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起世經】 十卷 隋代闍那崛多譯 收於大正藏第一冊 其內容敘述世界之組織 狀態 起源 成壞等過程 分閻浮洲品 鬱單越洲品 轉輪聖王品 地獄品 諸龍金翅鳥品 阿修羅品 四天王品 三十三天品 鬥戰品 劫住品 世住品 最勝品等十二品 本經共有六種譯本 然現存者僅四種 除本經外 餘三者爲起世因本經(隋代達磨笈多譯) 大樓炭經(西晉法立法炬共譯) 長阿含經卷十八至卷二十二(東晉佛陀耶舍竺佛念共譯) [出三藏記集二 大唐內典錄七] ▲碧巖錄第十四則 起世經中說 須彌南畔吠琉璃樹 映閻浮洲中皆靑色 此洲乃大樹爲名 名閻浮提
기세경(起世經) 10권. 수대(隋代) 사나굴다(闍那崛多)가 번역했으며 대정장 제1책에 수록되었음. 그 내용은 세계의 조직ㆍ상태ㆍ기원ㆍ성괴 등의 과정을 서술했음. 염부주품ㆍ울단월주품ㆍ전륜성왕품ㆍ지옥품ㆍ제룡금시조품ㆍ아수라품ㆍ사천왕품ㆍ삼십삼천품ㆍ투전품ㆍ겁주품ㆍ세주품ㆍ최승품 등 12품으로 분류되었음. 본경은 모두 6종의 번역본이 있었음. 그러나 현존하는 것은 겨우 4종임. 본경을 제한 밖의 나머지 셋은 기세인본경(수대 달마급다 역)ㆍ대루탄경(서진 법립ㆍ법거 공역)ㆍ장아함경 권18에서 권22에 이르기까지(동진 불타야사ㆍ축불념 공역)가 됨 [출삼장기집2. 대당내전록7]. ▲벽암록 제14칙. 기세경(起世經) 중에 설하기를 수미의 남반 페류리수(吠琉璃樹)가 염부주 가운데를 비추는데 모두 청색이다. 이 주는 곧 대수(大樹; 큰 나무)로 이름했으므로 이름이 염부제다.
) -->
【器世界】 卽器世間 ▲宗門拈古彚集三 百億香水海 百億器世界
기세계(器世界) 즉 기세간. ▲종문염고휘집3. 백억 향수해 백억 기세계.
) -->
【棄俗】 謂脫離世俗 出家爲僧 ▲五燈會元十七隆慶慶閑 年十一棄俗 十七得度 二十徧參
기속(棄俗) 이르자면 세속을 탈리(脫離; 이탈)하고 출가하여 승인이 됨. ▲오등회원17 융경경한. 나이 11에 기속(棄俗)하고 17에 득도하고 20에 편참했다.
) -->
【起送】 擧薦 推薦前往 ▲慨古錄 僧綱司起送 律司 披剃給牒
기송(起送) 거천하고 추천하여 앞으로 가게 함. ▲개고록. 승강사에서 기송(起送)하고 율사에서 피체하고 급첩한다.
) -->
【耆宿】 又作耆舊 長老 老宿 卽年老德高道行深湛之老者 ▲聯燈會要十二神鼎鴻諲師行脚時 與數耆宿 游南嶽
기숙(耆宿) 또 기구ㆍ장로ㆍ노숙으로 지음. 즉 연로하고 덕이 높고 도행이 깊고 맑은 노자(老者; 노인). ▲연등회요12 신정홍인. 스님이 행각할 때 몇 기숙(耆宿)과 더불어 남악을 유람했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23쪽 (0) | 2019.05.1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22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20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19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18쪽 (0) | 2019.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