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림보훈합주

선림보훈합주 085

태화당 2022. 10. 5. 08:34

85 湛堂謂妙喜曰 像季比丘 外多狥物 內不明心 縱有弘爲 皆非究竟 葢所附卑猥而使然 如搏牛之䖟 飛止數步 若附*驥尾 便有追風逐日之能 乃依托之勝也 是故學者 居必擇處 遊必就士 遂能絕邪僻 近中正聞正言也 昔*福嚴雅和尙 每愛眞如喆標致可尙 但未知所附者何人 一日見與*大寧寬 *蔣山元 翠巖眞*行 雅喜不自勝 從容謂喆曰 諸大士法門*龍象 子得從之遊 異日*吾道之傾頺 彰祖敎之利濟 固不在予之多囑也日涉記

驥尾; 參逐人行 曰附驥尾 謂蒼蠅之飛不可數步 托於驥尾 乃能千里之達也

福嚴雅; 澤州福嚴良雅禪師 嗣洞山守初 靑原下八世也

大寧寬; 洪州大寧道寬禪師 嗣石霜楚禪師 南嶽下十一世也

蔣山元; 蔣山贊元禪師 婺州義烏人 傅大士之裔 嗣石霜禪師

; 同也並也

龍象; 水中力大 龍也 陸中有威 象也 巨德以喻之者 言其有力而托 有威而可習故也

; 撑持也

 

85 담당(湛堂; 文準)이 묘희(妙喜; 宗杲)에게 일러 가로되 상계(像季)의 비구는 밖으론 다분히 순물(狥物)하고 안으론 명심(明心)하지 못하나니 비록 홍대(弘大; )한 작위(作爲; )가 있더라도 모두 구경(究竟)이 아니다. 대개 의부(依附)하는 바가 비외(卑猥; 卑淺하고 鄙猥)하여 그렇게 시키는(使然) 것이다. 예컨대() 소에게 단집(摶集; 뭉쳐 모이다)한 등에()는 날아서 몇 보에 그치지만 만약 기미(*驥尾)에 의부(依附)한다면 곧 추풍(追風)하고 축일(逐日)하는 능력이 있나니 곧 의탁(依托)의 수승(殊勝)함이다. 이런 고로 학자는 거주하면 반드시 처소를 가리고 유행(遊行)하면 반드시 상사(上士; )에게 나아가야 드디어 능히 사벽(邪僻)을 단절(斷絶)하고 중정(中正)에 가까이 하고 정언(正言)을 듣는다. 지난날() 복엄아(*福嚴雅) 화상이 매양 진여철(眞如喆; 慕喆이니 翠巖可眞法嗣)의 표치(標致; 風貌. 風采)가 가상(可尙)함을 좋아했는데() 단지 소부자(所附者)가 어떤 사람인 줄 알지 못했다. 어느 날 대녕관(*大寧寬)ㆍ장산원(*蔣山元)ㆍ취암진(翠巖眞)과 더불어 함께(*) 행함을 보았다. ()가 기쁨을 스스로 이기지 못하고 종용(從容)히 모철(慕喆)에게 일러 가로되 여러 대사(大士)는 법문의 용상(*龍象)이다. 자네가 그들을 좇아 유행(遊行)함을 얻었으니 다른 날(異日) 오도(吾道)의 경퇴(傾頺)를 지탱(支撑; *)하고 조교(祖敎)의 이제(利濟)를 나타내리라(). 이에() 나의 다촉(多囑)에 있지 않다. 日涉記.

驥尾; 타인을 참축(參逐)하여 행함을 가로되 부기미(附驥尾; 驥尾에 붙다). 이르자면 창승(蒼蠅; 쉬파리)이 날면 가히 몇 보가 아니지만 기미(驥尾)에 의탁(依托)하면 이에 능히 천 리에 도달한다.

福嚴雅; 택주(澤州; 지금의 山西 晉城) 복엄(福嚴; 복엄사) 양아선사(良雅禪師)니 동산수초(洞山守初; 雲門文偃法嗣)를 이었으며 청원하 8세다.

大寧寬; 홍주(洪州) 대녕(大寧; 大寧院) 도관선사(道寬禪師)니 석상초(石霜楚; 楚圓) 선사를 이었으며 남악하 11세다.

蔣山元; 장산(蔣山; 金陵 장산) 찬원선사(贊元禪師?-1086)무주(婺州; 지금의 절강성 金華) 의오(義烏) 사람이며 부대사(傅大士)의 후예(後裔)며 석상(石霜; 楚圓) 선사를 이었다.

; ()이다. ()이다.

龍象; 수중(水中)에서 힘이 큰 것은 용()이며 육중(陸中)에서 위력이 있는 것은 상()이다. 거덕(巨德)으로써 이에 비유하는 것은 그것이 유력(有力)하여 의탁(依托)하고 유위(有威)하여 가히 학습(學習)함을 말하는 연고다.

; 탱지(撑持).

 


究竟; 一事理道法至極高深之處 終極永恒的眞理 二畢竟 此指一

1. 사리의 도법이 지극하고 고심(高深)한 곳. 종극의 영항(永恒)의 진리. 2. 필경. 여기에선 1을 가리킴.

 

利濟; 一造福 濟度(衆生) 接引(學人) 二利益 益處 此指二

1. 복을 지음. (중생)을 제도함. (학인)을 접인함. 2. 이익. 익처(益處). 여기에선 2를 가리킴.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

pyungsimsa.tistory.com

 

'선림보훈합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보훈합주 087  (0) 2022.10.05
선림보훈합주 086  (0) 2022.10.05
선림보훈합주 084  (0) 2022.10.04
선림보훈합주 083  (0) 2022.10.04
선림보훈합주 082  (0) 2022.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