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求那跋陀羅】 <梵> Guṇabhadra (394-468) 此云功德賢 中天竺人 幼學五明諸論 天文書算 精硏三藏 通大乘學 有摩訶衍號 劉宋元嘉十二年(435)至廣州 宋太祖遣使迎至京師 譯出雜阿含經 法鼓經 勝鬉經 楞伽經 無量壽經等 共百餘卷 [梁高僧傳三 釋氏六帖九 開元釋敎錄五] ▲六祖壇經 其戒壇乃宋朝求那跋陀羅三藏創建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범> Guṇabhadra. (394-468) 여기에선 이르되 공덕현이며 중천축 사람. 어릴 적에 5명(明)의 여러 논과 천문과 서산(書算)을 배웠고 3장(藏)을 정밀하게 연구했음. 대승학에 통달해 마하연이란 호가 있음. 유송 원가 12년(435) 광주에 이르자 송 태조가 사신을 보내어 영접해 경사에 이르게 했음. 잡아함경ㆍ법고경ㆍ승만경ㆍ릉가경ㆍ무량수경 등 모두 백여 권을 번역해 내었음 [양고승전3. 석씨육첩9. 개원석교록5]. ▲육조단경. 그 계단은 곧 송조 구나발타라삼장(求那跋陀羅三藏)이 창건했다.
【拘那含牟尼佛】 <梵> Kanakamuni 乃過去七佛中之第五佛 賢劫千佛之第二佛 又作狗那含佛 俱那含佛 迦那迦牟尼佛 此云金色仙 金山 金寂 [翻譯名義集一 希麟音義六 大智度論九] ▲五燈會元一拘那含牟尼佛(賢劫第二尊) 偈曰 佛不見身知是佛 若實有知別無佛 智者能知罪性空 坦然不怖於生死 長阿含經云 人壽三萬歲時 此佛出世 種婆羅門 姓迦葉 父大德 母善勝 居淸淨城 坐烏暫婆羅門樹下 說法一會 度人三萬 神足二 一舒槃那 二鬱多樓 侍者安和 子導師
구나함모니불(拘那含牟尼佛) <범> Kanakamuni. 곧 과거 7불 중의 제5불이며 현겁천불의 제2불임. 또 구나함불(狗那含佛)ㆍ구나함불(俱那含佛)ㆍ가나가모니불로 지음. 여기에선 이르되 금색선ㆍ금산ㆍ금적 [번역명의집1. 희린음의6. 대지도론9]. ▲오등회원1 구나함모니불(拘那含牟尼佛; 현겁 제2존). 게에 가로되 부처는 몸을 보지 않으므로 이 부처인 줄 아나니/ 만약 실로 앎이 있다면 별로 부처가 없다/ 지자는 능히 죄성이 공한 줄 알므로/ 탄연히 생사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장아함경에 이르되 사람의 수명이 3만 세였을 때 이 불타가 출세했다. 종은 바라문이며 성은 가섭이다. 아버지는 대덕이고 어머니는 선승이다. 청정성에 거주하였으며 오잠바라문수 아래 앉아 설법을 1회(會)하여 3만 사람을 제도했다. 신족이 둘이니 1은 서반나며 2는 울다루다. 시자는 안화며 아들은 도사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11쪽 (0) | 2019.05.07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10쪽 (0) | 2019.05.0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08쪽 (0) | 2019.05.0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07쪽 (0) | 2019.05.0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06쪽 (0) | 2019.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