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문무고

종문무고(宗門武庫) 039

태화당 2022. 8. 9. 08:36

39太宗別賜錢重建*三門 賜御書額*度僧 呂公逐日晨興禮佛 祝曰 不信*三寶者願不生我家 願子孫世世*食祿於朝外護佛法 *猶子*夷簡*申國公 每遇元日拜家廟罷 卽焚香發*廣慧璉禪師書一封加敬重之 申公之子*公著 亦封申國公 元日發天衣懷和尙書 *右丞*好問 元日發圓照禪師書 右丞之子*用中 元日發佛照杲禪師書 其*家世忱信痛敬 抑有自來矣 故錄之以警後世

 

三門; 山門之制形如闕 開三門 故亦曰三門 又只有一門 亦呼爲三門 蓋標幟空無相無作三解脫門之稱也 釋氏要覽上 寺院三門 凡寺院有開三門者 只有一門亦呼爲三門者何 佛地論云 大宮殿 三解脫門 爲所入處 大宮殿喩法空涅槃也 三解脫門謂空門 無相門 無作門 今寺院是持戒修道 求至涅槃人居之 故由三門入也

度僧; 度者 出世俗 離生死 卽擧行一定之儀式 令俗人出家爲僧

三寶; 佛敎將佛法僧 稱爲三寶 一切之佛陀 佛寶也 佛陀所說之敎法 法寶也 隨其敎法而修業者 僧寶也 佛者覺知之義 法者法軌之義 僧者和合之義也

食祿; 享受俸祿

猶子; 兄弟之子

夷簡; 呂夷簡(978-1044) 字坦夫 祖籍萊州(今屬山東) 宋代著名政治家 眞宗年間以刑部郞中權知開封府 仁宗立 任宰相 [百度]

申國公; 國公 中國古代公爵第一等 始於北周 歷代封申國公者不少 共有十八人 其中著名者有李穆 高士廉 章惇 呂夷簡等 [百度百科]

廣慧璉; 元璉(?-1036) 宋代臨濟宗僧 泉州(今屬福建)陳氏 嗣法首山省念(臨濟下四世) 出世汝州廣慧院 宋仁宗景祐丙子九月二十六日示寂 享有高壽 [五燈會元十一 指月錄二十三 續傳燈錄一]

公著; 呂公著(10181089) 字晦叔 壽州(今安徽省壽縣)人 北宋中期官員 學者 太尉呂夷簡第三子 [百度]

右丞; 官名 自漢至金有尙書左丞尙書右丞 元及明初有中書右丞中書左丞(元先右 明先左) 又淸末新設和部及民國袁世凱統治時期亦置右丞 [百度百科]

好問; 呂好問(10641131) 字舜徒 司空呂公著之孫 [百度]

用中; 呂用中 好問公四子 字蘊智 又字公正 婺州人 [百度]

家世; 家庭的世系和門系

 

39태종이 따로 사전(賜錢)하여 삼문(*三門)을 중건했고 어서(御書)의 편액(扁額)을 주고 도승(*度僧)했다. 여공(呂公)이 축일(逐日; 날마다) 새벽에 일어나 예불했고 축원(祝願)해 가로되 삼보(*三寶)를 믿지 않는 자는 원컨대 나의 집에 출생하지 말 것이며 원컨대 자손이 세세(世世)에 조정(朝庭)에서 식록(*食祿)하고 불법을 외호(外護)하라. 유자(*猶子)인 이간(*夷簡) 신국공(*申國公)은 매번 원일(元日; 정월 초하루)을 만나 가묘(家廟)에 예배함을 마치면 곧 분향하고 광혜련(*廣慧璉) 선사에게 서신을 1() 발송하여 그에게 경중(敬重; 공경과 존중)을 더했다. 신공(申公)의 아들 공저(*公著)도 또한 신국공(申國公)에 봉()해졌고 원일(元日)에 천의회(天衣懷) 화상에게 서신을 발송했다. 우승(*右丞) 호문(*好問)은 원일에 원조선사(圓照禪師)에게 서신을 발송했고 우승(右丞)의 아들 용중(*用中)은 원일에 불조고(佛照杲) 선사에게 서신을 발송했다. 그의 가세(*家世)가 침심(忱信; 정성으로 믿음)하고 통경(痛敬; 간절히 공경)했음은 또한() 저절로 유래가 있는지라 고로 이를 기록하여 후세(後世)를 경각(警覺)한다.

 

三門; 산문(山門)의 제형(制形)이 궁궐과 같이 3문을 여는지라 고로 또한 가로되 3(). 또 다만 1문만 있어도 또한 칭호(稱號)하여 3문이라 하나니 대개 공()ㆍ무상(無相)ㆍ무작(無作)3해탈문(解脫門)을 표치(標幟)하는 명칭임. 석씨요람상. 사원삼문(寺院三門) 무릇 사원에 3문을 엶이 있는 것인데 다만 1문만 있어도 또한 호칭하여 3문이라 하는 것은 왜인가. 불지론에 이르되 대궁전과 3해탈문은 소입처(所入處)가 된다. 대궁전은 법공열반(法空涅槃)에 비유하고 3해탈문은 이르자면 공문(空門)ㆍ무상문(無相門)ㆍ무작문(無作門)이다. 여금의 사원은 이 지계하고 수도하면서 열반에 이름을 구하는 사람이 거주하는지라 고로 3문으로 말미암아 들어간다.

度僧; ()란 것은 세속을 벗어나서 생사를 여읨임. 곧 일정한 의식을 거행하여 속인으로 하여금 출가하여 승인이 되게 함.

三寶; 불교에서 불법승을 가지고 3()로 호칭함. 일체의 불타는 불보며 불타가 설한 바의 교법은 법보며 그 교법을 따라 수업(修業)하는 것은 승보임. 불이란 것은 각지(覺知)의 뜻이며 법이란 것은 법궤(法軌)의 뜻이며 승이란 것은 화합의 뜻임.

食祿; 봉록(俸祿)을 향수(享受).

猶子; 형제의 아들.

夷簡; 여이간(呂夷簡; 978-1044)이니 자는 탄부(坦夫)며 조적(祖籍)은 내주(萊州; 지금 산동에 속함)며 송대의 저명한 정치가. 진종(眞宗) 연간(年間) 형부낭중(刑部郞中)으로서 권지개봉부(權知開封府)였음. 인종(仁宗)이 즉위()하자 재상에 임명되었음 [백도].

申國公; 국공(國公)은 중국 고대 공작(公爵)의 제1. 북주(北周)에서 시작했고 역대에 신국공(申國公)에 봉해진 자가 적지 않아 공()18인이 있음. 그 중에 저명한 자는 이목(李穆)ㆍ고사렴(高士廉)ㆍ장돈(章惇)ㆍ여이간(呂夷簡) 등이 있음 [백도백과].

廣慧璉; 원련(元璉; ?-1036)이니 송대 임제종승. 천주(지금 복건에 속함) 진씨. 수산성념(首山省念; 임제하 4)의 법을 이었고 여주 광혜원에서 출세했음. 송 인종 경우 병자 926일 시적했으며 고수(高壽)를 향유했음 [오등회원11. 지월록23. 속전등록1].

公著; 여공저(呂公著; 10181089)니 자는 회숙이며 수주(지금의 안휘성 수현) 사람. 북송 중기의 관원이며 학자. 태위(太尉) 여이간(呂夷簡)의 제3[백도].

右丞; 벼슬 이름. ()으로부터 금()에 이르기까지 상서좌승(尙書左丞)과 상서우승이 있었음. () 및 명초(明初)에 중서우승(中書右丞)과 중서좌승(先右先左)이 있었음. 또 청말에 화부(和部)를 신설했고 및 민국(民國) 원세개(袁世凱)가 통치하던 시기에 또한 우승(右丞)을 설치했음 [백도백과].

好問; 여호문(呂好問; 10641131)이니 자는 순도며 사공(司空) 여공저(呂公著)의 손자 [百度].

用中; 여용중(呂用中)이니 호문공(好問公)4. 자는 온지며 또 자가 공정(公正)이니 무주(婺州) 사람 [백도]

家世; 가정의 세계(世系)와 문계(門系).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

pyungsimsa.tistory.com

 

'종문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문무고(宗門武庫) 041  (0) 2022.08.09
종문무고(宗門武庫) 040  (0) 2022.08.09
종문무고(宗門武庫) 038  (0) 2022.08.08
종문무고(宗門武庫) 037  (0) 2022.08.08
종문무고(宗門武庫) 036  (0) 2022.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