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문무고

종문무고(宗門武庫) 007

태화당 2022. 7. 28. 07:31

7呂大申公執政時 因*休沐日 預*化疏*言法華* 翌日果到*府第坐於堂上 申公將出見之 自念曰 拜則是 不拜則是 言大呼曰 呂*老子 爾好*勞攘快出來 拜也好 不拜也好 申公拜敬之 齋畢問未來*臧否 言索筆大書亳州二字與之 不言所以 後*罷相*知亳州*治疊文字次 忽見二字在前 始悟前*

 

休沐; 休息洗沐 猶休假

化疏; 勸化本上記明勸化旨趣之疏 禪林化主於行走勸化時所持者

言法華; (?-1041) 宋代僧 莫知其所從來 初見之於景德寺七俱胝院 梵相奇古 相傳言 誦法華經 故以爲名 言行叵測 慶曆戊子十一月 右脇而寂 [禪林僧寶傳二十]

; 齋者謂不過中食 正午以前所作之食事也 戒律上 於食分時非時 正午以前爲正時 以後爲非時 時者宜食 非時者不宜食 因而時中之食爲齋食

府第; 貴族官僚的住宅

老子; 老漢 又對禪師的尊稱

勞攘; 煩擾

臧否; 善惡 得失

罷相; 罷免宰相官職

知亳州; 亳州 今安徽亳縣 主管 碧巖錄第四十八則種電鈔云 知字官領也 又司也 太守謂之知也

治疊; 整理 收拾 幻住庵淸規有修葺治疊條

; 驗也 言將來之驗也 慧琳音義四十六 讖 祕密書也

 

7여대신공(呂大申公)이 집정(執政)할 때 휴목일(*休沐)로 인해 화소(*化疏)를 맡겨() 언법화(*言法華)를 청해 재(*)하려고 했는데 다음날 과연 부제(*府第)에 이르러 당상(堂上)에 앉았다. 신공(申公)이 이에(; ) 나가서 그를 상견하려고 하다가 스스로 생각해 가로되 절함이 곧 옳은가, 절하지 않음이 곧 옳은가. ()이 크게 부르며 가로되 여노자(*老子), 네가 노양(*勞攘)을 좋아하니 쾌히 나오너라. 절해도 좋고 절하지 않아도 좋다. 신공이 절하며 그를 공경했다. ()를 마치자 미래의 장부(*臧否; 저본에 藏否로 지었음)를 물었는데 언()이 붓을 찾더니 박주(亳州) 2자를 대서(大書)하여 그에게 주었고 소이(所以)를 말하지 않았다. 후에 파상(*罷相)하고 지박주(*知亳州)하면서 문자를 치첩(*治疊; 정리)하던 차에 홀연히 2자가 앞에 있음을 보았다. 비로소 전참(*)을 깨달았다.

 

休沐; 휴식과 세목(洗沐)이니 휴가(休假; 休暇)와 같음.

化疏; 권화본상(勸化本上)에 권화의 지취를 기명(記明)한 소(). 선림의 화주가 다니면서 권화(勸化)할 때 소지하는 것.

言法華; (?-1041) 송대승. 그의 좇아온 곳을 알지 못함. 처음에 경덕사(景德寺) 칠구지원(七俱胝院)에 나타났으며 범상(梵相)이 기고(奇古)했음. 상전(相傳)해 말하기를 법화경을 외운지라 고로 이름으로 삼았음. 언행을 헤아리기 어려웠음. 경력 무자 11월에 우협(右脇)으로 적()했음 [선림승보전20].

; ()란 것은 이르자면 불과중식(不過中食)이니 정오 이전에 짓는 바의 식사임. 계율상 식사를 시()와 비시(非時)로 구분하며 정오 이전은 정시(正時)가 되고 이후는 비시(非時)가 되며 시()엔 마땅히 먹고 비시(非時)엔 마땅히 먹지 않음. 이로 인해 시중(時中)의 식을 재식(齋食)이라 함.

府第; 귀족이나 관료(官僚)의 주택.

老子; 노한(老漢). 또 선사에 대한 존칭.

勞攘; 번요(煩擾; 번거롭고 요란스러움).

臧否; 선악, 득실.

罷相; 재상의 관직에서 파면(罷免).

知亳州; 박주(亳州)는 지금의 안휘 박현(亳縣). ()는 주관(主管). 벽암록 제48칙 종전초에 이르되 지자(知字)는 관령(官領). 또 사(). 태수를 일러 지()라 함.

治疊; 정리. 수습. 환주암청규에 수즙치첩조(修葺治疊條)가 있음.

; (; 증험). 장래의 험()을 말함. 혜림음의46 () 비밀서(祕密書).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

pyungsimsa.tistory.com

 

'종문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문무고(宗門武庫) 009  (0) 2022.07.29
종문무고(宗門武庫) 008  (0) 2022.07.28
종문무고(宗門武庫) 006  (0) 2022.07.28
종문무고(宗門武庫) 005  (0) 2022.07.27
종문무고(宗門武庫) 004  (0) 2022.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