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보수개당(寶壽開堂) 보수개당(寶壽開堂) 삼성추출일사승(三聖推出一師僧) 보수편타귀방장(寶壽便打歸方丈) 비유할각일성인(非唯瞎却一城人) 갱요산하대지망(更要山河大地亡) 삼성(三聖)이 한 사승(師僧)을 추출(推出)하매 보수(寶壽)가 바로 때리고 방장으로 돌아가니 일성(一城)의 사람들을 눈멀게 해 버릴..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행선(行禪) 행선(行禪) 장자장법신(長者長法身) 단자단법신(短者短法身) 곡불대분백(鵠不待粉白) 오불가묵현(烏不假墨玄) 설선자다행선소(說禪者多行禪少) 니남불치반분전(呢喃不直半分錢) 긴 자는 긴 대로 법신이요 짧은 자는 짧은 대로 법신이니 고니는 분(粉)을 기다리지 않고도 희며 까마귀는 ..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불사선악(不思善惡) 불사선악(不思善惡) 사다한신야귀란(師多閑神野鬼亂) 약다사백사병기(藥多四百四病起) 구참부도무의지(久參不到無疑地) 지인불원투심괴(只因不願偸心壞) 살인방화유하난(殺人放火有何難) 오역십악선자희(五逆十惡羨者稀) 불사선불사악(不思善不思惡) 인착의전환불시(認著依前還不是)..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복육(伏肉) 복육(伏肉) 초해소소해경(鈔解疏疏解經) 경해심마시절각(經解甚麽是切脚) 지호자야비활구(之乎者也非活句) 오토종불식복육(於菟終不食伏肉) 초(鈔)는 소(疏)를 해석하고 소(疏)는 경(經)을 해석하거니와 경은 무엇을 해석하는가 하니 이 절각(切脚)이로다 지호자야(之乎者也)는 활구(活句..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유마경(維摩經) 유마경(維摩經) 외도육사여지사(外道六師汝之師) 피사소타여역타(彼師所墮汝亦墮) 막수한암이초청(莫守寒巖異草靑) 구괘벽상이주차(口掛壁上已周遮) 막주차병재아(莫周遮柄在我) 환우즉우호마마(喚牛卽牛呼馬馬) 외도육사(外道六師)가 너의 스승이며 그 스승이 떨어지는 곳에 너도 또..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무생(無生) 무생(無生) 풍수수우수수(風颼颼雨颼颼) 추담청추월랑(秋潭淸秋月朗) 삼적사적추로령(三滴四滴秋露零) 일편양편추엽비(一片兩片秋葉飛) 잡안구하이과거(眨眼九夏已過去) 방불삼추현몽리(彷彿三秋現夢裏) 생주이멸구시유(生住異滅俱時有) 취중수오무생리(就中須悟無生理) 바람이 수수(..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일법(一法) 일법(一法) 남자신중입정시(男子身中入定時) 여자신중불류의(女子身中不留意) 염득이즉목정고(拈得耳卽目定瞽) 취개안혜이필외(取箇眼兮耳必聵) 일념불생전체현(一念不生全體現) 척각분별시교리(擲却分別屎窖裏) 불견일법대과환(不見一法大過患) 처착안할겸이배(覰著眼瞎兼耳背) 남..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영고(榮枯) 영고(榮枯) 오동엽소조성로(梧桐葉疎鳥聲老) 하장추수하자오(夏長秋收何者聱) 물불천의재자리(物不遷義在者裏) 영고종타로영고(榮枯從它露榮枯) 오동잎은 성기고 새소리는 늙었나니 여름에 자라고 가을에 거두매 어떤 자가 못 들은 체하리오 사물이 변천(變遷)하지 않는 뜻이 이 속에 ..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적의(適意) 적의(適意) 산궁교단시득로(山窮橋斷始得路) 기량진처방견이(伎倆盡處方見伊) 소년도망이차타(少年徒忙易蹉跎) 요도의한망정위(潦倒意閑忘情謂) 욕문천성중야후(欲聞泉聲中夜後) 욕관산색석양시(欲觀山色夕陽時) 화개엽락무한의(花開葉落無限意) 요도정소지풍류(潦倒情疏知風流) 산..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한정(閑情) 한정(閑情) 정한암수간유호(情閑巖樹看愈好) 실정간천문전유(室靜磵泉聞轉幽) 주산자미지여차(住山滋味只如此) 심중무사불조수(心中無事佛祖讐) 뜻이 한가(閑暇)하니 암수(巖樹)가 보기에 더욱 아름답고 방이 고요하니 간천(磵泉)이 듣기에 더욱 그윽하도다 주산(住山)의 자미(滋味)가 ..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혐우(嫌雨) 혐우(嫌雨) 계미년계임오미(癸未年繼壬午尾) 첨일유여견아미(瞻日猶如見蛾眉) 구우불청정초천(久雨不晴庭草芊) 막혐주인불이시(莫嫌主人不以時) 계미년이 임오년의 꼬리를 이어 해를 쳐다보기가 오히려 아미(蛾眉)를 보기와 같구나 오래 비가 와서 개이지 않아 뜰의 풀이 더부룩하나니 ..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전개(纏蓋) 전개(纏蓋) 니저개구불원생천(泥猪疥狗不願生天) 혜계멸몽기기역구(醯鷄蠛蠓豈期易軀) 부유부지세월단(蜉蝣不知歲月短) 저구나지신추루(猪狗那知身醜陋) 조진체무의(照盡體無依) 방견본래인(方見本來人) 부도염궁무념처(不到念窮無念處) 도두미면니전개 (到頭未免泥纏蓋) 더러운 돼지..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초절(勦絶) 초절(勦絶) 위인수구위인안(爲人須具爲人眼) 득보수시별보인(得寶須是別寶人) 고순요설도심사(鼔脣搖舌圖甚事) 지요당인인기진(只要當人認己珍) 투관수구투관안(透關須具透關眼) 견지수득견지운(見地須得見地韻) 동도서화의재하(東道西話意在何) 지요문자언하운(只要聞者言下殞) 사..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소유(笑由) 소유(笑由) 시인소아불해소(時人笑我不解笑) 아소시인유래유(我笑時人有來由) 제인지처양수지(諸人知處良遂知) 양수지처인부지(良遂知處人不知) 시인(時人)이 나를 웃는다면 웃을 줄 알지 못함이지만 내가 시인(時人)을 웃음은 내유(來由)가 있도다 제인(諸人)이 아는 곳은 양수(良遂)가 ..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지이(支頤) 지이(支頤) 탁주렴하이득붕(濁酒帘下易得朋) 청다상상난조우(淸茶床上難遭友) 적면유견청산청(覿面唯見靑山靑) 곤래곡비지이수(困來曲臂支頤睡) 탁주렴하(濁酒帘下)에선 동무를 얻기 쉽지만 청다상상(淸茶床上)에선 벗을 만나기 어렵도다 적면(覿面)하매 오직 청산의 푸름만 보이나니 .. 태화당수세록 2019.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