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台平田普岸禪師 洪州人也 於百丈門下得旨 後聞天台勝槪聖賢間出 思欲高蹈方外遠追遐躅 乃結茅薙草宴寂林下 日居月諸爲四衆所知 創建精藍號平田禪院焉 有時謂衆曰 神光不昧 萬古徽猷 入此門來 莫存知解 有僧到參 師打一拄杖 其僧近前把住拄杖 師曰 老僧適來造次 僧却打師一拄杖 師曰 作家作家 僧禮拜 師把住曰 是闍梨造次 僧大笑 師曰 遮箇師僧今日大敗也 有偈示衆曰 大道虛曠 常一眞心 善惡勿思 神淸物表 隨緣飮啄 更復何爲 終于本院 今山門有遺塔存焉 宋朝重加修飾 賜額曰壽昌 岸禪師卽壽昌開山和尙也
●方外; 世界之外 世俗之外 ▲祖庭事苑四 方外 莊子大宗師 孔子曰 彼遊方之外者也 而丘遊方之內者也 方 謂區域也
●遐躅; 遙遠的足跡 指古人的模範行爲
●日居月諸; 指光陰的流逝 居 語助詞 同乎 諸 語助詞
●徽猷; 美善之道 指玄妙的禪道 徽 美也 善也 猷 道也
●虛曠; 廣大寬闊
●常一; 始終如一
●開山; 本指開山建寺而言 因古代寺院多建於山谷幽靜處 故稱開山 且取其開闢寺基之意 又稱開基 而寺院第一代住持亦以開山尊稱之 又宗派之創始者亦稱爲開山 開祖 開山祖 開山祖師 [佛祖統紀十四 象器箋靈像類]
천태(天台) 평전보안(平田普岸) 선사. 홍주(洪州) 사람이며 백장문하(百丈門下)에서 득지(得旨)했다. 후에 천태는 뛰어난 경계(景槩)며 현성이 가끔 출현한다 함을 듣고 사유하여 방외(方外)로 고도(高蹈)하려 했고 멀리서 하촉(遐躅)을 쫓아(追) 이에 띳집을 엮고 잡초를 깎고 임하(林下)에 연적(宴寂; 安息)했다. 일거월저(日居月諸)하여 4중(衆)이 아는 바가 되었고 정람(精藍; 佛寺)을 창건하고 호를 평전선원(平田禪院)이라 했다. 어떤 때 대중에게 일러 가로되 신광이 어둡지 않아/ 만고에 휘유(徽猷)니/ 이 문에 들어 왔거든/ 지해(知解)를 두지 말아라. 어떤 중이 이르러 참(參)했다. 스님이 1주장(拄杖)을 때렸다. 그 중이 근전(近前; 앞으로 접근)하더니 주장자를 파주(把住; 움켜쥐어 머물게 함)했다. 사왈(師曰) 노승이 적래(適來)에 조차(造次; 경솔)했다. 중이 도리어 스님을 1주장(拄杖) 때렸다. 사왈(師曰) 작가(作家)로다, 작가로다. 중이 예배했다. 스님이 파주(把住)하고 가로되 이는 사리(闍梨)의 조차(造次)다. 중이 크게 웃었다. 사왈 저개(遮箇; 이. 箇는 조사)의 사승(師僧)이 금일 대패(大敗)했다. 게가 있어 시중(示衆)해 가로되 대도(大道)는 허광(虛曠)하고/ 상일(常一)의 진심(眞心)이다/ 선악을 생각하지 말지니/ 정신이 맑아 사물의 밖이다(表)/ 인연 따라 음탁(飮啄)할지니/ 갱부(更復; 다시) 무엇을 하겠는가. 본원(本院)에서 마쳤고 지금(至今) 산문에 유탑(遺塔)이 있어 존채한다. 송조(宋朝)에 거듭 수식(修飾)을 가하고 사액(賜額)하여 가로되 수창(壽昌)이라 했다. 보안선사(普岸禪師)는 곧 수창(壽昌)의 개산화상(開山和尙)이다.
●方外;세계의 밖. 세속의 밖. ▲조정사원4. 방외(方外) 장자 대종사(大宗師) 공자가 가로되 그는 방(方)의 밖에서 노니는 자며 구(丘; 공자의 이름)는 방의 안에 노니는 자다. 방(方)은 이르자면 구역임.
●遐躅; 요원(遙遠)한 족적. 고인의 모범행위를 가리킴.
●日居月諸; 광음이 흘러감을 가리킴. 거(居)는 어조사니 호(乎)와 같음. 저(諸; 원음이 저)는 어조사.
●徽猷; 미선(美善)의 도니 현묘한 선도(禪道)를 가리킴. 휘(徽)는 미(美)며 선(善)이며 유(猷)는 도임.
●虛曠; 광대하고 관활(寬闊)함.
●常一; 시종여일(始終如一)함.
●開山; 본래 개산하여 사원을 건축함에 대해서 말함임. 고대의 사원이 다분히 산곡의 그윽하고 고요한 곳에 건립했기 때문에 고로 일컬어 개산이라 함. 또 그 사원의 기초를 개벽함의 뜻을 취해 또 일컬어 개기(開基)라 하며 사원의 제1대 주지를 또한 개산으로써 그를 존칭함. 또 종파의 창시자를 또한 일컬어 개산ㆍ개조ㆍ개산조ㆍ개산조사라 함 [불조통기14. 상기전영상류].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40만 원. 할인. 잔본 81질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pyungsimsa.tistory.com
'전등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등록 권9 성공선사(性空禪師) (0) | 2023.03.25 |
---|---|
전등록 권9 오봉상관(五峯常觀) (0) | 2023.03.25 |
전등록 권9 환중선사(寰中禪師) 02 (0) | 2023.03.24 |
전등록 권9 환중선사(寰中禪師) 01 (0) | 2023.03.24 |
전등록 권9 황벽희운(黃檗希運) 04 (0) | 2023.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