과]. 오가종지찬요상. 기성(箕星)은 비를 좋아하고 필성(畢星)은 바람을 좋아한다.

) --> 

機性人之機根性質 馬祖廣錄 佛是能仁 有智慧 善機性 能破一切衆生疑網 出離有無等縛

기성(機性) 사람의 기근(機根; 근기)과 성질. 마조광록. 부처는 이 능인이다. 지혜가 있고 기성(機性)이 착하며 능히 일체중생의 의망(疑網; 의심의 그물)을 깨뜨리고 유무 등의 속박에서 출리(出離; 벗어나 여읨)하게 한다.

) --> 

起聖仁淸代臨濟宗僧 字起聖 桂昌銳嗣 開法順天報成 [五燈全書九十六]

기성인(起聖仁) 청대 임제종승. 자가 기성임. 계창예의 법사며 순천 보성에서 개법했음 [오등전서96].

) --> 

器世間三世間之一 又作器世界 器界 器 指一切衆生所居之國土世界 相當於依正二報中之依報 卽指衆生世間或有情世間而言 與國土世間住處世間同義 以國土世界形如器物 能容受衆生 可變可壞 故稱器世間 [大毘婆沙論一三三 俱舍論光記十一 華嚴經探玄記十七 華嚴經隨疏演義鈔一 翻譯名義集七] 宗鏡錄十 云何名爲三種世間 一者衆生世間 二者器世間 三者智正覺世間

기세간(器世間) 3세간의 하나. 또 기세계ㆍ기계로 지음. ()는 일체중생이 거주하는 바의 국토세계를 가리킴. 의ㆍ정 2() 중의 의보에 상당함. 곧 중생세간 혹 유정세간을 가리켜 말함임. 국토세간ㆍ주처세간과 같은 뜻. 국토세계는 형상이 기물(器物)과 같아서 능히 중생을 용수(容受; 수용)하며 가히 변하고 가히 파괴되는지라 고로 일컬어 기세간이라 함 [대비바사론133. 구사론광기11. 화엄경탐현기17. 화엄경수소연의초1. 번역명의집7]. 종경록10. 무엇을 이름해 3종 세간이라 하는가. 1자는 중생세간이며 2자는 기세간(器世間)이며 3자는 지정각세간이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