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 湛堂曰 道者古今正權 善弘道者 要在變通 不知變者 拘文執敎 滯相*殢情 此皆不達權變 故*僧問*趙州 萬法歸一 一歸何處 州云 我在靑州做領布衫重七斤 謂古人不達權變 能若是之*酬酢 聖人云 幽谷無私 遂致斯響 洪鐘*簴受 扣無不應 是知通方上士 將返常合道 不守一而不應變也〈與李商老書〉
●殢; 係替二音 極困也 滯也
●僧問; 僧問處名偏辟問 州答處名信手拈來無意路話 又謂放風前箭 轉格外機 須向言前領旨 句外明宗 不可尋言逐句 妄生揆度 趙州已至不立玄危 平坦之地 了無佛法身心 凡酬酢信口開合 皆無情識 不可較量也 故雪竇頌曰 偏辟曾挨老古錐 七斤衫重少人知 而今擲向西湖裏 下載淸風付與誰
●趙州; 趙州觀音院從諗禪師 曹州郝氏子 嗣南泉普願禪師 聲傳大夏 名聞九州 壽一百二十歲
●酬酢; 下音昨 客報主曰酢 主答客曰酬
●簴; 音巨 謂飛簴 天上神獸 鹿頭龍身 說文云 鐘皷之柎也 飾爲猛獸 釋名曰 橫曰栒 縱曰簴
【81】 담당(湛堂; 文準)이 가로되 도(道)란 것은 고금의 정권(正權; 바른 權柄)이다. 잘 홍도(弘道)하는 자는 요령(要領; 要)이 변통(變通)에 있나니 변통(變通; 變)을 알지 못하는 자는 문자(文字; 文)에 구계(拘繫; 拘)되고 교전(敎典; 敎)에 집착(執著; 執)하고 명상(名相; 相)에 체애(滯礙)하고 식정(識情; 情)에 곤체(困殢; *殢)되나니 이것은 모두 권변(權變; 權衡과 변화)을 통달하지 못해서이다. 고로 중이 조주에게 묻되(*僧問*趙州) 만법은 하나로 돌아가거니와 하나는 어느 곳으로 돌아갑니까. 조주가 이르되 내가 청주(靑州)에 있으면서 한 벌(領)의 포삼(布衫)을 지었는데(做) 무게가 7근(斤)이더라. 이르자면 고인이 권변(權變)을 통달하지 못했다면 능히 이와 같이(若是) 수작(*酬酢)했겠는가. 성인(聖人)이 이르되 유곡(幽谷)이 무사(無私)하므로 드디어 이 음향을 이르게(致) 하고 홍종(洪鐘)을 거(*簴; 악기를 다는 틀)가 접수(接受; 受)하므로 두드리매 응하지 않음이 없다. 이로 알지니 통방(通方; 방편을 통달)의 상사(上士)는 이에(將) 반상합도(返常合道)하여 수일(守一)하느라 응변(應變)하지 못하지 않는다. 〈與李商老書〉.
●殢; 계(係)ㆍ체(替) 2음(音)이니 극곤(極困)이다. 체(滯)다.
●僧問; 중이 물은 곳은 이름이 편벽문(偏辟問)이며 조주가 답한 곳은 이름이 신수염래(信手拈來; 손 닿는 대로 집어 오다)하여 의로(意路)가 없는 화(話)다. 또 이르되 풍전전(風前箭)을 방출하고 격외기(格外機)를 운전(運轉)함이니 모름지기 언전(言前)을 향해 영지(領旨; 지취를 領悟)하고 구외(句外)에서 명종(明宗)해야 하며 심언축구(尋言逐句)하여 허망하게 규탁(揆度; 헤아림)을 냄은 옳지 못하다. 조주는 이미 현위(玄危; 玄妙하고 孤危함)를 세우지 아니한 평탄한 경지에 이른지라 마침내 불법신심(佛法身心)이 없나니 무릇 수작(酬酢)하면서 신구(信口)하여 개합(開合)하되 모두 정식(情識)이 없으므로 가히 교량(較量)하지 못한다. 고로 설두(雪竇; 重顯이니 智門光祚의 法嗣)가 송왈(頌曰) 편벽(偏辟)하며 일찍이 노고추(老古錐)를 애찰(挨拶)하니/ 7근(斤) 포삼(布衫)의 무게를 아는 사람이 적다/ 動詞 卽學人이금(而今; 如今)에 서호(西湖) 속을 향해 던졌나니/ 청풍을 하재(下載)하여 누구에게 부여할까.
●趙州; 조주(趙州) 관음원 종심선사(從諗禪師; 778-897)니 조주(曹州; 지금의 산동성 定陶 西) 학씨(郝氏)의 아들이다. 남천(南泉; 남천산) 보원선사(普願禪師; 마조의 法嗣)를 이었으며 성(聲)을 대하(大夏)에 전했고 명(名)이 구주(九州)에 알려졌다(聞). 나이가 120세다.
●酬酢; 하는 음이 작(昨)이다. 객이 주인에게 알림(報)을 가로되 작(酢)이며 주인이 객에게 답함을 가로되 수(酬)다.
●簴; 음이 거(巨)다. 이르자면 비거(飛簴)니 천상의 신수(神獸)며 녹두용신(鹿頭龍身)이다. 설문(說文)에 이르되 종고(鐘皷)의 부(柎; 가로지른 막대기)니 맹수로 장식(裝飾)했다. 석명(釋名)에 가로되 횡(橫)을 가로되 순(栒; 가로지른 나무 막대기)이며 종(縱)을 가로되 거(簴)다.
聖人; 禪林寶訓筆說上云 聖人指老子
선림보훈필설상에 이르되 성인은 노자를 가리킨다.
上士; 上等根器者 ▲道德經第四十一聞道章 上士聞道 勤而行之 中士聞道 若存若亡 下士聞道 大笑之 不笑 不足以爲道
상등의 근기자. ▲도덕경 제41 문도장. 상사(上士)가 도를 들으면 부지런히 이를 행하고 중사(中士)가 도를 들으면 약존약망(若存若亡; 있는 것인가 없는 것인가 의심하는 모양)하며 하사(下士)가 도를 들으면 그것을 크게 웃나니 웃지 않으면 족히 도가 되지 못한다.
返常合道; 從凡常中返回 合于直道
범상(凡常) 가운데로부터 반회하여 직도(直道)에 합함.
偏辟問; 猶偏僻問 汾陽十八問之一 偏僻問 鶴立枯松時如何 偏枯僻執而問也
편벽문(偏僻問)과 같음. 분양 18문의 하나. 편벽문(偏僻問) 학이 마른 소나무에 섰을 때는 어떻습니까. 편고(偏枯)로 벽집(僻執)하여 물음이다.
信口; 随口 謂出言不加思索
수구(随口)니 이르자면 말을 내면서 사색을 가하지 않음.
老古錐; 老古錐能爲鑽物之用 老古者尊稱 言師家說得機鋒峭峻也 又指老練圓熟之師家
노고추(老古錐)는 능히 물건을 뚫는 데 사용함. 노고(老古)란 것은 존칭이니 말하자면 사가(師家)가 기봉이 초준(峭峻; 높고 가파름)함을 설해 얻음임. 또 노련하고 원숙(圓熟)한 사가를 가리킴.
下載; 對上載而云 下 從高處到低處 載 運也
상재(上載)에 상대해 이름이니 하(下)는 높은 곳으로부터 낮은 곳에 이름이며 재(載)는 운(運; 운반)임.
趙州; 位於河北省西部之都市 卽趙縣 隋謂趙郡 唐名趙州 宋名慶源府 元稱趙州而爲首邑 其地形 西爲太行山脈 前臨河北平原 自古卽爲軍事要地 唐末大中(847-859)年間 趙州從諗禪師 以趙州爲中心 大振南宗禪風
하북성 서부에 위치하는 도시니 곧 조현(趙縣)임. 수(隋)에서는 조군(趙郡)이라 일컬었고 당(唐)에선 조주(趙州)로 이름했고 송(宋)에선 경원부(慶源府)로 이름했고 원(元)에선 조주(趙州)로 호칭하면서 수읍(首邑)으로 삼았음. 그 지형은 서쪽으론 태행산맥(太行山脈)이 되고 앞으로는 하북평원(河北平原)에 임(臨)했음. 자고(自古)로 곧 군사요지(軍事要地)가 됨. 당말(唐末) 대중(大中; 847-859)년 간 조주종심선사(趙州從諗禪師)가 조주를 중심으로 하여 남종선풍(南宗禪風)을 크게 떨쳤음.
大夏; 中國漢代稱之爲大夏
중국을 한대(漢代)에 호칭하기를 대하라 했음.
九州; 指中國全土 又作九洲 字彙 洲 本作州 ▲祖庭事苑五 九州 冀 兖 靑 徐 楊 荊 豫 梁 雍
중국 전토를 가리킴. 또 구주(九洲)로 지음. 자휘 주(洲) 본래 주(州)로 짓는다. ▲조정사원5. 구주(九州) 기ㆍ연ㆍ청ㆍ서ㆍ양ㆍ형ㆍ예ㆍ량ㆍ옹.
說文; 卽說文解字 是古代文字學著作 東漢許愼撰 成於安帝建光元年(121) 原書十四篇 敘目一篇 正文以小篆爲主 收九千三百五十三字 又古文籀文等異體同文一千一百六十三字 解釋十三萬餘字 [百度百科]
곧 설문해자(說文解字)니 이는 고대의 문자학의 저작임. 동한 허신(許愼)이 찬(撰)했고 안제 건광 원년(121)에 완성했음. 원서는 14편(篇)이며 서목(敘目)이 1편임. 정문(正文)은 소전(小篆)을 위주(爲主)하여 9,353자를 수록했고 또 고문(古文)ㆍ주문(籀文) 등 이체(異體)의 동문(同文)이 1,163자며 해석이 13만여 자임 [백도백과].
釋名; 東漢劉熙撰 是一部專門探求事物名源的字書 全書八卷二十七篇 [百度百科]
동한 유희(劉熙)가 지었음. 이는 1부(部)의, 전문으로 사물의 명원(名源)을 탐구하는 자서(字書)니 전서가 8권 27편 [백도백과].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
pyungsimsa.tistory.com
'선림보훈합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보훈합주 083 (0) | 2022.10.04 |
---|---|
선림보훈합주 082 (0) | 2022.10.04 |
선림보훈합주 080 (0) | 2022.10.03 |
선림보훈합주 079 (0) | 2022.10.03 |
선림보훈합주 078 (0) | 2022.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