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나옹화상(懶翁和尙)

태화당 2019. 8. 10. 12:00

나옹화상(懶翁和尙)

) --> 

연보관시인우망(年甫冠時隣友亡)

문제부로사하왕(問諸父老死何往)

평생불습세속문(平生不習世俗文)

발원문수금고황(發願文秀今古晃)

사평산림전무학(嗣平山林傳無學)

어록일편지주굉(語錄一篇至袾宏)

위매일수권왕게(爲妹一首勸往偈)

육문상방자금광(六門常放紫金光)

) --> 

나이가 비로소 관()을 쓸 때 이웃 벗이 죽으매

여러 부로(父老)에게 죽어 어디로 가는지를 물었다

평생에 세속 글을 익히지 않았으며

발원문(發願文)이 빼어나 금고(今古)에 빛나도다.

평산림(平山林)을 잇고 무학(無學)에게 전했으며

어록 일편(一篇)이 주굉(袾宏)에게 이르렀다

누이를 위한 한 수의 권왕게(勸往偈)

육문(六門)에서 늘 자금광(紫金光)을 놓더라.

) --> 

1~4행 나이가 비로소 관세(冠歲)에 이웃 벗이 죽으매 여러 부로(父老)에게 물어 가로되 죽으면 어디로 갑니까. 다 가로되 알지 못할 바라 하였다 [東國僧尼錄]. 평생에 일찍이 세속문자(世俗文字)를 익히지 않았다. 제영(題詠)을 청함이 있으면 필을 잡고 바로 썼는데 마치 경의(經意)가 아닌 듯했으나 이취(理趣)가 심원(深遠)했다 [東國僧尼錄]. 원컨대 내가 세세생생(世世生生)하는 곳에/ 늘 반야에서 퇴전(退轉)치 아니하되/ 저 본사(本師)의 용맹지(勇猛智)와 같이/ 저 사나(舍那)의 대각과(大覺果)와 같이/ 저 문수(文殊)의 대지혜(大智慧)와 같이/ 저 보현(普賢)의 광대행(廣大行)과 같이/ 저 지장(地藏)의 무변신(無邊身)과 같이/ 저 관음(觀音)의 삼이응(三二應)과 같이/ 시방세계에 나타나지 않음이 없어/ 널리 중생으로 하여금 무위(無爲)에 들게 하리이다/ 내 이름을 듣는 자는 삼도(三途)를 면하고/ 내 모양을 보는 자는 해탈을 얻으리니/ 이와 같이 항사겁(恒沙劫)을 교화하여/ 필경엔 부처와 중생도 없으리이다/ 원컨대 모든 천룡팔부신(天龍八部神)/ 나를 옹호해 몸을 여의지 말고/ 모든 액난처(厄難處)에 모든 액난 없어져서/ 이와 같은 대원(大願)을 능히 성취하여지이다/ 발원해 마쳤으므로 삼보(三寶)에 귀명례(歸命禮)하나이다 (願我世世生生處 常於般若不退轉 如彼本師勇猛智 如彼舍那大覺果 如彼文殊大智慧 如彼普賢廣大行 如彼地藏無邊身 如彼觀音三二應 十方世界無不現 普令衆生入無爲 聞我名者免三途 見我形者得解脫 如是敎化恒沙劫 畢竟無佛及衆生 願諸天龍八部神 爲我擁護不離身 於諸難處無諸難 如是大願能成就 發願已歸命禮三寶 [懶翁錄 發願]. ()는 비로소 보. ()은 갓 관. 성인이 될 관. 관을 쓸 나이인 20살을 관세(冠歲) 또는 관년(冠年)이라 함. ()은 빛날 황.

5~6행 고려보제선사답이상국서(高麗普濟禪師答李相國書) 이미 일찍이 무자화(無字話)에서 제시(提撕. 提示 參究의 뜻. 는 들 서나 시로 발음함)했다면 개참(改參)이 필요치 않습니다. 일찍이 무자(無字)를 참()했다면 반드시 무자(無字)에 작은 인지(因地)가 있으리니 간절히 이동(移動)을 말아야 하며 간절히 개참(改參)하지 말아야 합니다. 단지 이륙시중(二六時中)의 사위의내(四威儀內)에 화두를 거기(擧起)하되 어느 때에 깨치는가 깨치지 않는가를 기다리지 말며 또한 자미(滋味)가 있거나 자미가 없거나에 상관(相管. ) 말며 또한 득력(得力)하느냐 득력하지 못하느냐에도 상관 마십시오. 심사(心思)가 미치지 못하고 의려(意慮)가 행하지 않음에 찰도(拶到. 은 마주칠 찰)하면 곧 이 제불제조(諸佛諸祖)가 신명(身命)을 놓는 곳입니다.

주굉(袾宏)이 가로되 이 어록은 만력정유(萬曆丁酉. 1597)에 복건(福建)의 허원진(許元眞) 도곤(都閫; 統兵하며 在外하는 將帥)이 동정(東征)하여 조선(朝鮮)에서 그것을 얻은 것인데 중국에는 있지 않다. 원진(元眞)이 원본(原本)을 가지고 민()에 돌아왔는데 겨우 그 일편(一篇)을 기록한다 [皇明名僧輯略]. 나옹(懶翁)은 평산처림(平山處林. 及菴信法嗣. 楊岐下十世)의 법사(法嗣). 무학자초(無學自超)는 나옹의 법사(法嗣). 함허기화(涵虛己和)는 무학의 법사(法嗣). ()은 책 편.

7~8행 아미타불이 어느 방면에 계시는가/ 심두(心頭)에 붙여서 간절히 잊지 말지라/ 생각이 생각이 다해 생각이 없는 곳에 이르면/ 육문(六門)에서 늘 자금광(紫金光)을 놓으리라 (阿彌陀佛在何方 著得心頭切莫忘 念到念窮無念處 六門常放紫金光) [懶翁錄 答妹氏書]. ()는 손 아래 누이 매. 권왕게(勸往偈)란 왕생극락을 권하는 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