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일적 1000

태화일적(泰華一滴) 955

【955】 次*參潙山 問云 頃聞南陽忠國師有*無情說法話 *某甲未究其微 潙山云 闍黎莫記得麽 師云 記得 潙山云 汝試擧一徧看 師遂擧 僧問 如何是古佛心 國師云 墻壁瓦礫是 僧云 墻壁瓦礫豈不是無情 國師云 是 僧云 還解說法否 國師云 常說 熾然說 無間歇 僧云 某甲爲甚麽不聞 國師云 汝自不聞 不可妨他聞者也 僧云 未審甚麽人得聞 國師云 諸聖得聞 僧云 和尙還聞否 國師云 我不聞 僧云 和尙旣不聞 爭知無情解說法 國師云 賴我不聞 我若聞 卽齊於諸聖 汝卽不聞我說法也 僧云 恁麽則衆生無分去也 國師云 我爲衆生說 不爲諸聖說 僧云 衆生聞後如何 國師云 卽非衆生 僧云 無情說法 據何典敎 國師云 灼然言不該典 非君子之所談 汝豈不見華嚴經云 *刹說衆生說*三世一切說 師擧了 潙山云 我這裏亦有 秪是罕遇其人 師云 某甲未明 乞師指示 潙山豎起*拂子云 會麽 師云 不會 請和..

태화일적 2020.11.28

태화일적(泰華一滴) 953

【953】 有一比丘深愛樂身 愛樂身故還欲歸家 辭憂波毱路宿天廟 尊者卽化作一*夜叉 擔負死人至此天寺 復有一鬼從後而來 於是二鬼共諍死屍 紛紜鬪訟不能自決 其前鬼言 我有證人 卽共問之 誰死屍耶 其人惶怖便自念言 我於今者定死無疑 寧以實語而取屠滅 語前鬼言 此是汝屍 後鬼瞋恚拔其手足 前鬼卽取死人補之 其體平復如本不異 於是二鬼共食餘肉 食肉已竟卽便出去 此人卽便自愛心息 還詣尊者出家精勤 於後不久得*阿羅漢 〖付法藏因緣傳四〗 몸뚱이를 깊이 애요(愛樂)하는 한 비구(비구; 梵 bhiksu)가 있었는데 몸을 애요하는 연고로 도리어 귀가(歸家)하고자 하였다. 우바국(憂波毱; 優婆毱多. 第四祖)에게 고별하고 천묘(天廟; 天神을 모신 사당)에서 노숙(路宿)했는데 존자가 곧 한 야차(*夜叉)를 화작(化作)해 사인(死人)을 짊어지고 이 천사(天寺)에 이..

태화일적 2020.11.28

태화일적(泰華一滴) 950

【950】 洞山寶禪師 嗣五祖戒和尙 廬州人 爲人廉謹 甞在五祖主事 戒病令行者往*庫司取生薑煎藥 寶叱之 行者白戒 戒令將錢回買 寶方取薑付之 後筠州洞山闕人 郡守以書託戒 擧所知者主之 戒曰 賣生薑漢住得 遂出世住洞山 〖宗門武庫〗 동산보선사(洞山寶禪師; 송대 운문종승 洞山自寶)는 오조계화상(五祖戒和尙; 師戒니 蘄州 五祖山에 주지했음)을 이었으며 여주 사람인데 사람됨이 염근(廉謹; 청렴하고 매사에 조심성이 있음)했다. 일찍이 오조에 있으면서 주사(主事; 사무를 주관함)했다. 계(戒; 師戒)가 병이 들자 행자를 시켜 고사(*庫司)에 가서 생강을 취해 약을 다리게 하자 보(寶; 自寶)가 그를 꾸짖었다. 행자가 사계에게 보고하자 사계가 돈을 가지고 회매(回買; 購買)하게 하였고 자보가 비로소 생강을 취해 그에게 주었다. 후에 균..

태화일적 2020.11.27

태화일적(泰華一滴) 945

【945】 有寶上座者 具大知見 遇知識開堂 必橫機捷出 迎鋒取勝 一日師開室 寶至 師垂語曰 乾坤之內 宇宙之間 中有一寶 秘在形山 語未竟 寶擬開口 師卽打出 寶欲師擧話竟乃進語 旣於語半 又被打出 謂師故爲摧折 歸衣單下脫去 火後 鄕人收舍利呈師 師拈起曰 寶上座 饒有舍利八斛四斗 置之一壁 還我生前一轉語來 擲地 唯見膿血 〖五燈全書四十八 破庵祖先〗 보상좌(寶上座)란 이가 있어 대지견(大知見)을 갖추었는데 지식(知識)의 개당(開堂)을 만나면 반드시 횡기(橫機; 橫은 사나울 횡. 또 意外, 非理의 뜻)로 민첩(敏捷)하게 튀어나와 기봉(機鋒)을 맞이해 승리를 취했다. 어느 날 스님(祖先이니 남송 양기파승. 密庵咸傑의 法嗣)이 개실(開室)하자 보(寶)가 이르렀다. 스님이 수어(垂語)하여 가로되 건곤지내(乾坤之內)와 우주지간(宇宙之間)의..

태화일적 2020.11.27

태화일적(泰華一滴) 943

【943】 問時時勤拂拭 爲甚麽不得他衣鉢 未審甚麽人合得 師曰 不入門者 曰祇如不入門者 還得也無 師曰 雖然如此 不得不與他却 又曰 直道本來無一物 猶未合得他衣鉢 汝道 甚麽人合得 這裏合下得一轉語 且道 下得甚麽語 時有一僧 下九十六轉語 並不契 末後一轉 始愜師意 師曰 闍黎何不早恁麽道 別有一僧密聽 祇不聞末後一轉 遂請益其僧 僧不肯說 如是三年相從 終不爲擧 一日因疾 其僧曰 某三年請擧前話 不蒙慈悲 善取不得 惡取去 遂持刀白曰 若不爲某擧 卽殺上座去也 其僧悚然曰 闍黎且待 我爲你擧 乃曰 直饒將來 亦無處著 其僧禮謝 〖五燈全書二十六 洞山良价〗 묻되 때때로 부지런히 털고 닦았거늘(時時勤拂拭; 神秀偈云 身是菩提樹 心如明鏡臺 時時勤拂拭 莫使惹塵埃) 무엇 때문에 그(五祖)의 의발(衣鉢)을 얻지 못했습니까. 미심(未審)하외다 어떤 사람이 합당히 얻..

태화일적 2020.11.27

태화일적(泰華一滴) 942

【942】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論語 爲政〗 공자가 가로되 나는 십유오(十有五;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삼십에 자립(自立; 立)했고 사십에 불혹(不惑; 미혹하지 않음)하고 오십에 천명(天命)을 알고 육십에 이순(耳順; 귀에 들면 저절로 이해함)하고 칠십에 마음에 하고자 하는 바를 좇으매 규구(規矩; 법도)를 넘지 않았다.

태화일적 2020.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