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본(大本)
) -->
종화서소재도리(種禾黍少栽桃李)
지위곡천화과귀(只爲穀淺花果貴)
오곡선봉화과전(五穀先鋒花果殿)
미문반시화과주(未聞飯是花果做)
) -->
벼와 기장을 심음은 줄어들고 복숭아와 오얏을 재배함은
단지 곡식은 흔하고 화과(花果)가 귀하기 때문이로다
오곡(五穀)은 선봉(先鋒)이며 화과(花果)는 전후(殿後)니
밥을 이 화과(花果)로 짓는다 함을 듣지 못했노라.
) -->
제목 해석 크고 중요한 근본.
1~4행 종(種)은 심을 종. 화(禾)는 벼 화. 서(黍)는 기장 서. 천(淺)은 흔할 천. 화과(花果)는 꽃과 과실(果實). 오곡(五穀)은 1 쌀 보리 수수 조 콩. 또는 삼 보리 수수 메기장 콩. 2 중요한 곡식의 총칭. 전(殿)은 후군(後軍) 전. 전후(殿後)는 1퇴각하는 군대의 맨 뒤에 남아서 적군을 가로막는 군대. 2 뒤떨어진 맨 뒤. 3 최열등(最劣等). 주(做)는 지을 주.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장졸양병(藏拙養病) (0) | 2019.08.06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부사의(不思議) (0) | 2019.08.06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원하(圓荷) (0) | 2019.08.06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망로(莽鹵) (0) | 2019.08.06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타(打) (0) | 2019.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