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림보훈합주

선림보훈합주 083

태화당 2022. 10. 4. 08:23

83 湛堂曰 祖庭*秋晚 林下人不爲囂浮者 固自難得 昔眞如住智海 嘗言在湘西道吾時 衆雖不多 猶有老衲數輩 履踐此道 自大潙來此 不下九百僧 無七五人會我說話 予以是知 得人不在衆多也實錄

秋晚; 末運之際 法道凋零

 

83 담당(湛堂; 文準)이 가로되 조정(祖庭)이 추만(*秋晚)이라 임하인(林下)이 효부(囂浮)하지 않는 자를 이에() 스스로 얻기 어렵다. 지난날() 진여(眞如; 賜號)가 지해(智海; 지해사)에 주()하면서 일찍이 말하되 상서(湘西) 도오(道吾; 도오사)에 있을 때 대중이 비록 많지 않았지만 오히려 노납(老衲) 수배(數輩)가 있어 이 도()를 이천(履踐)했다. 대위(大潙; 대위산)로부터 여기에 이르매 9백 승() 아래가 아니지만 칠오인(七五人)이라도 나의 설화를 이회(理會)함이 없었다. 내가 이로써 아나니 득인(得人)은 중다(衆多)에 있지 않다.實錄

秋晚; 말운(末運)의 즈음이니 법도(法道)가 조령(凋零)한다.

 


祖庭; 祖師門庭 禪宗 禪門

조사의 문정(門庭). 선종. 선문

 

林下; 田野 山野 山林 常指遠離塵囂的僧人修行之地 又隱退閑居之地

전야(田野; 논밭과 들). 산야. 산림. 늘 진효(塵囂; 속세의 소란함과 번거로움)를 멀리 여읜 승인의 수행의 땅을 가리킴. 또 은퇴하여 한가하게 거주하는 땅.

 

囂浮; 喧擾浮薄

훤요(喧擾; 떠들썩함)하고 부박(浮薄; 들뜨고 경박).

 

眞如; 慕喆(?-1095) 宋代臨濟宗僧 嗣翠巖可眞 見69喆侍者

모철(慕喆; ?-1095)이니 송대 임제종승. 취암가진을 이었음. 69철시자(喆侍者)를 보라.

 

湘西; 禪林寶訓音義 湘西 卽湖廣長沙府 相陰湘潭縣也

선림보훈음의 상서(湘西) 곧 호광 장사부 상음 상담현이다.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

pyungsimsa.tistory.com

 

'선림보훈합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보훈합주 085  (0) 2022.10.05
선림보훈합주 084  (0) 2022.10.04
선림보훈합주 082  (0) 2022.10.04
선림보훈합주 081  (0) 2022.10.03
선림보훈합주 080  (0) 2022.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