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암록주해 198

벽암록 제73칙 송 평창

藏頭白海頭黑半合半開 一手擡一手搦 *金聲玉振 明眼衲僧會不得更行脚三十年 終是被人穿却爾鼻孔 山僧故是口似匾檐 馬駒踏殺天下人叢林中也須是這老漢始得 放出這老漢 臨濟未是白拈賊癩兒牽伴 直饒好手 也被人捉了也 離四句絕百非道什麽 也須是自點檢看 阿爺似阿爹 天上人間唯我知用我作什麽 奪却拄杖子 或若無人無我無得無失 將什麽知 ●金聲玉振; 孟子萬章 孔子之謂集大成 集大成也者 金聲而玉振之也 장두백 해두흑을 반은 닫히고 반을 열렸으며 한 손은 들어 올리고 한 손은 눌렀다. 금성옥진(*金聲玉振)이다. 명안납승이라도 이회함을 얻지 못한다 다시 30년을 행각하더라도 마침내 이 남에게 너의 콧구멍이 뚫려버림을 입으리라. 산승(원오)도 본래(故; 本이며 또 仍然) 이, 입이 편담(匾檐)과 같다. 마구(馬駒; 망아지)가 천하인을 답살(踏殺)하므로 총림 ..

벽암록주해 2021.08.27

벽암록 제73칙 수시 본칙 평창

垂示云 夫說法者 無說無示 其聽法者 無聞無得 說旣無說無示 爭如不說 聽旣無聞無得 爭如不聽 而無說又無聽 却較些子 只如今諸人 聽山僧在這裏說 作麽生免得此過 具透關眼者 試擧看 수시(垂示)하여 이르되 무릇 설법이란 것은 무설무시(無說無示)하며 그 청법(聽法)이란 것은 무문무득(無聞無得)함이다. 설(說)이 이미 무설무시(無說無示)거늘 어찌 불설(不說)함과 같을 것이며 청(聽)이 이미 무문무득(無聞無得)이거늘 어찌 불청(不聽)함과 같으리오. 무설(無說)하고 또 무문(無聽)해야 도리어 조금은 상당하다 하리라. 지여(只如) 지금 제인은 산승이 이 속에 있으면서 설함을 듣나니 어찌해야 이 허물을 면득(免得)하겠는가. 투관안(透關眼)을 갖춘 자는 시험삼아 들어보아라(擧看). 【七三】擧 僧問馬大師 *離四句絕百非 請師直指某甲西來意..

벽암록주해 2021.08.27

벽암록 제72칙 본칙 평창 송 평창

【七二】擧 百丈又問雲巖 併却咽喉唇吻 作麽生道蝦蟆窟裏出來 道什麽 巖云 和尙有也未*粘皮著骨 拖泥帶水 前不搆村後不迭店 丈云 喪我兒孫灼然有此答得*半前落後 ●粘皮著骨; 同黏皮帶骨 喩指不灑脫貌 ●半前落後; 半落前後 意謂非前非後模糊之貌 【七二】 거(擧)하다. 백장이 또 운암(雲巖)에게 묻되 인후(咽喉)와 순문(唇吻)을 병각(併却)하고 어떻게 말하겠느냐. 하마굴(蝦蟆窟; 두꺼비 굴) 속에서 나오는구나. 무엇이라고 말하느냐. 운암이 이르되 화상은 있습니까 또는 아닙니까. 점피착골(*粘皮著骨; 가죽에 붙고 뼈에 붙다)했다. 타니대수(拖泥帶水)로다. 앞으로는 촌을 만나지 못했고 뒤로는 가게를 바꾸지 못했다(前不搆村後不迭店). 백장이 이르되 나의 아손을 상(喪)했다. 작연(灼然)히 이 반전낙후(*半前落後)를 답득(答得)함이 ..

벽암록주해 2021.08.27

벽암록 제71칙 본칙 평창 송 평창

佛果圜悟禪師碧巖錄卷第八 【七一】擧 百丈復問五峰 併却咽喉唇吻 作麽生道阿呵呵 箭過新羅國 峰云 和尙也須併却攙旗奪鼓 一句截流 萬機寢削 丈云 無人處斫額望汝土曠人稀相逢者少 此一則與七卷末公案同看 【七一】 거(擧)하다. 백장이 다시 오봉(五峰)에게 묻되 인후(咽喉; 목구멍)와 순문(唇吻; 입술)을 병각(併却; 併은 合倂이니 닫아버리는 것)하고 어떻게 말할 것이냐 아하하(阿呵呵) 화살이 신라국을 지나갔다. 오봉이 이르되 화상도 또한 모름지기 병각(須併)하십시오 참기탈고(攙旗奪鼓)했다. 1구로 절류(截流)하매 만기(萬機)가 침삭(寢削)한다. 백장이 이르되 사람이 없는 곳에서 작액(斫額)하고 너를 바라보리라. 땅은 넓고 사람이 드문지라 상봉하는 자가 적다. 이 1칙을 7권 말의 공안과 더불어 동간(同看)하라. 潙山把定封疆 ..

벽암록주해 2021.08.27

벽암록 제70칙 수시 본칙 평창 송 평창

垂示云 快人一言快馬一鞭 萬年一念一念萬年 要知直截 未擧已前 且道未擧已前 作麽生摸索 請擧看 수시(垂示)하여 이르되 쾌인(快人)은 1언(言)이며 쾌마(快馬)는 1편(鞭)이니 만 년이 1념(念)이며 1념이 만 년이다. 직절(直截)을 알고자 한다면 들지(擧) 아니한 이전(已前)이니 그래 말하라 들지 아니한 이전을 어떻게 모색하겠는가. 청컨대 들어보아라(擧看). 【七○】擧 潙山五峰*雲巖 同侍立百丈*阿呵呵 終始誵訛 君向西秦我之東魯 百丈問潙山 併却咽喉唇吻 作麽生道一將難求 潙山云 却請和尙道借路經過 丈云 我不辭向汝道 恐已後喪我兒孫不免老婆心切 面皮厚三寸 和泥合水 就身打劫 ●雲巖; 雲巖曇晟 曇晟(782-841) 唐代僧 鍾陵建昌(江西永修)人 俗姓王 少於石門出家 初參百丈懷海 歷二十餘年 未悟玄旨 懷海示寂後 參澧州藥山惟儼 竝嗣其法 ..

벽암록주해 2021.08.27

벽암록 제69칙 송 평창

*由基箭射猿當頭一路誰敢向前 觸處得妙 未發先中 遶樹何太直若不承當爭敢恁麽 東西南北一家風 已周遮多時也 千箇與萬箇如麻似粟 野狐精一隊 爭奈得南泉何 是誰曾中的一箇半箇 更沒一箇 一箇也用不得 相呼相喚歸去來一隊弄泥團漢 不如歸去好 却較些子 曹溪路上休登陟太勞生 想料不是曹溪門下客 低低處平之有餘 高高處觀之不足 復云 曹溪路坦平 爲什麽休登陟不唯南泉半路抽身 雪竇亦乃半路抽身 好事不如無 雪竇也患這般病痛 ●由基; 養由基(?-前559) 羋姓 養氏 字叔 名由基(一作繇基) 春秋時期楚國將領 是中國古代著名的神射手 養國被楚國滅亡後 養由基成爲楚國大夫 相傳養由基能在百步之外射穿作標記的柳葉 [百度百科] ▲史記四 楚有養由基者 善射者也 去柳葉百步而射之 百發而百中之 유기(*由基)가 원숭이를 화살로 쏘매 당두(當頭; 當面)의 일로(一路)에 누가 감히 앞으로 향할..

벽암록주해 2021.08.27

벽암록 제69칙 수시 본칙 평창

垂示云 無啗啄處 祖師心印 狀似鐵牛之機 透荊棘林衲僧家 如紅爐上一點雪 平地上七穿八穴則且止 不落*寅緣 又作麽生 試擧看 ●寅緣; 寅 深 後作夤 수시(垂示)하여 이르되 담탁(啗啄)할 곳이 없는 조사의 심인(心印)이 철우지기(鐵牛之機)와 상사(狀似; 類似니 狀은 類似)하여 형극림(荊棘林)을 투과한 납승가(衲僧家)에겐 홍로(紅爐) 위의 한 점 눈과 같나니 평지상에서 칠천팔혈(七穿八穴)함은 곧 그만두고(且止) 인연(*寅緣)에 떨어지지 않는 것을 또 어떻다고 하는가. 시험삼아 들어보아라(擧看). ●寅緣; 인(寅)은 심(深)이니 후에 인(夤)으로 지었음. 【六九】擧 南泉*歸宗*麻谷 同去禮拜忠國師 至中路*三人同行必有我師 有什麽奇特 也要辨端的 南泉於地上 畫一圓相云 道得卽去無風起浪 也要人知 擲却陸沈船 若不驗過 爭辨端的 歸宗於圓..

벽암록주해 2021.08.27

벽암록 제68칙 수시 본칙 평창 송 평창

垂示云 掀天關翻地軸 擒虎兕辨龍蛇 須是箇活鱍鱍漢始得 句句相投機機相應 且從上來什麽人合恁麽 請擧看 수시(垂示)하여 이르되 천관(天關)을 번쩍 들고 지축(地軸)을 엎어버리며 호시(虎兕)를 사로잡고 용사(龍蛇)를 분변함은 모름지기 이(是箇) 활발발한(活鱍鱍漢)이라야 비로소 옳거니와 구구(句句)가 상투(相投)하고 기기(機機)가 상응함은 또 종상래(從上來)로 어떤 사람이 이러함에 합당한지 청컨대 들어보아라(擧看). 【六八】擧 仰山問三聖 汝名什麽名實相奪 勾賊破家 聖云 惠寂坐斷舌頭 攙旗奪鼓 仰山云 惠寂是我各自守封疆 聖云 我名惠然鬧市裏奪去 彼此却守本分 仰山呵呵大笑可謂是箇時節 錦上鋪花 天下人不知落處 何故土廣人稀 相逢者少 一似巖頭笑 又非巖頭笑 一等是笑 爲什麽却作兩段 具眼者始定當看 【六八】 거(擧)하다. 앙산(仰山; 惠寂이니 ..

벽암록주해 2021.08.27

벽암록 제67칙 송 평창

不向雙林寄此身只爲他把不住 囊裏豈可藏錐 却於梁土惹埃塵若不入草 爭見端的 不風流處也風流 當時不得誌公老作賊不須本 有牽伴底癩兒 也是*栖栖去國人正好一狀領過 便打 ●栖栖; 同棲棲 碧巖錄第六十七則種電鈔云 論語曰 何爲是棲棲者歟 注 猶皇皇也 쌍림(雙林)을 향해 이 몸을 기탁(寄託)하지 않고 다만 그(부대사)가 잡아 머물지 않기 때문이니 주머니 속에 어찌 가히 송곳을 숨기리오. 도리어 양토(梁土)에서 애진(埃塵)을 야기(惹起)한다 만약 입초(入草)하지 않는다면 어찌 단적(端的; 진실)을 보겠는가. 풍류하지 아니할 곳에서 또한 풍류한다. 당시에 지공로(誌公老)를 얻지 못했다면 도적질하는데 밑천이 쓰이지 않는다. 동무를 끌고오는 문동이(癩兒; 兒는 조사)가 있구나. 또한 이 서서(*栖栖)히 나라를 떠나는 사람이었으리라. 바로 ..

벽암록주해 2021.08.27

벽암록 제67칙 본칙 평창

【六七】擧 梁武帝請*傅大士講金剛經達磨兄弟來也 魚行酒肆卽不無 衲僧門下卽不可 這老漢老老大大作這般去就 大士便於座上 揮案一下 便下座直得*火星迸散 似則似是則未是 不煩打葛藤 武帝愕然兩回三度被人瞞 也敎他摸索不著 誌公問 陛下還會麽*黨理不黨情 肐膊不向外 也好與三十棒 帝云 不會可惜許 誌公云 大士講經竟也須逐出國始得 當時和誌公 一時與趕出國 始是作家 兩箇漢同坑無異土 ●傅大士; 傅翕(497-569) 南朝梁代禪宗著名之尊宿 東陽烏傷(浙江義烏)人 字玄風 號善慧 又稱善慧大士 魚行大士 傅大士 雙林大士 東陽大士 烏傷居士 與寶誌共稱爲梁代二大士 嘗與里人共捕魚 每得魚則盛於竹籠 沈入深水 竝謂 欲去者去 欲止者留 時人以之爲愚 年十六 娶劉氏女妙光 生普建普成二子 年二十四 於沂水取魚 適逢胡僧嵩頭陀(名達摩) 遂棄魚具 入烏傷縣松山雙檮樹下結庵 自號雙林樹下當來解..

벽암록주해 2021.08.27

벽암록 제66칙 송 평창

黃巢過後曾收劍孟八郞漢有什麽用處 只是錫刀子一口 大笑還應作者知一子親得 能有幾箇 不是渠儂爭得自由 三十*山藤且輕恕同條生同條死 *朝三千暮八百 東家人死西家人助哀 却與救得活 得便宜是落便宜據款結案 悔不愼當初 也有些子 ●山藤; 以山藤制作的柱杖子 ●朝三千暮八百; 卽朝打三千暮打八百 황소(黃巢)가 지나간 후 일찍이 거둔 검을 맹팔랑한(孟八郞漢)이거늘 무슨 쓸 곳이 있으리오. 다만 이 석도자(錫刀子; 子는 조사) 1구(口; 量詞)다. 대소(大笑)는 도리어 응당 작자라야 안다 일자(一子)가 친득(親得)했다(설봉이 친히 암두의 웃은 곳을 앎). 능히 몇 개(箇; 人)나 있으리오. 이 거농(渠儂; 암두를 가리킴)이 아니면 어찌 자유를 얻으리오. 삼십의 산등(*山藤)은 다만 경서(輕恕; 가볍게 용서해 준 것)니 동조생동조사(同條生同條..

벽암록주해 2021.08.27

벽암록 제66칙 본칙평창

大凡挑囊負鉢 撥草瞻風 也須是具行脚眼始得 這僧*眼似流星 也被巖頭勘破了一串穿却 當時若是箇漢 或殺或活 擧著便用 這僧*砑郞當 却道收得 似恁麽行脚 *閻羅老子問爾 *索飯錢在 知他踏破多少草鞋 直到雪峰 當時若有些子眼筋 便解瞥地去 豈不快哉 這箇因緣 有節角誵訛處 此事雖然無得失 得失甚大 雖然無揀擇 到這裏 却要具眼揀擇 看他龍牙行脚時 致箇問端 問德山 學人仗鏌鎁劍 擬取師頭時如何 德山引頸近前云 㘞 龍牙云 師頭落也 山便歸方丈 牙後擧似洞山 洞山云 德山當時道什麽 牙云 他無語 洞山云 他無語則且置 借我德山落底頭來看 牙於言下大悟 遂焚香遙望德山禮拜懺悔 有僧傳到德山處 德山云 洞山老漢 不識好惡 這漢死來多少時也 救得有什麽用處 這箇公案 與龍牙底一般 德山歸方丈 則暗中最妙 巖頭大笑 他笑中有毒 若有人辨得 天下橫行 這僧當時若辨得出 千古之下 免得檢責 於巖頭門..

벽암록주해 2021.08.27

벽암록 제66칙 수시 본칙

垂示云 當機覿面 提陷虎之機 *正按傍提 布擒賊之略 明合暗合 雙放雙收 解弄死蛇 還他作者 ●正按傍提; 指師家接化學人之機法 正 正面 按 按劍 謂正面擧劍相向 傍 側面 提 提刀 謂側面提刀突進 正按傍提 以此轉喩師家接化學人之機法變化自在 時而正面攻擊 直下提示第一義諦 時而側面奇襲 令人於進退間自然趨入正道 수시(垂示)하여 이르되 당기(當機)의 적면(覿面; 當面)에 함호지기(陷虎之機)를 제시(提示; 提)하고 정안과 방제(*正按傍提)로 금적지략(擒賊之略)을 포고(布告; 布)해야 명합암합(明合暗合)하여 쌍방쌍수(雙放雙收)하리니 죽은 뱀을 희롱할 줄 아는 것은 도리어 저 작자(作者; 작가)라야 한다. ●正按傍提; 사가(師家)가 학인을 접화(接化)하는 기법(機法)을 가리킴. 정(正)은 정면이며 안(按)은 안검(按劍; 칼을 어루만짐)이..

벽암록주해 2021.08.27

벽암록 제65칙 송 평창

機輪曾未轉在這裏 果然不動一絲毫 轉必兩頭走不落有必落無 不東則西 左眼半斤右眼八兩 明鏡忽臨臺還見釋迦老子麽 一撥便轉 破也破也 敗也敗也 當下分妍醜盡大地是箇解脫門 好與三十棒 還見釋迦老子麽 妍醜分兮迷雲開放一線道 許爾有箇轉身處 爭奈只是箇外道 慈門何處生塵埃遍界不曾藏 退後退後 達磨來也 因思良馬窺鞭影我有拄杖子 不消爾與我 且道什麽處是鞭影處 什麽處是良馬處 *千里追風喚得回騎佛殿出三門去也 轉身卽錯 放過卽不可 便打 喚得回鳴指三下前不搆村後不迭店 拗折拄杖子 向什麽處去 雪竇雷聲甚大 雨點全無 ●千里追風; 日行千里的追風馬 追風 馬名 古今注中曰 秦始皇有七名馬 追風 白兔 躡景 奔電 飛翮 銅爵 最鳧 기륜(機輪)이 일찍이 돌지 않나니 이 속에 있나니 과연 한 실터럭도 움직이지 않는다. 돌면 반드시 양두(兩頭)로 달아난다 유(有)에 떨어지지 않으면 ..

벽암록주해 2021.08.27

벽암록 제65칙 수시 본칙 평창

垂示云 無相而形 充*十虛而*方廣 無心而應 遍*刹海而不煩 擧一明三目機銖兩 直得棒如雨點喝似雷奔 也未當得向上人行履在 且道作麽生是向上人事 試擧 ●十虛; 十方虛空的略語 ●方廣; 方正廣大 ●刹海; 全稱刹土大海 指十方世界而言 俗稱爲宇宙 수시(垂示)하여 이르되 무상(無相)이면서 형상(形象)해야 십허(*十虛)에 충만하여 방광(*方廣)하며 무심(無心)하면서 응해야 찰해(*刹海)에 두루하되 번잡(煩雜)하지 않다. 거일명삼(擧一明三)이며 목기수량(目機銖兩)인지라 바로 방(棒)이 우점(雨點; 빗방울)과 같고 할(喝)이 뇌분(雷奔; 우레가 달림)과 같음을 얻더라도 또한 향상인(向上人)의 행리(行履)를 당득(當得; 得은 조사)하지 못하여 있나니 그래 말하라 어떤 것이 이 향상인의 일인가. 시거(試擧)하라. ●十虛; 시방허공(十方虛..

벽암록주해 2021.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