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장졸양병(藏拙養病)

태화당 2019. 8. 6. 10:56

장졸양병(藏拙養病)

) --> 

안독선록첨정채(眼讀禪錄添精彩)

수집서두조신쇠(手執鋤頭調身衰)

장졸양병과잔춘(藏拙養病過殘春)

거자임거래임래(去者任去來任來)

) --> 

눈으로 선록(禪錄)을 보며 정채(精彩)를 더하고

손으로 호미를 잡아 몸의 쇠약함을 조절하도다

장졸양병(藏拙養病)하며 남은 봄을 지내나니

가는 자는 가는 대로 맡기고 오는 이는 오는 대로 맡기노라.

) --> 

제목 해석 졸렬(拙劣)을 숨기고 병()을 조양(調養).

1~4행 정채(精彩)는 정신의 기상(氣像)이니 정기(精氣). 서두(鋤頭)의 서()는 호미 서. ()는 조자(助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