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향적세계(香積世界) 향적세계(香積世界) 창포낙진율향분(菖蒲落盡栗香芬) 봉취접무난분분(蜂醉蝶舞亂紛紛) 계향정향해탈향(戒香定香解脫香) 향적세계삼매훈(香積世界三昧薰) 창포꽃이 떨어져 다하매 밤 향기가 향긋하나니 벌이 취하고 나비가 춤추며 어지럽게 분분(紛紛)하네 계향 정향 해탈향(戒香 定香 .. 태화당수세록 2019.08.06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상사구(相似句) 상사구(相似句) 하엽단단단사경(荷葉團團團似鏡) 능각첨첨첨사추(菱角尖尖尖似錐) 사즉막주주불사(似卽莫住住不似) 재기일념양두주(才起一念兩頭走) 작약화개보살면(芍藥花開菩薩面) 종려엽산야차두(椶櫚葉散夜叉頭) 환작여여조변료(喚作如如早變了) 불풍류처막풍류(不風流處莫風流).. 태화당수세록 2019.08.06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문예(蚊蚋) 문예(蚊蚋) 방지삼월장잔(方知三月將殘) 불각오월이반(不覺五月已半) 문예롱취승수익(蚊蚋礱嘴蠅修翼) 사피이뇌골모한(思被伊惱骨毛寒) 골모한호소식(骨毛寒好消息) 타일여하거사단(他日如何擧斯段) 바야흐로 삼월이 얼마 남았다고 알았더니 불각(不覺)에 오월이 이미 반이로다 모기는.. 태화당수세록 2019.08.06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무공철추(無孔鐵椎) 무공철추(無孔鐵椎) 지허지불허회(只許知不許會) 착회자다승당희(錯會者多承當稀) 조사서래정전백(祖師西來庭前栢) 혹시혹비지부지(或是或非知不知) 환작죽비즉촉(喚作竹篦卽觸) 불환작죽비즉배(不喚作竹篦卽背) 불향남천사석호(不向藍田射石虎) 하인지시이광시(何人知是李廣矢) 단.. 태화당수세록 2019.08.06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자활(自活) 자활(自活) 금일유주금일취(今日有酒今日醉) 명조수래명조수(明朝愁來明朝愁) 야화불비재배력(野花不費栽培力) 자유풍우관대이(自有風雨管帶伊) 오늘 술이 있으면 오늘 취할 것이며 내일 아침에 근심이 오면 내일 아침에 근심할지니 들꽃은 재배하는 힘을 허비치 않아도 스스로 풍우가 .. 태화당수세록 2019.08.06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호지불(蒿枝拂) 호지불(蒿枝拂) 보리심작마생발(菩提心作麽生發) 일체불발미초절(一切不發未勦絶) 대이개구작십마(待爾開口作什麽) 번사임제호지불(飜思臨濟蒿枝拂) 보리심을 어떻게 일으키는가 하면 일체를 일으키지 않아도 초절(勦絶)이 아니로다 너의 입 엶을 기다려 무엇하리오 도리어 임제의 호.. 태화당수세록 2019.08.06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주(酒) 주(酒) 취후첨잔유한사(醉後添盞猶閑事) 낭당불소수살인(郞當不少愁殺人) 불변상하불식수(不辨上下不識羞) 개구십중구비진(開口十中九非眞) 명정언처즉욕석(酩酊偃處卽褥席) 송뇨무소비측간(送尿無所非厠間) 세간다소과음인(世間多少過飮人) 막사인신작구신(莫使人身作狗身) 취한 후.. 태화당수세록 2019.08.06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원(願) 원(願) 기한삼년재간록(期限三年再看錄) 일취일구작일게(日取一句作一偈) 기만독파편천여(期滿讀罷篇千餘) 남오편자공덕최(覽吾篇者功德最) 천장지구유시진(天長地久有時盡) 차한면면무절기(此恨綿綿無絶期) 원사원운편삼천(願使願雲遍三千) 무한미륜득증제(無限迷淪得拯濟) 삼 년을 .. 태화당수세록 2019.08.06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임희임우(任喜任憂) 임희임우(任喜任憂) 화소불문성(花笑不聞聲) 조제무하루(鳥啼無下淚) 화병불충기(畵餠不充飢) 위수불습구(謂水不濕口) 제법역여시(諸法亦如是) 도무일실두(都無一實頭) 약득계여여(若得契如如) 임희역임우(任喜亦任憂) 꽃이 웃으매 소리를 듣지 못하고 새가 울매 눈물을 흘림이 없으며 .. 태화당수세록 2019.08.06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오수(午睡) 오수(午睡) 봉후칠오편하운(峯後七五片夏雲) 정전이삼타작약(庭前二三朶芍藥) 난풍취처조성쇄(煖風吹處鳥聲碎) 빈각오수빈서각(頻覺午睡頻舒脚) 산봉우리 뒤엔 칠오편(七五片)의 하운(夏雲)이며 뜰 앞엔 두 세 떨기의 작약(芍藥)이로다 더운 바람 부는 곳에 새소리가 잦아들고 자주 낮잠.. 태화당수세록 2019.08.06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음로(吟老) 음로(吟老) 인면부지하처거(人面不知何處去) 화검의구향인소(花臉依舊向人笑) 점로염오불고인(漸老念吾不顧人) 빈음일로일불로(頻吟一老一不老) 사람의 얼굴은 어느 곳으로 갔는지 알지 못하지만 꽃잎은 의구히 사람을 향해 웃는구나 점차 늙으면서 나를 염려하고 남을 돌아보지 않나.. 태화당수세록 2019.08.06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본위(本位) 본위(本位) 모모임경대(嫫母臨鏡臺) 불로홍분시(不勞紅粉施) 노안첨삼배(老顔添三杯) 난교소년시(難較少年時) 인유연추분(人有娟醜分) 화무신구이(花無新舊異) 이화위인면(以花爲人面) 우공이락지(又恐易落地) 모모(嫫母)가 경대(鏡臺)에 임하면 노고롭게 홍분을 베풀지 않고 노안(老顔).. 태화당수세록 2019.08.06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장졸양병(藏拙養病) 장졸양병(藏拙養病) 안독선록첨정채(眼讀禪錄添精彩) 수집서두조신쇠(手執鋤頭調身衰) 장졸양병과잔춘(藏拙養病過殘春) 거자임거래임래(去者任去來任來) 눈으로 선록(禪錄)을 보며 정채(精彩)를 더하고 손으로 호미를 잡아 몸의 쇠약함을 조절하도다 장졸양병(藏拙養病)하며 남은 봄을 .. 태화당수세록 2019.08.06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부사의(不思議) 부사의(不思議) 고왕금래세(古往今來世) 팔방상하계(八方上下界) 유식정중생(有識情衆生) 유전어기내(流轉於其內) 삼자불가분(三者不可分) 역비동일체(亦非同一體) 욕식개중의(欲識箇中意) 절막존지해(切莫存知解) 월무투수의(月無投水意) 수기대월래(水豈待月來) 체득무심처(體得無心.. 태화당수세록 2019.08.06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대본(大本) 대본(大本) 종화서소재도리(種禾黍少栽桃李) 지위곡천화과귀(只爲穀淺花果貴) 오곡선봉화과전(五穀先鋒花果殿) 미문반시화과주(未聞飯是花果做) 벼와 기장을 심음은 줄어들고 복숭아와 오얏을 재배함은 단지 곡식은 흔하고 화과(花果)가 귀하기 때문이로다 오곡(五穀)은 선봉(先鋒)이며.. 태화당수세록 2019.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