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운수(雲水) 운수(雲水) 수봉곡직무자타(水逢曲直無自他) 운자권서무친소(雲自卷舒無親疏) 인약무심사운수(人若無心似雲水) 좌우종횡봉고로(左右縱橫逢古路) 물이 곡직(曲直)을 만나매 자타(自他)가 없고 구름이 스스로 접고 펴매 친소(親疎)가 없나니 사람이 만약 무심해 운수(雲水)와 같다면 좌우..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요사(了事) 요사(了事) 미의천권소(迷疑千卷少) 오료일언다(悟了一言多) 요사신개구(了事愼開口) 지위무별사(只爲無別事) 출문봉옥수(出門逢阿誰) 입문견십마(入門見什麽) 일진일불토(一塵一佛土) 일엽일석가(一葉一釋迦) 동정무규구(動靜無規矩) 어묵무불가(語默無不可) 주유제국토(周遊諸國土) ..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간각하(看脚下) 간각하(看脚下) 감로빈림불생아(甘露頻霖不生芽) 전소용왕쟁나하(田疏龍王爭奈何) 선권고인진누설(善權古人盡漏泄) 막대언구갱사화(莫待言句更奢華) 이설금설당래설(已說今說當來說) 미출당인일용사(未出當人日用事) 용맹정진성해태(勇猛精進成懈怠) 월락삼경간각하(月落三更看脚下)..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운무(雲霧) 운무(雲霧) 담운롱벽락(淡雲籠碧落) 농무멱사야(濃霧冪四野) 조비운무간(鳥飛雲霧間) 수림로반라(樹林露半裸) 주시반취주(酒是半醉酒) 화시반개화(花是半開花) 욕화산수화(欲畵山水畵) 막대운무사(莫待雲霧謝) 묽은 구름이 푸른 하늘을 가리고 짙은 안개가 사방의 들에 자욱하나니 새가 ..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월(月) 월(月) 영산화월(靈山話月) 조계지월(曹溪指月) 월부재수부재천(月不在水不在天) 지지화지미면할(指之話之未免瞎) 불나선하타파호(不奈船何打破戽) 횡설수설시방할(橫說竪說施棒喝) 차법묘난사(此法妙難思) 휴휴막수설(休休莫須說) 막수설(莫須說) 사칠원래이십팔(四七元來二十八) 영..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현도(玄道) 현도(玄道) 일권이권부일권(一卷二卷復一卷) 수문축구비세화(隨文逐句費歲華) 수인결과호무상(修因結果毫無爽) 궁미래제작도사(窮未來際作導師) 담언묘구야불심(覃言妙句也不尋) 사범종성의외사(舍凡從聖意外事) 지위현도불리신(只爲玄道不離身) 중간습독훈반야(重看襲讀熏般若) 한 ..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수연(隨緣) 수연(隨緣) 유월매우백초천(六月梅雨百草芊) 창봉취학첨일청(蒼峯翠壑添一靑) 안무이견상명정(眼無異見常明淨) 임이가감병쇠영(任伊加減竝衰榮) 유월의 매우(梅雨)에 온갖 풀이 무성하고 창봉취학(蒼峯翠壑)이 하나의 푸름을 더했도다 눈은 이견(異見)이 없이 늘 명정(明淨)하나니 그의 ..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부사의(不思議) 부사의(不思議) 애욕탐음제불모(愛慾貪淫諸佛母) 제불세존탐욕아(諸佛世尊貪慾兒) 일상무상부사의(一相無相不思議) 제비오자변진가(除非悟者辨眞假) 개자원시수미부(芥子元是須彌父) 수미종래개자야(須彌從來芥子爺) 묘묘명명난가측(妙妙冥冥難可測) 폐구불급개구과(閉口不及開口過)..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무의(無意) 무의(無意) 삼환삼응고부오(三喚三應辜負吾) 호무격애유끽방(毫無隔碍猶喫棒) 이지끽방암탁량(爾祇喫棒暗度量) 아요차화행팔방(我要此話行八方) 세 번 부르고 세 번 응낙하매 나를 저버림이요 터럭만큼 격애(隔碍)가 없어도 오히려 방(棒)을 먹도다 너는 다만 방을 먹고 가만히 탁량(度..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양인(良因) 양인(良因) 천하언재사시행(天何言哉四時行) 지하언재만물생(地何言哉萬物生) 도재오심부재설(道在悟心不在說) 언설지시화우맹(言說祇是化愚氓) 위지아제용황엽(爲止兒啼用黃葉) 공권전축효전광(空拳展縮曉顚狂) 무한양인상재전(無限良因常在前) 설월풍화유수쟁(雪月風花有誰爭) 하..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진상(眞常) 진상(眞常) 삼춘광음사석화(三春光陰似石火) 구하갑자역여전(九夏甲子亦如電) 오월장사육월래(五月將謝六月來) 무감상인수수견(無憾上人袖手見) 청산지해마금고(靑山只解磨今古) 담담녹수세홍진(湛湛綠水洗紅塵) 세세마마역천겁(洗洗磨磨歷千劫) 만고진상현천진(萬古眞常見天眞) 삼..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아(我) 아(我) 건곤여아동경(乾坤與我同庚) 만상여아일신(萬象與我一身) 수류화개운염염(水流花開雲冉冉) 저리오유편정(這裏烏有偏正) 산금수림여심(山禽樹林予心) 일월성신여안(日月星辰予眼) 오비토주풍삽삽(烏飛兎走風颯颯) 사비사시사만(似非似是似瞞) 건곤이 나와 더불어 같은 나이며 만..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바라밀(波羅蜜) 바라밀(波羅蜜) 오요육철험로(五凹六凸險路) 칠천팔혈수도(七穿八穴修道) 좌고우면개여여(左顧右眄皆如如) 산고수류조조(山高水流鳥噪) 사생구류일체(四生九流一體) 천품만류동도(千品萬類同途) 부대규보바라밀(不擡跬步波羅蜜) 선계나유속오(仙界奈有俗汚) 오요육철(五凹六凸)의 험..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양채일새(兩彩一賽) 양채일새(兩彩一賽) 우두이견사조후(牛頭已見四祖後) 돈절백조함화헌(頓絶百鳥啣花獻) 인호부귀오빈천(人好富貴惡貧賤) 양채일새하인변(兩彩一賽何人辨) 우두(牛頭)가 이미 사조(四祖)를 상견(相見)한 후 문득 온갖 새가 꽃을 물어와 바침이 끊겼도다 사람은 부귀를 좋아하고 빈천을 싫.. 태화당수세록 2019.08.07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조주종심선사(趙州從諗禪師) 조주종심선사(趙州從諗禪師) 견대왕래불하상(見大王來不下床) 칠백갑자노고추(七百甲子老古錐) 생평불용방할래(生平不用棒喝來) 지용언구시전기(只用言句示全機) 일자진언의살인(一字眞言疑殺人) 구자불성무야미(狗子佛性無也未) 문외청산청어람(門外靑山靑於藍) 기조녹수화불취(幾.. 태화당수세록 2019.08.07