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전제(筌蹄) 전제(筌蹄) 니다불대수소원미(泥多佛大水小源微) 근천엽소지심견미(根淺葉疏智深見彌) 수득소분휴헐처(雖得少分休歇處) 학박장하응중기(學薄將何應衆機) 도본무언인언현도(道本無言因言顯道) 문자언어재도지기(文字言語載道之器) 득토망제포획후(得兎忘蹄捕獲後) 미조기전심우치(未..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통소로(通霄路) 통소로(通霄路) 동사불착천인곤(凍死不著賤人裩) 아사불끽수변삼(餓死不喫鬚邊糝) 장부자유통소로(丈夫自有通霄路) 불문전삼여후삼(不問前三與後三) 얼어 죽더라도 비천(卑賤)한 사람의 잠방이를 입지 않으며 굶어 죽더라도 수염 가의 쌀가루를 먹지 않나니 장부가 스스로 하늘로 통하..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무초(無初) 무초(無初) 무심득이귀신복(無心得而鬼神伏) 통어일이만사휴(通於一而萬事休) 일종부사의이기(一從不思議而起) 부사의자무소기(不思議者無所起) 재몽나지몽시허(在夢那知夢是虛) 성래방각몽중무(醒來方覺夢中無) 적멸성중막심멱(寂滅性中莫尋覓) 몽식무초오자수(夢識無初悟者誰) 마..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상불경보살(常不輕菩薩) 상불경보살(常不輕菩薩) 복종찬탄이생(福從贊嘆而生) 죄인자인이멸(罪因慈忍而滅) 오불감경어여(吾不敢輕於汝) 여등개당작불(汝等皆當作佛) 갑삽퇴두방광(搕𣜂堆頭放光) 니단토괴보설(泥團土塊普說) 시방세계무비(十方世界無比) 천상천하유불(天上天下唯佛) 복은 찬탄(贊嘆)으로..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학빈(學貧) 학빈(學貧) 학도선수요학빈(學道先須要學貧) 학빈빈후도방친(學貧貧後道方親) 불가원근시전재(不可遠近是錢財) 시금여괴안불손(視金如塊眼不損) 도를 배움엔 먼저 모름지기 가난을 배움을 요하나니 가난을 배워 가난한 뒤라야 도가 비로소 친하느니라 가히 멀리도 가까이도 못하는 게 ..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파인소(怕人笑) 파인소(怕人笑) 요인소여파인소(要人笑與怕人笑) 백주견귀기다반(白晝見鬼幾茶飯) 수류임급경상정(水流任急境常靜) 화락수빈의자한(花落雖頻意自閑) 사람의 웃음을 요함과 사람의 웃음을 두려워함이여 대낮에 귀신을 봄이 얼마나 다반사(茶飯事)더냐 물은 흘러 임의대로 급해도 경계(..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불언가지(不言可知) 불언가지(不言可知) 식득자기능험인(識得自己能驗人) 일견편지타유성(一見便知他有省) 매유자파유상법(賣油餈婆有相法) 전득투지침무성(煎得透底沈無聲) 자기를 알아 얻어야 능히 타인을 감험(勘驗)하나니 한 번 보매 곧 그가 성찰(省察)이 있는지를 아느니라 유자(油餈)를 파는 할미도 ..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반이(返爾) 반이(返爾) 필경수수조해거(畢竟水須朝海去) 도두운정멱산귀(到頭雲定覓山歸) 출호이자반호이(出乎爾者返乎爾) 개리나용설도리(箇裏那容說道理) 필경에 물은 반드시 바다를 향해 흘러가고 마침내 구름은 꼭 산을 찾아 돌아가나니 너에게서 나온 것이 너에게 돌아가거늘 이 속에 어찌 도..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청하(淸夏) 청하(淸夏) 우헐천산만수휘(雨歇千山萬樹徽) 요산녹수첨성래(繞山綠水添聲來) 백운삼편오편기(白雲三片五片起) 두우일성이성제(杜宇一聲二聲啼) 천안대비간부족(千眼大悲看不足) 왕유수교난화시(王維雖巧難畵時) 첨일유유염섬재(添一猶有廉纖在) 감일미면섭이미(減一未免涉離微) 비..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철벽(鐵壁) 철벽(鐵壁) 학도비여투철벽(學道譬如透鐵壁) 백계천방욕투득(百計千方欲透得) 역이궁모이진(力已窮謨已盡) 시각자기시철벽(始覺自己是鐵壁) 앙지미고찬미견(仰之彌高鑽彌堅) 언지불급심무적(言之不及尋無跡) 당은산저철벽(撞銀山抵鐵壁) 욕료불소원자각(欲了不消元字脚) 도를 배움은 ..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형극(荊棘) 형극(荊棘) 무고막행황무로(無故莫行荒蕪路) 지공착득형극래(只恐著得荊棘來) 여안본정인사사(汝眼本正因師邪) 시청요좌조일회(試請寥坐照一回) 까닭 없이 거칠은 길을 다니지 말지니 단지 가시를 붙여 올까 염려하노라 너의 눈이 본래 바르지만 스승을 인해 삿되어지나니 시험삼아 청..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편달(鞭撻) 편달(鞭撻) 허척광음유자가(虛擲光陰猶自可) 영병신고갱수인(跉竮辛苦更愁人) 규천불응규지연(叫天不應叫地然) 책향자가편불린(策向自家鞭不悋) 헛되이 광음(光陰)을 던져버림은 오히려 스스로 옳거니와 비슬거리며 신고(辛苦)함은 다시 사람을 근심케 하도다 하늘을 부르짖어도 응답..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행로(行路) 행로(行路) 부법전심장착취착(付法傳心將錯就錯) 입설단비수사축악(立雪斷臂隨邪逐惡) 어목명주진재여(魚目明珠盡在汝) 가귀가천막문멱(價貴價賤莫問覓) 운편전축청계오열(雲片展縮淸溪嗚咽) 유림조호벽담어약(幽林鳥號碧潭魚躍) 행로이혜행로난(行路易兮行路難) 인착목전우대착(認..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차과(蹉過) 차과(蹉過) 생경사조출송입영(生慶死弔出送入迎) 길희흉비희소비상(吉憙凶悲憙笑悲傷) 수향죽변유출록(水向竹邊流出綠) 풍종화리과래향(風從花裏過來香) 무한승인재당인(無限勝因在當人) 막문노두재하방(莫問路頭在何方) 재자리이차과(在者裏已蹉過) 애자유향월변망(獃子猶向月邊望)..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일(一) 일(一) 대우잠헐일두출(大雨暫歇日頭出) 시호부응보안일(鳲呼鳺應報安逸) 존망안부융일리(存亡安否融一理) 거년여시금년일(去年如是今年一) 큰 비가 잠시 쉬매 해가 나오니 뻐꾸기가 부르고 비둘기가 응답하며 안일(安逸)을 알리네 존망(存亡)과 안부(安否)가 일리(一理)에 녹나니 지난.. 태화당수세록 2019.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