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휴선수선사(浮休善修禪師)
) -->
여대감하유양종(如大鑑下有兩宗)
영관하유정여수(靈觀下有靜與修)
언과우행과회(言寡尤行寡悔)
사지언행무특수(師之言行無特殊)
대객평생무일어(待客平生無一語)
위군금일좌선상(爲君今日坐禪牀)
대도폐인의시(大道廢仁義始)
갱론약하공리장(更論若何空裏樁)
) -->
대감하(大鑑下)에 양종(兩宗)이 있음과 같이
영관하(靈觀下)에 휴정(休靜)과 선수(善修)가 있도다
말은 허물이 적어야 하고 행은 후회가 적어야 하나니
스님의 언행은 특수함이 없었도다.
손님을 접대하되 평생 한마디도 없었나니
그대를 위해 오늘은 선상(禪牀)에 앉았노라
대도(大道)가 폐(廢)하면 인의(仁義)가 시작하나니
다시 무엇을 논한다면 허공 속의 말뚝이로다.
) -->
1~4행 대감(大鑑)은 육조혜능(六祖慧能)의 시호(諡號). 양종(兩宗)이란 남악회양(南嶽懷讓)과 청원행사(靑原行思). 부용영관(芙蓉靈觀)은 벽송지엄(碧松智嚴)의 법사(法嗣)니 임제하이십사세(臨濟下二十四世) 양기하십칠세(楊岐下十七世). 부용영관(芙蓉靈觀)의 법사(法嗣)가 청허휴정(淸虛休靜)과 부휴선수(浮休善修)임. 과(寡)는 적을 과. 우(尤)는 허물 우.
조선중엽(朝鮮中葉)의 휴정하(休靜下) 명승(名僧)으로는 휴정하일세(休靜下一世) 편양언기(鞭羊彦機) 소요태능(逍遙太能) 송운유정(松雲惟政) 정관일선(靜觀一禪) 중관해안(中觀海眼) 제월경헌(齊月敬軒) 기허영규(騎虛靈圭) 진묵일옥(震默一玉) 청매인오(靑梅印悟) 보응해일(普應海日) 영월청학(泳月淸學). 휴정하이세(休靜下二世) 풍담의심(楓潭義諶) 침굉현변(枕肱懸辯) 임성충언(任性沖彦) 호연태호(浩然太浩). 휴정하삼세(休靜下三世) 월담설제(月潭雪霽) 월저도안(月渚道安) 풍계명찰(楓溪明察) 원응지근(圓應志勤). 휴정하사세(休靜下四世) 환성지안(喚惺志安) 설암추붕(雪巖秋鵬) 추계유문(秋溪有文). 휴정하오세(休靜下五世) 호암체정(虎巖體淨) 금계원우(錦溪元宇) 함월해원(涵月海源) 허정법종(虛靜法宗) 상월새봉(霜月璽篈) 설담자우(雪潭自優) 무경자수(無竟子秀). 휴정하육세(休靜下六世) 연담유일(蓮潭有一) 용담조관(龍潭慥冠). 휴정하칠세(休靜下七世) 야운시성(野雲時聖). 조선중엽(朝鮮中葉)의 선수하(善修下) 명승(名僧)으로는 선수하일세(善修下一世) 벽암각성(碧巖覺性). 선수하이세(善修下二世) 취미수초(翠微守初) 백곡처능(白谷處能). 선수하삼세(善修下三世) 백암성총(栢菴性聰). 선수하사세(善修下四世) 무용수연(無用秀演) 석실명안(石室明眼). 선수하오세(善修下五世) 영해약탄(影海若坦). 선수하육세(善修下六世) 풍암세찰(楓巖世察). 선수하칠세(善修下七世) 묵암최눌(默菴最吶) [抄出于西域中華海東佛祖源流].
5~6행은 부휴집(浮休集)에 나오는 구절. 뷰휴어(浮休語).
8행 장(樁)은 말뚝 장.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귀처(歸處) (0) | 2019.08.10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송운유정대사(松雲惟政大師) (0) | 2019.08.10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휴정서산대사(休靜西山大師) (0) | 2019.08.10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나옹화상(懶翁和尙) (0) | 2019.08.10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연회도명(緣會逃名) (0) | 2019.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