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克紹】 能紹 克 能也 ▲列祖提綱錄十六元叟端 克紹丕圖 纘登大寶
극소(克紹) 능히 이음이니 극(克)은 능임. ▲열조제강록16 원수단. 비도(丕圖; 웅대한 계획)를 극소(克紹)하고 이어서 대보에 오르다.
) -->
【克修挺】 淸代臨濟宗僧 字克修 南雲本暐法嗣 開法會稽雍熈寺 [五燈全書九十四]
극수정(克修挺) 청대 임제종승. 자가 극수며 남운본위의 법사며 회계 옹희사에서 개법했음 [오등전서94].
) -->
【棘寺】 古代最高刑獄機關大理寺別稱棘寺 ▲五燈會元十四芙蓉道楷 師確守不回 以拒命坐罪 奉旨下棘寺
극시(棘寺) 고대 최고의 형옥(刑獄; 형벌과 牢獄)기관인 대리시(大理寺)의 별칭이 극시(棘寺; 寺는 관청 시). ▲오등회원14 부용도해. 스님이 확고하게 지키며 돌이키지 않았다. 칙명을 거부하여 좌죄(坐罪; 獲罪)한지라 성지를 받들어 극시(棘寺)에 하옥되었다.
) -->
【克新】 明代臨濟宗僧 字仲銘 自號江左外史 又稱雪廬和尙 鄱陽(江西波陽)余氏 依龍翔笑隱大訢受業 元末住嘉興水西寺 洪武(1368-1398)初 詔至南京 敕往西域招諭吐蕃 有雪廬南詢稿 元釋集 [續燈正統十五 宗統編年二十八]
극신(克新) 명대 임제종승. 자는 중명이며 스스로 호하기를 강좌외사라 했음. 또 명칭이 설려화상이니 파양(강서 파양) 여씨. 용상의 소은대흔(笑隱大訢)에게 의지해 수업했음. 원말에 가흥 수서사에 주(住)했고 홍무(1368-1398) 초, 조칙으로 남경에 이르렀고 칙명으로 서역으로 가서 토번(吐蕃; 티베트)을 초유(招諭; 불러서 타이름)했음. 설려남순고ㆍ원석집이 있음 [속등정통15. 종통편년28].
) -->
【極惡】 犯四重罪及五逆罪者 ▲宗鏡錄七十四 若極善極惡中有 不論近遠 但一刹那便往受生
극악(極惡) 4중죄 및 5역죄를 범한 자. ▲종경록74. 만약 극선이나 극악(極惡)의 중유(中有)는 근원을 논하지 않고 단지 1찰나에 바로 가서 수생(受生)한다.
) -->
【克庵】 元代楊岐派僧 依傑峰世愚得法 住衢州福慧寺 [增集續傳燈錄六]
극암(克庵) 원대 양기파승. 걸봉세우에게 의지해 득법하고 구주 복혜사에 주(住)했음 [증집속전등록6].
) -->
【極位】 極證悟之位 謂佛果也 ▲宗鏡錄二 故華嚴演義 難云 此旨微密 極位方知 何以凡情 輒窺大敎
극위(極位) 지극한 증오의 지위니 이르자면 불과임. ▲종경록2. 고로 화엄연의에 힐난해 이르되 이 지취는 미밀(微密; 미묘하고 비밀스러움)하여 극위(極位)라야 비로소 알거늘 어찌 범정(凡情)으로써 쉽게 대교를 엿보겠는가.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99쪽 (0) | 2019.05.09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98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96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95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94쪽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