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진경(眞景)

태화당 2019. 8. 5. 16:08

진경(眞景)

) --> 

화사화마화우공(畵師畵馬畵牛公)

급화지옥화천당(及畵地獄畵天堂)

주필종두자세간(駐筆從頭仔細看)

골모탁수특지공(骨毛卓豎特地恐)

약인능관법계성(若人能觀法界性)

능화소화구시망(能畵所畵俱是妄)

번신직투위음외(飜身直透威音外)

낙락진풍몰처장(落落眞風沒處藏)

) --> 

화사(畵師)가 말을 그리고 우공(牛公)을 그리고

및 지옥을 그리고 천당을 그리다가

필을 멈추고 머리로부터 자세히 보매

골모(骨毛)가 쭈삣 서며 특지(特地)에 두려워하누나.

어떤 사람이 능히 법계의 성품을 본다면

능화(能畵)와 소화(所畵)가 다 이 허망이로다

몸을 날리어 바로 위음(威音) 밖을 투과(透過)하니

낙락(落落)한 진풍(眞風)을 숨길 곳 없더라.

) --> 

   제목 경()은 경치 경.

   1~4행 백장정(百丈政. 惟政이니 마조의 法嗣)이 이르되 화사(畵師)가 지옥을 그리되/ 백천 가지를 그려내고는/ 필을 멈추고 머리로부터 보매/ 특지(特地)에 골모(骨毛)가 서늘하더라 (畵師畵地獄 畵出百千般 駐筆從頭看 特地骨毛寒) [禪林類聚卷十二]. 화사(畵師)는 화가(畵家). ()는 세울 수. ()와 같음. 특지(特地)의 지()는 조자(助字).

   5행 어떤 사람이/ 삼세(三世)의 일체의 불()을 요지(了知)코자 할진댄/ 응당 법계의 성품을 관()하라/ 일체가 오직 마음의 조작(造作)이니라 (若人欲了知 三世一切佛 應觀法界性 一切唯心造) [華嚴經合論卷三十七 夜摩天宮偈讚品].

   6행 능화(能畵)는 화사(畵師). 소화(所畵)는 그림을 가리킴.

   7~8행 허공을 철전(掇轉. 은 주울 철)하니 등도 얼굴도 없고/ 일진(一塵)도 세우지 않으니 당당(堂堂)히 드러나도다/ 몸을 날려 바로 위음(威音) 밖을 투과하니/ 낙락(落落)한 진풍(眞風)을 숨길 곳이 없더라 (掇轉虛空無背面 一塵不立露堂堂 飜身直透威音外 落落眞風沒處藏) [懶翁錄 懶翁偈]. ()은 뒤칠 번. 날 번. 위음(威音)의 위()는 색()의 뜻. ()은 소리의 뜻. 과거장엄겁(過去莊嚴劫) 최초의 불()을 위음왕불(威音王佛)이라 함. 위음왕(威音王) 이전은 실제이지(實際理地)를 밝힌 것. 위음왕(威音王) 이후는 불사문중(佛事門中)이란 뜻. ()은 기걸(奇傑)할 락. 낙락(落落)은 뜻하는 바가 크고 뛰어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