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棘闈】 同棘圍 指科擧時代的考場 ▲續燈正統七三山燈來 自幼業儒 少列黌序 長食饌堂 數次棘闈
극위(棘闈) 극위(棘圍)와 같음. 과거(科擧) 시대의 고장(考場; 고시장)을 가리킴. ▲속등정통7 삼산등래. 어릴 적부터 유학을 수업했다. 소년에 횡서(黌序; 학교)에 줄섰고 장성해선 찬당(饌堂)에서 식사했으며 수차 극위(棘闈)했다.
【棘圍】 禪林疏語考證二 棘圍 通典云 選擧類禮部閱試之日 皆嚴設兵衛栫棘圍之以防假濫 註 栫 圍也 假濫 假託泛濫 閱試之日用兵嚴衛以棘刺圍之 以防假才及濫入者 ▲禪林疏語考證二 赴試春官 志取棘圍之捷
극위(棘圍) 선림소어고증2. 극위(棘圍) 통전에 이르되 선거류(選擧類)의, 예부에서 열시(閱試)하는 날엔 모두 병위(兵衛; 경비의 임무를 맡은 병사)를 엄설하고 천극(栫棘)으로 그것을 두르고 가람(假濫)을 방비한다. 주(註) 천(栫)은 위(圍; 에워싸다)이다. 가람(假濫)은 가탁(假託)과 범람(泛濫)이다. 열시하는 날에 병사를 써서 엄하게 호위하고 극자(棘刺; 가시나무의 가시)로써 그것을 에워싸 가재(假才) 및 남입(濫入)하는 자를 방비한다. ▲선림소어고증2. 춘관(春官)에 부시(赴試; 시험에 다다르다)하여 의지가 극위(棘圍)의 승리를 취하다.
) -->
【克裕印】 淸代臨濟宗僧發印 字克裕 詳見發印
극유인(克裕印) 청대 임제종승 발인의 자가 극유니 상세한 것은 발인(發印)을 보라.
) -->
【克由叵耐】 實難忍受 ▲五燈會元二十國淸行機 五日一參 三八普說 自揚家醜 更若問理問事 問心問性 克由叵耐 ▲明覺語錄二 問新到 近離甚處 僧云 和尙道什麽 師云 我問爾近離甚處 僧退身立 師云 克由叵耐 不言來處 將拄杖來
극유파내(克由叵耐) 실로 인수(忍受)하기 어려움. ▲오등회원20 국청행기. 5일에 1참(參)하고 3, 8에 보설함은 스스로 가추(家醜)를 드날림이다. 다시 만약 이를 묻고 사를 묻고 심을 묻고 성을 묻는다면 극유파내(克由叵耐)다. ▲명각어록2. 신도(新到)에게 묻되 최근에 어느 곳을 떠났느냐. 중이 이르되 화상은 무어라고 말씀했습니까. 스님이 이르되 내가 너에게 묻기를 최근에 어느 곳을 떠났느냐 했다. 중이 퇴신(退身; 몸을 뒤로 물림)하여 섰다. 스님이 이르되 극유파내(克由叵耐)다. 온 곳을 말하지 않겠다면 주장자를 가지고 오너라.
) -->
【極意】 盡意 猶恣意 ▲禪林寶訓三 天下之事不可極意 極意則禍亂
극의(極意) 진의(盡意; 뜻을 다하다). 자의(恣意; 뜻대로 하다)와 같음. ▲선림보훈3. 천하의 일은 가히 극의(極意)하지 못한다. 극의하면 곧 화란(禍亂)이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00쪽 (0) | 2019.05.09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99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97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96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95쪽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