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분(知分)
) -->
만추설대풍류(晩秋雪帶風流)
우화비서혼몽유(雨花飛絮魂夢遊)
중동설함강개(仲冬雪含慷慨)
산전수율포모수(山戰樹慄布毛竪)
유시포유시폄(有時褒有時貶)
천망회회소불루(天網恢恢疎不漏)
축희미재인소기(祝釐弭災人所冀)
소욕지분부다수(少慾知分不多愁)
) -->
만추(晩秋)의 눈은 풍류를 띠어
꽃을 내리듯 솜을 날리듯 혼이 꿈에 노닐더니
중동(仲冬)의 눈은 강개(慷慨)를 머금은지라
산도 두려워하고 나무도 떨고 옷터럭도 일어나누나.
어떤 때엔 포상(褒賞)하고 어떤 때엔 폄하(貶下)하니
천망(天網)이 회회(恢恢)하여 성긴 듯하나 새지 않더라
복을 빌고 재앙을 그침은 사람들이 바라는 바이지만
소욕(少慾)하고 분수를 알면 근심이 많지 않다 하노라.
) -->
제목 해석 분수를 알아라.
2~8행 우(雨)는 내릴(自上而下) 우니 우화(雨花)는 꽃을 내림. 서(絮)는 솜 서. 강(慷)은 강개(慷慨)할 강. 개(慨)는 분개(憤慨)할 개. 전(戰)은 두려워할 전. 률(慄)은 두려울 률. 떨 률. 포(褒)는 포장(褒奬)할 포. 폄(貶)은 덜 폄. 회(恢)는 클 회. 소(疎)는 성길 소. 희(釐)는 복 희. 미(弭)는 쉴 미. 그칠 미. 기(冀)는 바랄 기. 욕(慾)은 욕(欲)과 통함.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미생(未生) (0) | 2019.08.04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근체(根蔕) (0) | 2019.08.04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일무명심(一無銘心) (0) | 2019.08.04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소요(逍遙) (0) | 2019.08.04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조도(鳥道) (0) | 2019.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