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문무고

종문무고(宗門武庫) 037

태화당 2022. 8. 8. 07:38

37佛照杲和尙 初住歸宗 專精*行道未甞少懈 深夜*修敬罷 坐於僧堂*地爐中忽見二僧入堂 一人*厖眉雪頂 一人少年 皆*丰姿頎然 杲心喜自謂曰 我座下有如此僧 *須臾二人出堂 杲襲其後見入佛殿中 杲亦隨入 燈影熒煌 爐中尙有火 杲炷香禮佛 二僧復出 亦襲其後至佛殿前 偶失所在 自念 忘却香匣在殿內 回身取時見殿門*扃鑰 遂喚*直殿行者守舜開門 舜取鑰匙開門 見爐中香煙未散 香匣在寶階上 自不諭其故 妙喜親見佛照說 時守舜在旁 猶指以爲證

 

行道; 指排列成行以繞行禮拜 一般指繞佛繞堂而言 與經行同用之 二修行佛道之意 此指一

修敬; 一表示敬意 二恭敬有禮

地爐; 僧堂內所設置之爐 用於取煖 依僧堂之大小 而設置一個或數個

厖眉; 花白眉毛 形容人的老態

丰姿; 風姿

須臾; 慧琳音義二十五 玉篇曰 須臾俄頃也 按俱舍論本行集等 云時中最少名一刹那 一百二十刹那名一怛刹那 六十怛刹那名一羅婆 三十羅婆名一牟呼栗多 三十牟呼栗多名一晝夜 准大集經一日一夜有三十須臾 卽牟呼栗多是也

扃鑰; 門戶鎖鑰 關閉 鎖閉

直殿; 寺院裏管理殿堂者

 

37불조고(佛照杲) 화상이 처음 귀종(歸宗)에 주()하면서 오로지 행도(*行道)에 정근(精勤)하며 일찍이 조금도 게으르지 않았다. 심야에 수경(*修敬)을 마치고 승당(僧堂)의 지로(*地爐) 가운데 앉았는데 2()이 입당(入堂)함을 홀연히 보았다. 1인은 방미(*厖眉)에 설정(雪頂; 백발의 머리 꼭대기)이었고 1인은 소년(少年)이었는데 모두 봉자(*丰姿)가 기연(頎然; 헌걸차다)했다. ()가 마음에 기뻐하며 스스로 일러 가로되 나의 좌하(座下)에 이와 같은 승인(僧人)이 있었는가. 수유(*須臾)2인이 출당(出堂)했다. 고가 그 뒤를 따랐더니(; ) 불전 가운데로 들어감이 보였다. 고도 또한 따라 들어갔다. 등영(燈影)이 형황(熒煌; 불빛이 번쩍임)한데 향로 가운데 아직 불이 있었다. 고가 주향(炷香; 소향)하고 예불했고 2승은 다시 나갔다. 다시 그 뒤를 따랐더니() 불전 앞에 이르렀고 우연히 소재(所在)를 잃었다. 자념(自念)하되 향갑(香匣)이 전내(殿內)에 있음을 망각했다 하고는 회신(回身)하여 취하려고 할 때 전문(殿門)이 경약(*扃鑰; 자물쇠로 잠김)한지라 드디어 직전행자(*直殿行者)인 수순(守舜)을 불러 개문(開門)하라 했다. 수순이 약시(鑰匙; 열쇠)를 취해 개문했는데 향로 속에 향연이 흩어지지 않았고 향갑이 보계(寶階) 위에 있음을 보았다. 스스로 그 연고를 깨닫지 못했다. 묘희(妙喜)가 불조(佛照)의 설함을 친히 보았고 때에 수순(守舜)이 곁에 있으면서 오히려 가리키며 인증(認證)했다.

 

行道; 1. 배열 혹 줄을 이루어 요행(繞行)하면서 예배함을 가리킴. 일반으로 요불요당(繞佛繞堂)을 가리켜 말함. 경행(經行)과 그것을 동용(同用). 2. 불도를 수행함의 뜻. 여기에선 1을 가리킴.

修敬; 1. 경의(敬意)를 표시함. 2. 공경하며 예의가 있음.

地爐; 승당 안에 설치한 바의 화로임. 따뜻함을 취하는데 씀. 승당의 대소에 의해 한 개 혹은 몇 개를 설치함.

厖眉; 화백(花白; 희끗희끗)의 눈썹. 사람의 노태(老態)를 형용.

丰姿; 풍자(風姿).

須臾; 혜림음의25. 옥편에 가로되 수유(須臾)는 아경(俄頃; 少時. 잠시)이다. 구사론과 본행집 등을 살펴보니 이르기를 시간 중에 최소를 이름해 1찰나며 120찰나를 이름해 달찰나(怛刹那)60달찰나를 이름해 1라바(羅婆)30라바를 이름해 1모호률다(牟呼栗多)30모호률다를 이름해 1주야이다. 대집경을 준거(準據)하자면 11야에 30수유가 있다 하니 곧 모호률다가 이것이다.

扃鑰; 문호를 자물쇠로 잠금. 관폐(關閉). 쇄폐(鎖閉; 閉鎖).

直殿; 사원 안에서 전당(殿堂)을 관리하는 자.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

pyungsimsa.tistory.com

 

'종문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문무고(宗門武庫) 039  (0) 2022.08.09
종문무고(宗門武庫) 038  (0) 2022.08.08
종문무고(宗門武庫) 036  (0) 2022.08.08
종문무고(宗門武庫) 035  (0) 2022.08.07
종문무고(宗門武庫) 034  (0) 2022.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